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머 씨 이야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 열린책들 / 199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 유명했던 이 소설은 당시엔 내게 그렇게 큰 관심을 끌지는 못했던 듯 하다. 분명 내가 좋아했을 법한 책인데 무슨 내용이었을까 궁금해져서 많은 신간들을 뒤로 하고 다시 펼쳐 보았다.
어린 소년의 시각으로 우리동네 이상한 아저씨 `좀머씨`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사실 좀머씨에 대한 이야기는 나의 성장기에 양념처럼 버무려져있다. 어른들은 별 관심도 없고, 그도 ˝제발 날 좀 가만히 놔두시오.˝라고 외칠 뿐 하루종일 쫓기는 사람처럼 걸어다니는게 전부인 사람. 그를 유일하게 사건의 중심으로 기억해주는 사람이 주인공 소년이다.
제목은 좀머씨 이야기지만 사실 흥미로운 건 소년의 에피소드다. 어른들은 좀머씨는 밀폐공포증 때문에 방안에 가만히 있지 못하고 하루종일 걸어다닌다면서 `밀폐공포증`이란 단어의 어원까지 굳이 밝혀가며 그를 이해하는 척 하지만 소년은 더 세심하게 그를 이해하고자 애쓴다. 단지 걸어다니는게 행복해서 그런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걸어다닐때 얼핏 보앗던 그 괴로운 표정은 뭐지? 한마디 말로 단정지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그를 이해하고자 노력하는것이 아이의 시선인 것이다.
좋아하는 여자친구의 마음에 들기 위해 세심한 준비를 하고 또 했는데 허무하게 계획이 틀어져 버리는 것이라든가 무서운 피아노선생님과의 에피소드에서 자살을 결심하는 내용들은 어린이다운 순수함에 미소가 지어지는 장면이다. 그럴때마다 소년과 별 관계가 없어보이는, 아니 마을 사람 모두와 상관없이 살아가는 좀머씨가 곁을 지나가거나 하는 식으로 엮인다. `좀머씨는 가끔씩 사람들 눈에 띄기는 하였지만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었다. 그는 사람들의 표현을 빌자면 세월 다 보낸 사람이었다.` 하지만 소년은 세월의 흐름에 맞춰 성장해 나가고 이제 소년의 일상은 `언제나 반드시 해야만 하거나, 도리상 해야 하거나, 하지 말아야 된다거나` 기대를 저버리면 안되는 삶을 살게 된다. `언제나 시간이 부족하고 무슨 일이든 항상 끝마쳐야 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어서 아주 가끔씩만 편안함을 누릴 수 있는` 어른이 되어가던 어느 날, 호수로 성큼 성큼 걸어들어가는 좀머씨를 목격한다. 그리고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런 그를 보고도 아무말도 할 수 없었다.
소년은 그 순간 ˝제발 나를 좀 가만히 놔두시오˝라고 외치던 그의 모습이 떠올라서 그랬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 어리고 순수하던 때의 소년이었다고 해도 그랬을까? 책에서 소년이 더이상 나무를 타지 않던 그 시기에 좀머씨의 죽음을 보게 된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느꼈다. 이 책의 배경이 2차 대전이 막 끝난 후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좀머씨는 아마 전쟁의 트라우마가 심한 사람일 것이고 그 트라우마로 하루종일 괴롭게 걸어다니는 것이다. 그런 그의 죽음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가 성큼성큼 호수로 걸어들어가는 것을 보고도 말릴 수 없었던 소년의 마음은 무엇이었을까.
얇지만 여운이 긴 이야기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7-10 21: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소설은 다시 읽을 때마다 결말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