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context of seeking and finding action guidance from normative ethics, all these grammatically different forms may readily be regarded as saying the same thing, as giving the same answer. It doesn’t matter whether I express an intention (‘I’ll do x’) or receive what is beyond doubt a directive (‘do x’), whether I work out or am told something about myself, or give myself (or am given) an implicit directive (‘I/You must/should/ought to do x’), or whether I work out, or find out something about an action (‘x is/would be right’). For the context is, after all, supposed to be one in which my aim is practical and, moreover, proper. I am hoping to be able to form an intention, and, seeking directives, I have turned to normative ethics for guidance. I have not turned to an examination of my personal preferences, or the law, or a Machiavellian acquaintance, for I want to do what can truly be assessed as right. And, in many cases, we can regard the grammatically different answers as providing, simultaneously, action guidance and the reassuring action assessment. Deciding to do x is the morally correct decision and x is the morally right action.
규범 윤리학으로부터 행위 지침을 얻고자 노력 중이라는 맥락에서 본다면, 문법적으로 서로 다른 이 모든 형식들은 동일한 답, 동일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 쉽다. 내가 내 의도를 표출하고 있느냐 (나는 x 를 할 것이다) 아니면 무엇을 하라는 분명한 지시를 받았느냐 ( x를 하라), 또는 나 자신에 관해 무엇을 생각하게 되었느냐 아니면 누군가가 그것을 알려 주었느냐, 또는 내가 나에게 암묵적인 명령을 내렸느냐 (아니면 무엇을 하라는 명령을 받았느냐) (나는/너는 반드시/무슨 일이 있어도/의무적으로 x 를 해야 한다), 또는 어떤 행위에 대해 생각을 통해 스스로 알게 되었느냐 아니면 발견하게 되었느냐 (x 가 옳다/ 옳을 것이다)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것이 어쨌든 그 배경은 내 목적이 실천적이고, 게다가 적절하다는 점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어떤 의향을 갖게 되기를 희망하는 중이고, 그래서, 지시어들을 추구하면서, 지침을 얻고자 규범 윤리학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나는그런 것이 아니다. 눈을 돌린 것이 아니다. 진정으로 옳다고 평가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 내가 원하는 바이기 때문에, 나는 개인적인 선호, 법, 또는 마키아벨리적 지식을 검토하는 것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래서, 여러 가지 경우에서, 우리는 문법적으로 상이한 그 답들이 행위 지도의 제공과 행위 평가의 확정을 동시에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X 를 하겠다고 결심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이며, x 는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이다.
But dilemmas which are resolvable only with remainder show how these two may come apart. Suppose I have, through previous wrongdoing, landed myself in a situation in which I am forced to choose between two evils. Ashamed of the previous wrongdoing, I turn to normative ethics for guidance—what shall I do? Supposing that the dilemma is resolvable, since x is worse than y, many of the answers remain appropriate—I’ll do y, Do y, I/you must/ought to do y, anyone who is in this situation ought to do y. But ‘y is the right action’ is now inappropriate; y is not right. It involves, say, causing a terrible amount of suffering, breaking a promise, or doing what is shabby. In vain do I protest that now ‘I want to do what is right’, to undo past wrongdoing and start afresh with a clean slate. I should have thought that before. The ‘satisfactory review of my own conduct’ is not for me, or at least, not yet; remorse and guilt are my portion.
그러나 잔여를 남김으로써만 해결이 가능한 딜레마들은 이 둘이 어떻게 서로 분리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과거의 잘못된 행위 때문에, 두 개의 악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 속으로 내가 나 자신을 빠뜨리게 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예전의 잘못된 행동들을 수치스러워 하면서, 나는 행위 지침을 얻고자 규범 윤리학으로 눈을 돌린다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 딜레마가 해결 가능한 것이라면, x 는 y 보다 더 나쁘기 때문에 많은 답들이 타당하다. –나는 y 를 할 것이다/y 를 하라/나/너 는 반드시/의무적으로 y 를 해야 한다, 이 상황에 빠진 사람이라면 그 누구라도 의무적으로 y 를 해야만 한다. 그러나 지금 이 경우, ‘y는 올바른 행위다’ 는 말은 타당하지 않다. y 는 옳지 않다. Y 는 엄청난 고통을 낳게 하고, 약속을 깨뜨리게 하고, 비열한 짓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는 ‘옳은 일을 하고 싶다,’ 과거의 잘못된 행동들은 없었던 것으로 하고 새 출발을 하고 싶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나는 이전에 그랬어야 했다. ‘내가 한 행동에 대한 만족스러운 검토’ 라는 것은 나에게 해당되는 바가 아니거나, 최소한 아직은 아니다. 양심의 가책과 죄책감이 내가 짊어져야 할 몫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