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ondly, why should a proponent of virtue ethics deny the significance of such mother’s-knee rules as ‘Don’t lie’, ‘Keep promises’, ‘Help others’? Although it is a mistake (I have claimed) to define a virtuous agent simply as one disposed to act in accordance with deontologist’s moral rules, it is a very understandable mistake, given the obvious connection between, for example, the exercise of the virtue of honesty and refraining from lying. Virtue ethicists want to emphasize the fact that, if children are to be taught to be honest, they must be taught to love and prize the truth, and that merely teaching them not to lie will not achieve this end. But they need not deny that, to achieve this end, teaching them not to lie is useful, or even dispensable.

 

다음으로, 윤리학의 지지자들이 거짓말 하지 말라’ ‘약속을 지켜라’ ‘남을 도와라 같은, 어릴 배운 규칙들의 중요성을 부정해야 하는가? 있는 행위자를 의무론자의 도덕 규칙에 준거하여 행동하려는 성향이 있는 사람이라고 단순히 정의 내리는 것이 (내가 주장해 ) 잘못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예컨대 정직이라는 덕의 실천과 거짓말을 삼가는 행위 사이의 명백한 연관성을 놓고 본다면 충분히 납득될만한 잘못이다. 윤리학자들은, 만일 어린 아이들이 정직하라는 가르침을 받게 된다면, 반드시 진실을 사랑하고 소중히 하라고 가르쳐져야 한다는 , 그리고 단순히 거짓말을 하지 말라는 가르침으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들이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하지 말라는 가르침은 필요하며, 혹은 심지어 없어서 아니 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부정할 필요는 없다.

 

So we can see that virtue ethicist not only comes up with rules (the v-rules, couched in terms derived from the virtues and vices) but, further, does not exclude the more familiar deontologists’ rules. The theoretical distinction between the two is that the familiar rules, and their applications in particular cases, are given entirely different backings. According to deontology, I must not tell this lie because, applying the (correct) rules ‘Do not lie’ to this case, I find that lying is prohibited. According to virtue ethics, I must not tell this lie because it would be dishonest to do so, and dishonesty is a vice[1].      

 

이와 같이, 우리는 윤리학자가 규칙(덕과 악덕에서 파생된 개념들로 표현된 규칙들) 만들어 아니라, 거기서 나아가, 익히 알려진 의무론의 규칙들을 배제하지 않음을 있다. 사이의 이론적 구분은 다음과 같다. 우리들이 알고 있는 규칙들과 특정한 경우에 그것을 적용하는 것이 이론에서는 서로 완전히 다른 배경에서 이루어진다. 의무론에 따르면 나는 이런 거짓말을 해서는 된다.  왜냐하면, ‘거짓말 하지 말라 (옳은) 규칙을 경우에 적용해 보면, 나는 거짓말이 금지된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윤리학에 따르면, 나는 이런 거짓말을 해서는 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정직하지 못한 일이며, 부정직은 덕의 반대, 악덕이기 때문이다.



[1] This clear distinction (between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is just one of the many things that has been blurred by the recent happy convergence of Kantians and virtue ethicists.

의무론과 윤리학 사이의 이런 분명한 구분은 근래 칸트주의자들과 윤리학자들 사이의 반가운 [상호] 수렴으로 경계가 흐려져 , 많은 것들 중의 하나일 뿐이다.  

 

 

UNCODIFIABILITY

체계적 성문화(成文化) 불가능성

 

            What then of the claim that virtue ethics, typically, rejects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in rules or principles that can provide specific action guidance? It now stands revealed as a claim that invites the rather tiresome response, ‘Well, it all depends on what you mean by “codifiable”.’

 

그렇다면, 윤리학은, 대체로, 윤리학이 구체적인 행위 지침을 제시할 있는 규칙이나 원칙으로 체계적으로 성문화 있다는 견해를 거부한다는 주장은 어떤가? 그것은 이제 다소 지루하다는 반응을 자아내는 주장임을 드러낸다. ‘글쎄요, 그거야 당신이 무엇을 성문화될 있다 보느냐에 따라 다르겠지요.’

 

It used to be quite commonly held that the task of normative ethics was to come up with a set (possibly one-membered, as in the case of act utilitarianism) of universal rule or principles which would have two significant features: (a) they would amount to a decision procedure for determining what the right action was in any particular case; (b) they would be stated in such terms that any non-virtuous person could understand and apply them correctly[1]. Call this the ‘strong condifiability thesis’. And it was, and is, indeed typical of virtue ethicists to reject that thesis.[2] But, for at least two, no doubt related, reasons, the idea is now much less common.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견해가 매우 흔했다. 규범 윤리학의 임무는 일련의 (행위 공리주의의 경우, 하나로 이루어진) 보편 규칙 또는 보편 원칙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규칙 원칙에는 가지의 중요 특징이 있다: (a) [규칙 혹은 원칙] 들은 어떤 경우에서도 무엇이 옳은 행위인지를 결정하는 의사결정 과정과 같다. (b) 그들은 덕이 있는 행위자가 아닌 누구라도 이해할 있고, 옳게 적용할 있는 개념으로 진술된다. 이것을 강력한 성문화 가능성 명제라고 부르자. 그리고 이것은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에도, 윤리학자들이 반대하는 대표적인 명제이다. 그러나 적어도 가지의, 의심의 여지 없이 서로 연관된 이유 때문에 현재는 이전보다 훨씬 일반적이다.  



[1] E. Pincoffs, ‘Quandary Ethics’ (1971), identified this as the dominant view of the task of normative ethics at the time, beginning his article with a number of illustrative quotes from contemporary authors. 핀코프는 ‘Quandary Ethics’ 에서 현대의 저자들로부터의 여러 예시적 인용들로 논문을 시작하면서, 이것이 시대 규범 윤리학의 임무를 바라 보는 두드러진 견해라고 간주했다.    

[2] Most notably, M. McDowell in ‘Virtue and Reason’ (1979) 가장 주목할만한 것으로는, 맥도웰의 ‘Virtue and Reason’ (1979) 있다.

 

 

 

 

 

 

One reason has been the increasing sense that the enterprise of coming up with such a set of rules or principles has failed. In this early, heady days of applied ethics, it looked feasible, but as more philosophers relying on the same abstract principles applied them in such a way as to produce different conclusions, as different modifications or exclusion clauses were put on the general principles to yield different conclusions, as more philosophers trying to resolve real-life hard cases in medical ethics found themselves compelled to say that there were good arguments on both sides—as, quite generally, the gap between the abstract principles and the complex particularity of concrete moral situations became more obvious, so the idea that the rules should have both the features mentioned began to lose its appeal.

 

가지 이유가 일련의 그런 규칙이나 원칙을 정하려는 시도가 실패로 돌아갔다는 인식을 확산시켜 왔다. 초기, 응용 윤리학이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한 시기에는, 그런 시도는 타당해 보였다. 그러나 보다 많은 철학자들이 동일한 추상적 원리에 근거하면서 다른 결론이 나오게끔 규칙 원칙을 적용하면서, 일반 원리에 다른 방식의 수정이 가해지거나 삭제된 구절이 포함되자 결과가 달리 나오게 되면서, 전보다 많은 수의 철학자들이 의료 윤리학 분야의 실제 삶의 난제들을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측면 모두 좋은 논거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으면 된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추상적인 원칙과 구체적인 윤리적 상황들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개별성 사이의 격차는 더욱 명백해졌고, 그럼으로써, 규칙이란 위에 언급된 특징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는 견해는 호소력을 잃기 시작했다.  

 

The concurrent emergence of virtue ethics articulated at least one way in which the original idea needed to be modified. It became increasingly obvious, when one considered whether doctors needed to be virtuous, that arrogant, uncaring, dishonest, and self-centered ones could not be guaranteed to do what they should merely by requiring that they acted in accordance with certain rules. The Devil, after all, can quote scripture to serve his own purposes; one can conform to the letter of a rule while violating its spirit. Hence it was recognized that a certain amount of virtue and corresponding moral or practical wisdom (phronesis) might be required both to interpret the rules and to determine which rule was most appropriately to be applied in a particular case[1].

 

시기 윤리학의 동시출현은 적어도 가지 점에서 당초의 견해가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의사가 덕이 있을 필요가 있는가를 고려할 , 오만하고, 인정 없고, 부정직하고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의 경우 규칙 대로 하라는 요구로는 그들이 해야만 하는 일들이 실제로 행해진다는 것을 보장할 없다는 사실이 점점 분명해졌다. 악마는, 그것이 악마임에도 불구하고, 자기 목적을 위해 성경을 인용할 있다.  사람들은 그것의 정신은 위배하면서도 규칙 서한을 따를 있다. 따라서, 규칙을 해석하고 어떤 경우에 어떤 덕이 가장 적절히 적용될 지를 결정하는 , 가지 모두를 위해, 어느 만큼의 덕과 그에 상응하는 도덕적 또는 실천적 지혜 (phronesis) 필요하다는 점이 인정되었다.    



[1] ‘It is true that principles underdetermine decisions. This is hardly news for those who have advocated ethical theories that makes principles or rules central. Kant, for example, insisted that we can have no algorithm for judgment, since every application of a rule would itself need

supplementing by further rules.’ O’Neil, ‘Abstraction, Idealization and Ideology in Ethics’, (1987), 58원칙이 결정을 불충분결정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것은 원칙과 규칙을 중심으로 하는 윤리학 이론의 옹호자들에게는 색다른 주제일 것이 없다.  예를 들어, 칸트는 규칙의 모든 적용은 자체가 추가 규칙에 의해 보충되어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판단을 위한 어떠한 알고리즘도 가질 없다고 주장했다.’ O’ Neil, ‘Abstraction, Idealization and Ideology in Ethics’, (19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