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indeed, some forms of utilitarianism which aim to be entirely ‘value-free’ or empirical, such as those which define happines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actual desires or preferences, regardless of their content, or as a mental state whose presence is definitively established by introspection. Such forms run into well known problems, and have always seemed to me the least plausible, but I accept that anyone who embraced them may consistently complain that v-rules give inferior action guidance in virtue of containing ‘evaluative’ terms. But a utilitarian who wishes to employ any distinction between the higher and lower pleasures, or pronounce on what rational preferences would be, or rely on some list of goods (such as autonomy, friendship, or knowledge of important matters) in defining happiness, must grant that even her single rule is implicitly ‘evaluative’. This is why, briefly, I think that utilitarianism is not generally immune to the threat of moral relativism or skepticism, as I mentioned above.)

 

실제로, 완전히 가치 중립적이거나 경험론적인 것을 목표로 하는 몇몇 형태의 공리주의 이론들이 있다. 그들은, 예를 들면, 내용에 상관없이 실제 욕구나 우선성이 충족되었느냐의 관점에서, 또는 내면의 관찰 [內觀] 존재가 확정되는 정신적 상태로 행복을 정의한다. 그러한 형식들은 우리가 익히 알만한 문제들에 부딪히고, 나에게는 언제나 설득력이 가장 떨어지는 설명들처럼 보였다. 그러나 나는, 그런 형태의 이론을 받아 들인 누군가가 일관된 어조로 윤리학의 규칙들은 평가적인개념들을 담고 있으며 점에서 윤리학은 하급의 행위 규범을 제시한다는 불만을 토로하는 것이 무리가 아니라고 인정한다. 그러나, 상위와 하위의 쾌락을 구분 지으려 하거나, 합리적인 우선성에 관한 견해를 표명하고자 하거나, 또는 행복의 정의를 일부 선의 목록 (예컨대, 자율성, 우정 또는 주요 문제들에 관한 지식) 근거하여 내리고자 하는 공리주의자가 있다면, 그는 반드시 자신이 말하는 단일 규칙 조차 평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만 것이다. 나로서는 점이, 간략히 말하자면, 공리주의가 위에 언급한 도덕적 상대주의나 회의주의로부터 전면적으로 면제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들게 하는 이유이다.

 

What about deontology? If we concentrate on the single example of lying, defining lying to be ‘asserting what you believe to be untrue, with the intention of deceiving your hearer(s)’, then we might, for a moment, preserve the illusion that a deontologist’s rules do not contain ‘evaluative’ terms. But as soon as we remember that few deontologists will want to forego principles of non-maleficence and(or) beneficence, the illusion vanishes. For these principles, and their corresponding rules (do no evil or harm to others, help others, promote their well-being), rely on terms or concepts which are at least as ‘evaluative’ as those employed in the v-rules.

 

의무론은 어떤가? 만약 우리가 거짓말이라는 하나의 예에 초점을 맞추고, 거짓말을 네가 참이 아니라고 믿는 것을 청자를 기만하려는 의도에서 긍정하는 행위이라고 정의한다면, 당장은 의무론자의 규칙이 평가적인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착각을 유지할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악행 금지의 원칙 그리고(또는) 선행의 원칙을 버려도 괜찮다고 의무론자는 거의 없다는 점을 상기하자마자 그런 착각은 사라진다.  왜냐하면, 이들 원칙들과 그에 상응하는 규칙들은 (나쁜 짓을 하지 말라, 또는 남에게 해를 입히지 말라, 남을 도와라, 남의 행복을 높여라) 최소한 윤리학의 규칙에 사용된 것들만큼의 평가적 개념과 용어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We see revealed here a further inadequacy in the slogan ‘Utilitarianism begins with the Good, deontology with the Right’ when this is taken as committing deontology to making the concept of the Good (and, presumably, the Bad or Evil) somehow derivative from the concept of the Right (and Wrong). A ‘utilitarian’ who relied on the concept of right, or virtuous, action in specifying his concept of happiness would find it hard to shrug off the scare quotes, but no one expects a deontologist to be able to state each of her rules without ever employing a concept of good which is not simply the concept of right action for its own sake, or without any mention of evil or harm.

 

우리는 여기서, 만일 그것으로 인해 우리가 의무론의 선의 개념 (더불어, 아마도 나쁨이나 ) 들을 옳음 (그리고 그름) 개념에서 파생되어 나온 2차적 개념으로 이해하게 경우, ‘공리주의는 선에서, 의무론은 옳음에서 시작된다라는 슬로건이 보여 주는 한층 더한 부적합함을 있다. 행복의 개념을 정의 내리면서 옳은, 또는 덕이 있는 행위 개념에 근거했던 공리주의자 무서운 인용들을 떨쳐 내기가 어렵다는 것을 깨닫게 것이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단순히 옳은 행위 차원의 개념이 아닌 [좋음] 개념 없이, 또는 악이나 해에 관한 언급 없이 의무론자가 각각의 규칙들을 진술할 있다고 예상하지 않는다.   

 

We might also note that few deontologists will rest content with the simple, quasi-biological ‘Do not kill’, but more refined versions of that rule such as ‘Do not murder’, or ‘Do not kill the innocent’, once again employ ‘evaluative’ terms, and ‘Do not kill unjustly’ is itself a particular instantiation of a v-rule.

 

우리는 또한 죽이지 말라, 단순하고 -생물학적인 규칙에 만족할 의무론자들은 거의 없을 것이며, 보다 정교한 형태의 규칙들, 예를 들면 살인하지 말라또는 무고한 사람을 죽이지 말라등의 규칙들은 거듭 평가적 술어들을 구사하고 있고, ‘정의롭지 못한 방식으로 죽이지 말라 자체가 규칙의 특별한 사례라는 점들을 아마도 유념할 있을 것이다.    

 

Supposing this point were granted, a deontologist might still claim that the v-rules are markedly inferior to deontological rules as far as providing guidance for children is concerned. Granted, adult deontologists must think hard about what really constitutes harming someone, or promoting their well-being, or respecting their autonomy, or murder, but surely the simple rules we learnt at our mother’s knee are indispensable. How could virtue ethics plausibly seek to dispense with these and expect toddlers to grasp ‘act charitably, honestly, and kindly, don’t act unjustly’, and on so on? Rightly are these concepts described as ‘thick’! Far too think for a child to grasp.

 

만일 이런 점이 인정된다면, 의무론자들은 계속해서 다음을 주장할 모른다. 어린이를 지도할 지침에 관해서라면, 윤리학의 규칙들은 의무론의 그것들 보다 현저히 하급 규칙들이다. 맞다. 성인 의무론자들은 무엇이 진정으로 남을 해롭게 하는 것인지, 무엇이 그들의 행복을 높이기 위해 기여하는 일인지, 또는 무엇이 타인의 자율 아니면 살인을 존중하게 하는 것인지를 냉철하게 사고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들이 정말 어릴 배운 단순한 규칙들은 없어서는 되는 것들이다. 어떻게 윤리학이 이들 규칙들이 없어도 되는 상태를 추구할 있으며, 어떻게 그러면서 어린 아이들이 자비롭게, 정직하게, 그리고 친절하게 행동하라, 정의롭지 못한 행동을 하지 말아라기타 등등의 의미를 이해하리라고 예상할 있겠는가? 이들 개념들은 두껍다 표현되어 마땅하다! 어린 아이들이 알아 듣기에는 생각할 것이 너무 많다.   

 

 

 

Strictly speaking, this objection is rather different from the general objection that v-rules fail to provide action guidance, but it arises naturally in the context of the general one and I am more than happy to address it. For it pinpoints a condition of adequacy that any normative ethics must meet, namely that such an ethics must not only come up with action guidance for a clever rational adult, but also generate some account of moral education, of how one generation teaches the next what they should do. But an ethics inspired by Aristotle is unlikely to have forgotten the question of moral education, and the objection fails to hit home. Firstly, the implicit empirical claim that toddlers are taught only the deonotologist’s rules, not the ‘thick’ concepts, is surely false. Sentences such as ‘Don’t do that, it hurts the cat, you mustn’t be cruel’, ‘Be kind to your brother, he’s only little’, ‘Don’t be so mean, so greedy’, are commonly addressed to toddlers. For some reason, we do not seem to teach ‘just’ and ‘unjust’ early on, but we certainly teach ‘fair’ and ‘unfair’

 

엄격히 말하자면, 지금의 반박은 규칙들이 행위 지침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주장에 반하는 일반적인 반론과는 다소 다른 점이 있지만, 일반론의 맥락에서 자연스럽게 제기되는 것이므로, 나는 점을 해명할 있게 점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 왜냐하면 문제는 어느 규범 윤리학이라도 반드시 충족시켜야 하는 적합성의 요건, 윤리학 이론은 지성을 갖춘 이성적 성인을 위한 행위 규범 아니라 도덕 교육, 세대가 다음 세대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가르치는 방식, 관한 논거 또한 제시해야 한다는 조건을 정확하게 기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영감을 받은 윤리학이 도덕 교육의 문제를 잊고 있었을 만무하므로, 반론은 핵심을 비켜난 것이다. 첫째, 어린 유아들이 의무론자들의 규칙으로만 가르쳐질 , 두꺼운개념으로는 교육되지 않는다는 암묵적인 경험론적 주장은 확실히 틀린 것이다. ‘그렇게 하지 말라. 그러면 고양이가 다친다. 절대로 동물을 학대해서는 안된다.’ ‘동생한테 친절해야지. 그애는 너무 어리지 않니’ ‘그렇게 짖궃게 굴지 말아라. 너무 욕심부리지 말아라등은 유아들에게 흔히 설명되는 문장들이다. 어떤 이유에서, 우리는 정의로운 정의롭지 않은 관해서는 일찍부터 가르치는 같지 않지만, 확실히 공평한 공평하지 않은 가르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