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 먼저 지난 번 번역에서 the failure to mention remainder in debates in applied ethics is, I think, usually a deplorable oversight, the results of the writers’ having committed at least one of several fallacies 의 문장을 놓고the failure를 왜 복수 명사인 the results 로 받았는지 모르겠다고 했는데, 확인해 보니 잘못 타이핑을 해서 생긴 잘못이었다. the result 가 맞다.

 

So we may truly, indeed, (1) trivially, (2) say when using ‘morally right decision’ in the second way. But if we are using ‘morally right decision’ in the first way, we cannot say this truly, for it is obvious false.

 

(1) 여기서의 trivially 는 하찮은 의 의미인 trivial 이 아닌 듯했다. 정말로, 실제로, 그리고 하찮게 는 어울리는 짝이 아니니까. trivially so common 이 있어서 이번 기회에 이 의미를 외워 두자고 한 뒤 그 말을 써서 옮겼다.

 

(2) 실은 이 부분을 보다가 책과 내가 옮긴 본문을 한 번 더 비교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 이 문장을 보았을 때 나는 내가 this 또는 it 이란 말을 빼 놓고 타이프를 한 줄 알았다. 다시 보니까 여기서는 say + wh 절의 구조인 것 같아서 그렇게 옮겼다. 내가 헛갈렸던 이유는 아마도 그 바로 아래 문장에 나온 “we cannot say this truly” 의 구조를 먼저 본 바람에 그 위의 이 문장도 say this when 으로, when in case of 로 하는 3형식 구조로 넘겨 짚었던 것 같다. 어쨌든, 우리는 정말로 실제로 아주 흔히, 언제 우리가 인지를 말할 수 있다 라고 최종적으로 옮겼다.

 

The man who has induced two women to bear a child of his by promising marriage, can only marry one, but he may not be in an irresolvable dilemma; it may be worse to abandon A than B, and let us suppose he makes ‘the morally right decision’ and marries A, perforce breaking his promise to B and condemning her child to illegitimacy.

 

(3) 이 부분은: (a)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이라고 스스로 자위했다->근거가 필요했다->그래서 B 의 아이가 사생아라고 비난하며 결혼약속 파기//(b) B 의 아이가 사생아라고 뒤집어 씌운다-> 결혼약속 파기의 근거마련-> 그럼 당연히 A (그리고 그 자신의 아이를) 버리지 않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이 된다-> 그렇게 A 와 결혼하겠다고 결정하고 결혼함, 둘 중에 어떤 수순인 것을 골라야 의미가 맞게 흐르는지 잠시 헛갈려 하다가 내가 아는 동명사 구문 해석대로 (b)로 했다.  

 

And even when the agent is faced with a resolvable moral dilemma through no fault of her own, the lesser of the two great evils that she (ex hypothesi rightly) decides to opt for will still not be a morally right or good act, not (4) one that leaves her with those ‘circumstances [so] requisite to happiness’, namely ‘inward peace of mind, consciousness of integrity, [and] a satisfactory review of [her] own conduct’ as Hume so nicely puts it. On the contrary, it will, or should, leave her with some sort of ‘remainder’.

 

(4) 이번에 옮길 때 가장 어려웠던 부분. 그런데 그 어려움이 어휘선택의 문제라기 보다는 정확한 (철학) 개념어 선택의 문제인 듯해서 머리 뜯으면서도 마음은 편했다. 흄의 철학을 모르는데 흄이 참 잘 말해 두었듯이이하를 내가 어쩌겠느냐 싶어서. 대신 그 덕분에 그 “so requisite to happiness” 에 대해 잠시 생각해 볼 시간을 가졌고, 예전에 내가 그렇게 할 수 있을까 의문스럽던 아주 작은 변화를 시작해 볼 수 있었다. 어려워도 이러면 좋다.   

 

Inward peace of mind 는 어렵지는 않았다. 정신 내면의 평화. 다만, 정신에 그럼 외면이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기는 했다. 이 말 뿐 아니라도, 외연 내연이라고 하면 그 기준이 도대체 뭔지 모를 때가 많다. Consciousness of integrity 에서 막혔다. Consciousness 는 깨어있음 정도로 감이 왔지만 여기서야 그 뜻이 아닐 줄은 알았다.각성, 자각, 의식 등 사전의 뜻풀이 중에서 가장 어색해 뵈는 의식이 실은 철학, 심리학 분야의 말로 되어 있었다. 의식 자아에 대해 도덕적인 통제를 하는 부분영어 사전에서 보면, having knowledge of/an alert cognitive state in which you are aware of yourself and your situation. 으로 한글 사전과는 약간 다르게, 무엇을 앎, 무엇을 자각하는, 정도로 넓게 설명되어 있었다. 문제는 Integrity 였다. 내가 알고 있던 integrity integral 아니면 uprightness noble decent 였는데, 그 둘이 consciousness 와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알 수 없었다. integrity - an unreduced or unbroken completeness or totality, integrity - moral soundness 로 영어 사전에 별다른 뜻은 없었다.

 

완전성의 의식/고결성 의식/인격통합성 의식 할 만한 것은 다 해 봤지만, 다 어색하고 어정쩡했다. 혹시나 해서 Hume + integrity consciousness 로 구글 검색도 해 봤는데 웬 철학 논문이나 뜨고..

 

그러다 philosophy + integrity moral 로 다시 검색을 했다. 그랬더니http://plato.stanford.edu/entries/integrity/ 이 사이트가 떴고, 조금 시간이 걸리기는 했지만 도움을 많이 받았다. 본문 처음에 integrity 란 말은 무지하게 puzzling 한 말이다 에서 큰 안도를 (^^)

 

결론적으로 나는 저 말을 부담없이 옮기기로 했다. 대신 주위에 물어 보기로 했다. 흄 철학에서의 저 말이 무슨 뜻인지. 번역 자체는 integrity integral, unified, complete 로 형용사처럼 하고 consciousness 에 강조를 두었다. 맨 위의 그림은 모를 일일세..하던 와중에 이미지 검색 했을 때 여러 역시 모를 그림들 사이에서 그나마 좀 낫던 거라서 저장했다.  

 

세 번째의 A satisfactory review of conduct 란 말도 까다롭기는 마찬가지였다. 저기서의 satisfactory 의 의미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니까. (a)리뷰의 결과가 만족스럽다 (고로 내 행동이 좋은 것이었다는 평가, review of conduct as satisfactory) 또는 (b) 리뷰의 절차 또는 리뷰 자체가 충분한 정도로 이루어진다 (엄중히 본다, review in a full/strict sense) 우리 말로야 충분한 검토 만족스러운 검토 둘 다 무리야 없을 줄로 아는데, 내 눈으로는 전자와 후자는 다른 의미의 말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고민했다. 옮기기는 만족스러운 이라고 했고 의미로는 전자로 읽었다. 행복의 요건이란 말하고 더 잘 맞는 짝인 것 같아서.

 

So my claim is that many philosophers who resolve hard cases in (5) applied ethics debates but fail to mention ‘remainder’ , frequently (of course not always) equivocate on ‘morally right decision’, and are thence readily led to accepting a false dilemma.

 

(5) 는 순간 applied ethics’ debate 가 맞지 않나 타이프 오류에의 의심이 한 번 더 들었던 부분.

 

This tendency to overlook remainder is, I think, (6) actively encountered by demanding at the outset that a normative ethics should ‘give an account of right action’; that this is what is required for it to be ‘action guiding’.

 

(6) 말로 풀기가 은근히 까다로웠던 문장. –의 초장부터 (at the outset) actively encountered 의 어감이 뭐가 좋은지 조금 불분명했다. 노골적으로/직접적으로/전면적으로/활발히 중에서 다 넣어 보고, 노골적인 이라고 하고 싶었지만 서로 거리가 있는 말 같아서 제치고, 나머지 중에서 적극적으로 라고 했다. 뚜렷하게 라고 할까도 생각했지만, 그 말도 active 란 의미와는 거리가 있어 보였다.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are act-centered’; thereby, when their proponents consider hard-case dilemmas, they concentrate exclusively on the question, ‘which is the right act, x or y?’ And since one cannot decide to feel regret, and feeling regret is not an act in the required sense, they thereby cut themselves off from thinking of brining in that sort of ‘remainder’.

 

이 부분에서는 와- 소리가 저절로.. (^^)

 

(7) Although I am, personally, sympathetic to doctors rather than otherwise, one does hear occasional (8) hair-raising stores about the arrogance and callousness of some.

 

(7) rather than otherwise 를 꼭 옮겨야 할까 를 의문했다는 기록을 남긴다. 나보다 영어를 잘 아는 사람들에게 물어 보았음 했던 부분이다. 없어도 말이 통하는데, 빼 놓고 하자니 좀 걸리고, 그렇다고 옮겨 보니 어색하고..

 

(8) 저 말은 머리가 주뼛 서는 인 건 알겠는데, 그게 오싹의 의미인지 아니면 열이 솟아서인지가 좀 헛갈렸다. 원래 말 뜻은 dreadful 이 아닌가 싶은데, 여기서는 겁난다의 뜻이 아니라 경악스럽다 공노할 그런 뜻 같았다.  

 

No expressions of regret, no expression of concern over (9) whether anything could be done to make it less likely that such decisions would have to make in the future; having made (what they take to be) the morally right decision, they seem to think that they can review their own conduct with complete satisfaction. But if someone dies, or suffers, or undergoes frightful humiliations as a result of their decision, even supposing it is unquestionably correct, (10) surely regret is called for.

 

(9) 문장이 길게 꼬여서 옮기다가 두어 번 길을 놓쳤던 부분.

 

(10) 은 부사의 어순에 대해서 다시 또 한 번 생각해 보았던 부분이다. “후회는 확실히 요청된다/ 반드시 후회가 요청된다/ 후회가 요구됨은 분명하다셋이 엇비슷해 보이기는 하지만, 그 중에서 어떤 것이 우리 말 어순과 어법에 잘 맞는 것인지 알고 싶었다. 실제로 내가 고른 건 그런 규칙에 따른 것이 아니라, 그냥 본문의 어순을 따르는 것이었다.   

 

(11) A does of virtue ethics might make them concentrate more on how they should respond, rather resting content with the thought that they have made the right decision.

 

의사들 이야기니까 dose 로 은유하시는 센스~ 웃으면서 읽었고, 그런데 막상 a dose of 를 약간, 소량의 라고 해야 할지 아니면 비유로 쓴 약, 약의 복용으로 할지 약간 고민. 약간의 덕 윤리학은 이라는 말은 좀 이상해서, 비유로 받아서 옮겼다.

 

(12) I did once think that, in being ‘act-centered rather than agent-centered,’ they were theoretically disarmed from being able to do justice to moral dilemmas with remainder in the Introduction. 이 문장도 은유가 섞인 것 같다. 무기를 뺐기다 로 하는 대신 이론적 장비가 없다 정도로 받았다.

 

(13)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are not cut off from doing this in virtue of being ‘act-centered’. 영어를 모른다기 보다 이해가 부족한 경우였던 구절. 다 옮겨 놓고도, 그래서 여기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뭘까, 두 이론들은 태만하다는 말일까 아니면 그게 제일 중요한 이유가 아니라는 것일까 아니면 다른 가능성이 있다는 말일까. 위에 새로운 희망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서 세 이론들이 그렇게 절대절명하게 나뉘는 게 아니다는 통합의 시각에서 한 말 같기는 한데 분명치는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