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채원배 기자]자녀의 대학 진학률이 부모의 학력 수준에 따라 7~10배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0일 '사회의 수평적 및 수직적 이동 지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계층간 교육격차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KDI와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서울 소재 4년재 대학 진학률은 부모의 학력이 중졸 이하인 경우 3~4%에 그치는 반면 부모의 학력이 4년제 일반대학 졸업인 경우 28%, 대학원 이상인 경우 41.4%로 7~10배 정도 차이가 났다.
또 대학 미진학률은 부모의 학력이 중졸 이하인 경우 40%를 넘는 반면 부모의 학력이 4년제 일반대학 졸업인 경우는 12%, 대학원 이상인 경우 10.3%에 불과했다.
자녀의 대학 진학은 부모의 직업에 따라서도 차이가 났다. 부모가 고위 임직원·전문직인 경우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진학률이 33%인데 비해 농·어업 숙련 근로자, 기능근로자, 단순노무직 근로자의 경우는 각각 7.3%, 6.6%, 8.6%에 불과했다.
부모의 소득에 따른 차이를 보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진학자 부모의 소득은 월평균 246만원으로 미진학자 부모의 소득 131만원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소득과 수능성적 사이에도 정비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소득 200만원 이하 가구 자녀의 수학능력시험 점수는 평균 287.63에 그친 반면, 201만~350만원은 293.14, 351만~500만원은 310.20, 500만원 이상은 317.58이었다.
KDI는 "공교육의 역할과 위상은 약화되는 반면 사교육의 규모와 영향력이 커지면서 교육의 불평등이 확대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교육의 불평등이 오히려 사회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KDI는 따라서 현 시점에서 계층 고착화의 방지는 앞으로 한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로 인식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KDI는 △저소득층을 위한 대입 전형제도 개선 △저소득층의 영재교육기회 확대 △ 소외지역의 교육지원 확대 △ 기초학력 책임지도제 도입 등의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원배기자 cwb@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