-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지인에게 공지영의 신작소설을 읽었다고 했더니 이 작가를 높이 평가하지 않는 그는 시큰둥한 반응이었다. 그냥 그렇게만 말했으니 망정이지 곧이곧대로 눈물 콧물 다 쏟으며 질질 짜며 읽었다고 했으면 무지하게 민망할 뻔 했다. 읽기는 무척 빨리 읽었는데 읽고 나서는 감정이 복잡했다. 뭔가 신파에 속은 것 같기도 하고, 어쩌다가 그렇게 쉽게 무장해제가 되었는지도 영 모르겠고, 무엇보다 그렇게 휘둘려서 읽은 책을 어떻게 평가를 하나 싶었다.
인기작가라서 그런지 이 작가의 작품들에는 몇가지 편견들이 따르는 듯 하다. 나 자신도 개인적으로 이 작가의 과거 작품들에 대해 지나치게 감동/감상과 신파에 치중한다는 불만을 품은 적이 있었다. 그래서 눈이 팅팅 붓도록 울면서 읽은 이 책을 (그리고 그랬던 나 자신까지를) 나는 수상스런 눈으로 보지 않을 수 없었다. 이제 보다 냉정한 머리로 (그러나 역시 두 번 눈물을 찔끔하긴 했다) 재독을 마치고 이 책을 추천할 수 있어서 기쁜 마음이다.
독자 입장에서 보기에 이 책의 미덕은 여러가지이다. 무엇보다도 이 소설은 가난과 범죄 & 아동학대와 범죄와의 상관관계, 성폭력/강간과 그에 대한 가족 혹은 사회 단위에서의 무관심 및 폭력, 사형제도의 본질에 이르기까지 정말로 많은 생각할거리를 제공하지만, 결코 그에 이론적 사변을 들이대지 않는다. 이 책의 주변적 등장인물들은 대개 전형적이지만, 그럼으로써 흔하게 널린 문제들을 소설 중간중간에 제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소설 속의 여자들 특히, 가족소유 대학재단 덕에 교수직을 꿰어찬 문유정과 전직 영화배우 출신으로 교수 아내가 된 문유정의 셋째 올캐 서리나/서영자는 일반적으로 그런 배경을 지닌 사람들에 대해 우리가 품을만한 예상을 벗어나며 책읽기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주인공인 사형수 정윤수의 과거는 거의 주말드라마스러울 정도지만 작가의 치밀한 묘사력에 힘입어 현실성을 획득한다. 공지영의 문장들은 아름다우며 또 빨리 읽힌다.
이 책은 상처, 증오와 불화,, 그리고 무엇보다도 용서와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소설에는 읽는 사람의 마음을 흔들어놓는 부분들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굳이 꼽으라면 나는 가난한 노파가 자기 딸을 살인한 자를 용서하겠다고 구치소로 찾아와 정윤수와 대면하는 장면과, 문유정이 정윤수가 처형된다는 소식을 듣고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자신을 강간했던 사촌오빠를 그리고 강간당한 딸에게 등을 돌렸던 제 어머니를 용서해보려고 죽을 힘을 쓰는 장면을 들겠다. 사람의 인생을 지배하는 상처라는 것이 있다. 그런 상처는 무릇 네게 돌 던진 자를 용서하라, 따위의 어설픈 경구로 쉽게 아물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작가는 그런 종류의 상처라는 게 무엇인지를 소설에서 잘 그려낸다. 어설프고 쉬운 화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마음에 들었다. 문유정의 어머니는 끝내 딸에 대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줄 모르고, 병원에서 죽음에 대한 공포에 떨고, 두 아들을 두 번씩이나 버린 정윤수의 어머니는 치매에 걸린 무의탁노인 신세로 발견된다.
"착한 거, 그거 바보 같은 거 아니야. 가엾게 여기는 마음, 그거 무른 거 아니야. 남 때문에 우는 거, 자기가 잘못한 거 생각하면서 가슴 아픈 거, 그게 설사 감상이든 뭐든 그거 예쁘고 좋은 거야. 열심히 마음 주다가 상처 받는 거, 그거 창피한 거 아니야...... 정말로 진심을 다하는 사람은 상처도 많이 받지만 극복도 잘 하는 법이야. ....(중략)... 아는 건 아무것도 아닌 거야. 아는 거는 그런 의미에서 모르는 것보다 더 나빠. 중요한 건 깨닫는 거야. 아는 것과 깨닫는 거에 차이가 있다면 깨닫기 위해서는 아픔이 필요하다는 거야."
이것은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깊게 읽었던 구절, 나로 하여금 이 작가 특유의 감상성에 보다 너그러운 시선을 보내게 만들었던 구절이다. 종종 나를 불편하게 만들었던 이 작가 작품들의 감상성이 앞으로 어떤 식으로 변화발전될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마지막으로, 이 소설의 흠을 하나 들자면, 소설 전반부에 문유정이 정윤수에게 감정이입되는 부분의 템포가 지나치게 빨라 독자에게는 되려 감정이입이 덜 되고 어색한 느낌을 준다는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