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can be brought out by considering the claim: ‘When morally right decisions come off—when the agent succeeds in doing what she intended to do—we get morally right action.’ So we may truly, indeed, trivially, say when using ‘morally right decision’ in the second way. But if we are using ‘morally right decision’ in the first way, we cannot say this truly, for it is obvious false. The man who has induced two women to bear a child of his by promising marriage, can only marry one, but he may not be in an irresolvable dilemma; it may be worse to abandon A than B, and let us suppose he makes ‘the morally right decision’ and marries A, perforce breaking his promise to B and condemning her child to illegitimacy. He merits not praise, but blame, for having created the circumstances that made it necessary for him to abandon B; he should be feeling ashamed of himself, not proud, and so on. And even when the agent is faced with a resolvable moral dilemma through no fault of her own, the lesser of the two great evils that she (ex hypothesi rightly) decides to opt for will still not be a morally right or good act, not one that leaves her with those ‘circumstances [so] requisite to happiness’, namely ‘inward peace of mind, consciousness of integrity, [and] a satisfactory review of [her] own conduct’ as Hume so nicely puts it. On the contrary, it will, or should, leave her with some sort of ‘remainder’.

 

            차이는 다음의 주장을 검토함으로써 드러날 있다.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이 실현되는 경우행위자가 자신이 의도했던 바를 행하는 성공하는 경우우리는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를 얻는다.’ 그와 같이, 우리는 정말로, 실제로, 흔히, 우리가 언제 번째의 방식으로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이라는 말을 사용하는지를 말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번째 방식으로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것은 명백히 잘못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당연하게 말할 없다. 결혼을 약속한다는 말로써 여성을 유혹해서, 자신의 아기를 낳게 남자는 사람하고만 결혼할 있다. 그러나 그는 해결할 없는 딜레마에 빠진 것이 아닐 있다. B 보다는 A 버리는 것이 나쁜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그가 B 아기는 사생아라고 선고를 내리면서, 부득이 B와의 약속을 파기하고,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 내리고 A 결혼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는, B 저버리는 것이 필연적인 상황을 만들었기 때문에 칭찬이 아니라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그는 자기 자신에게 수치심을 느껴야만 하며, 당당해서는 된다, 기타 등등. 자기가 저지른 잘못이 없는 상황에서 빚어진 해결 가능한 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해 있을 때조차, 행위자가 (가정상 옳게) 선택을 결정한 커다란 정도가 덜한 쪽의 악은 여전히 도덕적으로 옳거나 좋은 행위, 다시 말해, 흄이 아주 훌륭히 표현하고 있듯이,‘행복을 위해 [매우] 필수적인 조건들, ‘정신 내면의 평화, 통합된 의식, [그리고] [자기 자신의] 행동에 대한 만족스러운 검토 같은 것들을 남기는 행위가 만무하다. 그와 반대로, 그것은 그에게 어떤 종류의 잔여 남길 것이며, 그래야 마땅하다.  

 

So my claim is that many philosophers who resolve hard cases in applied ethics debates but fail to mention ‘remainder’ , frequently (of course not always) equivocate on ‘morally right decision’, and are thence readily led to accepting a false dilemma. The question, ‘Which is the morally right decision, to do x or to do y?’, is confounded with the very different question, ‘Which is the morally right action (With no qualification about remainder, the good action about which the agent need feel no regret), x or y?’ If there are no irresolvable dilemmas, the first question does not pose a false dilemma, but even if every moral dilemma is resolvable, the second certainly does, for the correct answer may well be ‘Neither’.

 

그래서 내가 주장하려는 것은, 응용 윤리학 논쟁에서 윤리적 난제들을 해결하고 있으나 잔여 언급하는 일에는 태만한 많은 철학자들이 종종 (물론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 관해 모호한 생각을 가지고 있고, 그로부터 쉽게 잘못된 딜레마를 받아들이게 되더라는 것이다. ‘무엇이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인가. x 하는 것인가 아니면 y 하는 것인가?’ 라는 물음은 어떤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인가 (잔여에 관한 아무런 제약 조건 없는, 행위자가 후회를 느껴야 어떠한 필요도 없는, 좋은 행동) x 인가 y 인가?’ 라는, 그와 전혀 다른 물음과 혼동되고 있다. 만약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란 것이 전혀 없다면, 번째 질문은 잘못된 딜레마의 문제를 제기하지 않겠지만, 설사 모든 도덕적 딜레마가 해결할 있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번째 질문의 정답이 아니다 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에, 번째 질문은 확실히 거짓 딜레마의 문제를 드러낸다.  

 

 

 

This tendency to overlook remainder is, I think, actively encountered by demanding at the outset that a normative ethics should ‘give an account of right action’; that this is what is required for it to be ‘action guiding’. In order to dispel the prevailing illusion that virtue ethics, in being ‘agent-centered rather than act-centered’, does not even pretend to give any action guidance, I began by yielding to this demand, and stressing the point that virtue ethics can be regarded as supplying a whole lot of rules—the v-rules. But we can now see some point in pulling back a bit, in re-introducing the idea that the virtue ethics concentrates on the agent rather than the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are act-centered’; thereby, when their proponents consider hard-case dilemmas, they concentrate exclusively on the question, ‘which is the right act, x or y?’ And since one cannot decide to feel regret, and feeling regret is not an act in the required sense, they thereby cut themselves off from thinking of brining in that sort of ‘remainder’. A proponent of virtue ethics, concentrating on the question, ‘What would a virtuous agent do in this situation?’, is, given the concentration on the agent and the wider scope of ‘do’, all set up to answer (for example), ‘x, after much hesitation and consideration of possible alternatives, feeling deep regret, and doing such-and-such by way of restitution.’ Although I am, personally, sympathetic to doctors rather than otherwise, one does hear occasional hair-raising stores about the arrogance and callousness of some. What people often complain about is not whatever decision the doctors made, but the manner in which they delivered it or acted on it. No expressions of regret, no expression of concern over whether anything could be done to make it less likely that such decisions would have to make in the future; having made (what they take to be) the morally right decision, they seem to think that they can review their own conduct with complete satisfaction. But if someone dies, or suffers, or undergoes frightful humiliations as a result of their decision, even supposing it is unquestionably correct, surely regret is called for. A does of virtue ethics might make them concentrate more on how they should respond, rather resting content with the thought that they have made the right decision.

 

생각으로는, 잔여를 간과하는 이런 경향은 규범 윤리학은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을 제시해야만 하며, 그것은 규범 윤리학이 행위의 지도이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라는, 요구의 최초에서부터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윤리학이, ‘행위 중심 이라기 보다는 행위자 중심 상황에서, 행위 규범을 제시하려는 시늉조차 하려고 들지 않는다는 주된 착각을 깨기 위해서, 나는 이러한 요구에 양보를 취하고, 윤리학은 덕의 규칙들이라는 총체적인 규칙들을 제공하고 있다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으로써 논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윤리학은 행위 보다는 행위자 집중한다는 견해를 다시 소개하면서, 문제를 조금 뒤로 물러 서서 바라 있겠다. ‘공리주의와 의무론은 행위 중심이다.’ 따라서, 그들의 지지자들은 답을 찾기 어려운 딜레마의 문제를 검토할 오로지 무엇이 옳은 행동인가, x 인가 y 인가?’ 문제에만 집중한다. 그런데 사람은 후회를 하게 말지를 결정할 없으며, 후회하는 감정을 갖는다는 것은 필수적인 의미에서 행동 아니기 때문에, 그들은 그런 종류의 도덕적 잔여 낳는 것들을 생각해 보는 일로부터 스스로 차단된다. ‘덕이 있는 사람이라면 상황에서 무엇을 것인가?’ 질문을 강조하는 윤리학 옹호자라면, 행위자에 대한 강조와 보다 넓게 해석되는 한다 의미에 기반하여, 최대한 (예를 들면) ‘아주 많은 망설임과 여러 대안의 검토 후에, 깊이 후회하고 보상을 위해 이런 저런 것을 하면서, x’ 같은 답을 주장할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의사들에 대해 다른 어떤 것이라기 보다 우호적이지만, 누구나 몸이 오싹해지는 일부 의사들의 오만과 냉정함에 관한 이야기들을 듣게 된다. 사람들이 자주 토로하는 불만은 그것이 무엇이건 의사가 내린 결정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그것을 전달하고 그에 근거하여 행동하는 방식과 태도에 관한 것이다. 아무런 유감의 뜻도 보이지 않는 표현, 자신이 내릴 결정이 앞으로 일으킬 문제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 뭔가를 있지는 않을까에 대한 염려가 전달되지 않는 표현.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 (그들이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는 ) 내리면서, 의사들은 자신들의 행동검토가 완전히 만족스러울 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만일 자신이 내린 결정의 결과로 누군가가 죽거나, 고통을 받거나, 혹은 끔찍한 굴욕을 겪게 된다면, 설사 그것이 의심할 없이 옳은 결정이었다고 가정하더라도, 반드시 후회의 감정이 요구된다. 윤리학이라는 약의 복용은 의사들을 옳은 결정을 내렸다는 생각에 안주시키기 보다,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가에 많이 유념하게끔 있을 것이다   

 

   

 

 

 

 

 

I do not make these remarks in a combative spirit; as I said in the introduction, my aim is not to do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down. I did once think that, in being ‘act-centered rather than agent-centered’, they were theoretically disarmed from being able to do justice to moral dilemmas with remainder in the Introduction. There is, now, neo-Kantian interest in what agents should feel (as part of virtue), and some utilitarian concern with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certain character traits, namely, virtuous ones, in agents. When this is carried over to the treatment of dilemmas in applied ethics, we shall, I hope and expect, find that the discussions change for the better. After all, once one has noticed the possibility of giving the virtue ethicist’s answer, one will be more ready to remember about regret, and then, thinking of how the regret might be expressed, come up with richer answers such as ‘x-and-apologize-or-make-restitution-as-soon-as-possible’ or ‘x, after a long, patient, sensitive discussion with those involved’.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are not cut off from doing this in virtue of being ‘act-centered’.

 

나는 전투적인 태세로 이러한 언급들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서론에서 밝혔다시피, 나의 목적은 의무론과 공리주의를 끌어 내리는 것이 아니다. 일찍이 서문에서, 나는 행위자 중심이라기 보다는 행위 중심 상태로는, 이론에는 잔여가 있는 도덕적 딜레마의 문제를 정당하게 다룰 있는 이론적 장비가 갖추어져 있지 않다고 생각했었다. 한데, (덕의 일부로써) 행위자가 무엇을 느껴야 하는가 라는 주제에 관한 -칸트주의의 관심, 그리고 특정한 성품, 다시 말해, 행위자의 유덕한 성품을 육성시켜야 필요성에 관한 일부 공리주의자들의 관심이 생기고 있다. 이런 것들이 딜레마를 다루는 응용 윤리학 내부의 작업으로 옮겨진다면, 우리는 아마도, 이것이 내가 희망하고 기대하는 바이다, 기간의 논의가 보다 나은 방향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어쨌든, 덕 윤리학자들의 해답이 제시되는 가능성에 주목했던 적이 있는 사람은 앞으로 더욱 기꺼이 후회의 감정을 상기하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그런 후회가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면서, 예를 들면 ‘x를 한다-그리고 사죄를 하거나, 가능한 빨리 보상을 한다아니면 관련된 사람들과 오래, 끈질기게, 신중을 기해 논의를 거친 뒤, x 를 한다와 같은 보다 풍부한 답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의무론과 공리주의는 그것이 행위-중심이기 때문에 이런 일로부터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