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후기에서 death-bed 란 말과 함께 연상되던 영화가 있었다고 했는데, 그게 뭐였는지 알았다. 기억을 뒤져 보니 그 영화는 타르코프스키나 베르히만이 아니라 앙겔로풀로스의 영원과 하루에 나온 한 장면이었다. 캡쳐 말고 그냥 무턱대고 화면 세워서 텔레비전을 통째로 찍(고 자른) 사진이 있었는데 쓰려고 보니 이제 없다. 주인공이 어머니가 누워 있는 병원에 가서 독백하는 장면이었는데, 어머니는 관심이 통 없어 보이는데 아들만 심각하게 독백하는 모습이 더 인상적인 것 같던 씬이었다. 지금은 그리 감흥이 오는 것 같지 않은데 그래도 그때는 뭔가가 와서 화면까지 세우고 받아 적었겠지. 그 아래는 그러니까 결국 death-bed 를 떠올리게 했던 장본영화, 베르히만이 각본을 쓴 faithless 의 한 대사였다. 다행히 같은 메모장에 저장되어 있어서 찾았다. 좀 복잡하게 됐다.

 

<영원과 하루 중에서>

Why mother

Why didn’t anything work out the way we expected?

Why?

Why must we…helplessly…torn between pain and desire?

Why have I lived my life in exile?

Why have I felt at home only in those rare moments when granted the grace to speak my language, my own language, when I could still recover words or retrieve forgotten words from the silence? Why is it that only then could I hear the sound of my footsteps echoing in my house again?

Why? Tell me mother

Why didn’t we know how to love?

<Faithless 중에서>

'it's already nearness to death' 'loneliness, alien, and alienation'

 

이제 후기.

 

* 그림은 본문에 나올 introspection 을 구글 이미지 검색으로 찾은 것.

 

 

There are, indeed, some forms of utilitarianism which aim to be entirely ‘value-free’ or empirical, such as those which define happines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actual desires or (1) preferences, regardless of their content, or (2) as a mental state whose presence is definitively established by introspection.

 

(1) 내가 주로 보는 책에서는 이 말은 대체로선호’ 로 옮기는 것이 맞는 번역이다. 자동적으로 그렇게 하고 다시 죽 읽어 보니, 뭔가 뜻이 자연스럽게 통하지 않는 것 같아서 철학+preference로 확인검색을 했다. ‘우선성’ 이 뜨길래, 이거다 싶어서 그렇게 옮겼다. (2) 서문에 이 문장이 미리 나왔었는지 모르겠는데, 낯익은 골치아픔이었다. 어쨌든 introspection definitely established 를 어떻게 엮어 옮겨야 맞고 자연스러운지 조금 시간이 걸렸다. Instrospection 은 내면의 감정 명상 등이라는 사전 상의 낱말 뜻이 나와 있었지만, 확인검색을 했다. 철학+Introspection 에서 (데카르트의) 내관이나 내성으로 옮겨진다는 용례를 찾았다. 하지만 그 뜻은 내가 막 읽고 받은 느낌대로 풀고 싶었다. 내가 이해한 바로는 저 문장은 그 일부 이론들은 객관성이 결여된 순 주관의 어떤 것으로 행복을 정의한다. 그런 행복은 그 누구도 아닌 나만이 그 속을 알 수 없는, 내 내면의 감정 등으로만 실제의 존재여부를 확정할 수 있는 어떤 정신심리적 상태를 놓고서 행복이냐 아니냐를 따진다였다. 하지만 이렇게 줄줄 쓸 수는 없어서 실제 번역은 원문에 가깝게 했다. Definitely established 의 경우는 established 보다 definitely 에 무게가 간다고 보고, 그쪽에 의미를 두어서 확정, 확립 등으로 받았다.

 

 

Such forms(3) run into well known problems, and (4) have always seemed to me the least plausible, but I accept that anyone who embraced them may consistently complain that v-rules give (5)inferior action guidance in virtue of containing  ‘evaluative’ terms. (3) run into 그러저러한 문제에 (달려든다) 빠진다 vs. –그러저러한 문제와 충돌한다(부딪힌다) 중에서 좀 생각하다가, 큰 의미상의 차이가 없다면 사전에 우선 나오고 용례가 많은 것으로 해야겠다 싶어서 그렇게 했다. 문제는 well known problem 이 뭐냐인데, 저자님께서는 아무런 구체적 설명도 주지 않아서 이러시면 저와 같은 문외한들은 그게 무슨 문제인지를 모릅니다속으로 툴툴거리고 넘어 갔따. (4) 의 경우는 갑자기 시제가 눈에 띄여서 뭔가 있는지 살폈고 다른 특별한 조심할 거리는 없는 것 같아서, 시제만 살리고 별다르지 않게 옮겼다. (5) 지난 번에는 inferior 를 하위로 옮겼는데, 반복되는 말이라 하급이라는 뜻으로도 했다. Superior vs. inferior pleasure 는 직감적으로는 저질 고질 (고매한) 쾌락이렇게 왔는데, 그렇다고 그렇게 옮기면 좀 이상할 것 같아서 말았다. 오랜만에 생각난 말이다 저질고질.

 

 

But a utilitarian who wishes to employ any distinction between the higher and lower pleasures, or pronounce on what rational preferences would be, or rely on some list of goods (such as autonomy, friendship, or knowledge of important matters) in defining happiness, must grant that even her single rule is (6) implicitly ‘evaluative’. This is why, briefly, I think that utilitarianism is not generally immune to the threat of moral relativism or skepticism, as I mentioned above.)

 

 

(6) implicitly 는 글쎄 나의 경우는 조금씩 긴장이 되는 말이다. 물론 문맥에서 실수를 막을 다른 내용들이 나오는 때가 많기는 하지만, 난 혼동스러운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이 말에는  indirectly 도 있지만 absolutely 의 의미도 같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이 경우는 함축의 의미인 줄 알 수 있었으나 아래 반복되어 나오는 implicitly 의 경우는 몇 번 다시 읽어야 했다.

 

 

What about deontology? If we concentrate on the single example of lying, defining lying to be (7)‘asserting what you believe to be untrue, with the intention of deceiving your hearer(s)’, then we might, for a moment, preserve the illusion that a deontologist’s rules do not contain ‘evaluative’ terms. But as soon as we remember that few deontologists will want to forego principles of non-maleficence and(or) beneficence, the illusion vanishes. For these principles, and their corresponding rules (do no evil or harm to others, help others, promote their well-being), rely on terms or concepts which are at least as ‘evaluative’ as those employed in the v-rules.

 

 

(7) asserting 도 좀 고심을 했다. ‘단언하다의 의미가 제일 먼저 나오지만, 굳이 confirm 을 쓰지 않고 asserting 을 쓴 것은 틀린 줄 알(믿으) 면서 마치 맞는 것처럼 긍정성을 강조하며 주장하다 (옹호하다) 의 의미를 더 살리겠다는 뜻으로 읽혔다. 그래서 Affirm 의 의미로 받았다. 굵게 표시한 evaluative term 은 혹시 저기서 저 말을 내가 받은 평가적용어 대신 평가적인 의미를 가진술어 이렇게 써야 철학텍스트 답게 옮기는 것이 되는 게 아닌가 갑자기 의문이 들어서..그래서 아래 반복되는 같은 말에는 그렇게 받았다.

 

 

(8) We see revealed here a further inadequacy in the slogan ‘Utilitarianism begins with the Good, deontology with the Right’ when this is taken as committing deontology to making the concept of the Good (and, presumably, the Bad or Evil) somehow derivative from the concept of the Right (and Wrong). A ‘utilitarian’ who relied on the concept of right, or virtuous, action in specifying his concept of happiness would find it hard to shrug off the scare quotes, but no one expects a deontologist to be able to state each of her rules without ever employing a concept of good which is not simply the concept of right action for its own sake, or without any mention of evil or harm.

 

 

(8) 이번 분량에서 말로 풀기 제일 어려웠던 문단이었다. 좀 아슬아슬하게 한 것 같고, 대신 정말 여러 번 읽어 보는 것으로 내 공부 했다고 쳤다. 이런 문장들이 대체로 그렇지만, 영어의 문제가 아니라(그 문제도 크겠지만) 이해력의 부족 또는 배경없음^^ 이 또 한 이유겠다.

 

 

우선 나는 첫 문장을 저자님께서 다시 한 번 문장순서를 변주하신 것으로 읽었다. , revealed 는 저 자리가 아니라 그 슬로건의 inadequate 한 상태가 revealed 된 것이고, 그 부적합함이란 [“공리주의는 선에서 의무론은 옳음에서라는 슬로건을 우리가 받아 들이기에 따라 마치…] 여기까지는 그래도 괜찮았고, 다음, 마치 의무론이 그 이론의 처음은 옳음이니까 거기서 선을 끄집어 내는 것으로 보게 될 가능성이 있고 (그런데 그건 잘못된 이해고) 따라서 이렇게 된다면 그 슬로건은 부적절하다. 여기서는 그렇게 보면 뭐가 왜 문제인지를 내가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좀 걸렸지만 그래도 넘어갈 수 있었다. 문제는 다음.

 

 

여기서는 공리주의자와 의무론자가 비교되고, 스스로 알게 될 공리주의자와 아무도 [애초에] 기대를 하지 않을 의무론자, 내가 읽은 바로는 이렇게 대조된다. 그 공리주의자는 행복을 정의하려면 불가피하게 쓸 수 밖에 없는 술어들이 실은 덕의 개념들이고 일단 그렇게 규정을 하고 나면 그 말들이 그렇게 쉽게 분리되어지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된다. (그래서 그건 무서운 인용들이다) 의무론자의 경우는 그보다 더 해서 (난 그렇게 글이 읽혔다) 인용구 정도가 아니라, 애초에 자기 규칙이 그 술어들 (가치판단적인 의미가 담긴) 이 아니면 서술 자체가 가능하지 않는다. 이게 내가 이해한 것인데다 읽고 옮기고도, 그래서 저자님께서 여기서 하고 싶으신 말씀이 정확히 뭔가.. 으음이런 식이었고, 남은 기껏 비유를 들어 암시를 줬는데 독자가 이 모양이라 분위기가 안 나서 또 으음이랬다.

 

 

We might also note that few deontologists will rest content with the simple, (9) quasi-biological ‘Do not kill’, but more refined versions of that rule such as ‘Do not murder’, or ‘Do not kill the innocent’, once again employ ‘evaluative’ terms, and ‘Do not kill unjustly’ is itself a particular instantiation of a v-rule.

 

 

(9) 저기서 죽이지 말라가 준 생물학적인 것은 그 뒤의 가치판단적인 문장들 보다 단순하고 말 그대로 생물학적 (비정치적?) 이라서 인 것 같다.

 

 

Granted, adult deontologists must think hard about what really constitutes harming someone, or promoting their well-being, or respecting their autonomy, or murder, but surely (10) the simple rules we learnt (11) at our mother’s knee are indispensable. How could virtue ethics plausibly seek to dispense with these and expect toddlers to grasp ‘act charitably, honestly, and kindly, don’t act unjustly’, and on so on? Rightly are these concepts described as(12) ‘thick’! Far too think for a child to grasp.

 

 

(10) 은 기본규칙으로 할까 단순 규칙으로 할까 하다가 이후로 계속 어린이의 눈높이가 강조되는 것 같아서 단순 규칙으로 했다. 이 순간, 앞으로는 규칙과 함께 규율로도 옮겨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1) 은 의미가 나 어릴 때인 것은 알겠으나 정확히 이 표현이 어디서 왔는지가 궁금해서 좀 뒤졌다. 그림이 이해가 쉬워서.. 내가 알고 싶었던 것은 이 말을 어딘가에서는 엄마 품에 안겨있을 때로 받아도 되는가였는데, 그렇다면 그 말은 on mother’s knee at mother’s knee 는 내 키가 엄마 무릎에밖에 오지 않을 때 그러니까 그만큼 어릴 때, 그 의미가 정확한 것 같다. 참고로, 이런 것들이 at mother’s knee rules 들이란다.  http://www.geocities.com/nan_barr_44/at_mothers_knee_ll.htm

 

 

(12) 는 뜻은 알겠는데 우리 말로 어떻게 옮겨야 딱 맞아 들어가는지 자신이 없어서 열 번도 넘게 바꾸다 말다 했다. 이 경우는 확인검색이 외려 더 헛갈림만 키워줬다. Thick thin 윤리 또는 철학으로 검색했는데 두껍다/ 심층적이다/ 두텁다/중층적이다/ / 굵다/” 등등이 다 나와 있었다. 내가 공부하는 쪽에서는 mixed up multilayered 일 때 thick 이라 하는데 thin 은 거의 못 봤다. 그래서 중층으로 할까 하다가, 저자가 이 말을 쓴 것은 그 의미를 도우려고 그렇게 표현이 될 수 있다고 한 것이지, 그걸 그 말의 개념으로 삼겠다는 정도로 엄밀하게 하려는 것 같지 않아서 그냥 너무 어려운 말 말고 굵다 두껍다 뻑뻑하다 중에서 하나 하는 게 낫겠다고 결론을 봤다. 그 셋을 계속 옮겨 가 보다가 그냥 제일 단순한 걸로 두껍다로 했다. 맨 아래에 moral philosophy + thick + thin+ concept 으로 확인검색하다 본 문장들 일부를 옮겼다. 참조로:

 

 

Firstly, (13) the implicit empirical claim that toddlers are taught only the deonotologist’s rules, not the ‘thick’ concepts, is surely false. Sentences such as ‘Don’t do that, it hurts the cat, you mustn’t be cruel’, ‘Be kind to your brother, he’s only little’, ‘Don’t be so mean, so greedy’, are commonly addressed to toddlers. (14) For some reason, we do not seem to teach ‘just’ and ‘unjust’ early on, but we certainly teach ‘fair’ and ‘unfair’

 

 

(13) 여기서의 implicit 이 나한테는 살짝 헛갈렸다. 만일 that 이하가 명백히 경험에 근거하여 나온 진술이라면 이때의 implicit 은 암시적이라고 볼 수 없지 않은가 싶어서. 그래도 강하게 반박할 내용이 없어서 암묵적으로 옮기고 말기는 했다 (대신 내일쯤 implicit 의 용례를 좀 찾아 정리해 보기로) (14) 그러게 정말 그러네..” 했던, 읽고 보니 궁금하던 주장.

 

 

 

=====

 

By “thick” and “thin” I mean to refer to a distinction first introduced by Gilbert Ryle, later made famous by the anthropologist Clifford Geertz, and redeployed in the context of moral philosophy by Bernard Williams and Simon Blackburn.

 

While the distinction between thick and thin concepts is not new, it is also not a settled part of philosophical orthodoxy. Philosophical orthodoxy appears to be dominated by two prevalent ways of thinking about meaning. On one approach, the meaning of a term is an object or objects that it stands for, while on the other approach, meaning consists in the shared use of language in a community. The former approach is exemplified by philosophers who ask questions like  ‘what is the contribution of a natural kind term, pronoun or proper name to a proposition,’ (cf. Saul Kripke, Nathan Salmon, David Kaplan and Scott Soames), while the latter is exemplified by philosophers who ask questions like ‘how does a community come to have normative concepts that have an objective (convergent) meaning?’ (cf. Ludwig Wittgenstein, John McDowell, Robert Brandom, and Crispin Wright). 

 

The thick and thin distinction promises a way out of this conundrum, for it suggests that there are some concepts—thin concepts—whose meaning is such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service of competing and radically different ends, unlike thick concepts which have a more specific end in their use. The putative archetype of an evaluatively thin concept is ‘good,’ given that it can be used to evaluate virtually any thing that a speaker regards as positive (for example. “good car,” “good food,” “good person,”) and an example of a thicker concept is ‘inconsiderate,’ whose meaning constrains its application to evaluations of people’s character and actions.  If there are such thin concepts, and if thick concepts can be defined in part by thin concepts, then we have every reason to believe that other languages (be they ancient or modern) will have thin concepts commensurable with our thin concepts, and whatever thick concepts they have can be defined in terms of thin concepts common to both languages. With such a correlation in hand, we can beg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ideas of deep emotional significance to peoples, while steering clear of the possibility that we might produce a translation that simply flatters our own world view.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