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 An action is right iff it is what a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i.e. acting in character) do in the circumstances.

 

어떤 행위는 상황에서 있는 행위자가 그의 특징대로 하는 행동 (, 성격 대로 하는 행동) 경우에만 옳다.

 

This specification rarely, if ever, silences those who maintain that virtue ethics cannot tell us what we should do. On the contrary, it tends to provoke irritable laughter and scorn. ‘That’s no use’, the objectors say. ‘It gives us no guidance whatsoever. Who are the virtuous agents?’

 

이런 조건의 명시가 사람들, 무엇을 해야 하는가 관해 윤리학은 우리에게 아무 것도 알게 없다는 주장을 계속하는 사람들의 말문을 닫게 하는 일은, 그런 일이 있다고 하더라도 거의 없다. 그러기는커녕, 이런 상술은 성마른 웃음이나 조소를 자극하기가 쉽다. 반대자들은 그것은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 주장한다. ‘그것으로는 어떠한 지침도 주지 못합니다. 덕이 있는 행위자가 누구랍니까?’      

 

But if the failure of the first premise of an account of right action, the premise which forges a link between the concept of right action and a concept distinctive of a particular normative ethics, may provoke scorn because it provides no practical guidance, why not direct similar scorn at the first premises of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in the form in which I have given them? Of each of them I remarked, apparently in passing, but really with a view to this point, that they gave us no guidance. Act utilitarianism must specify what are to count as the best consequences, and deontology what is to count as a correct moral rule, producing a second premise, before any guidance is given. And, similarly, virtue ethics must specify who is to count as a virtuous agent. So far, the three are all in the same position.

 

그러나 만일 옳은 행위에 관한 어떤 설명에 포함된 번째 전제, 옳은 행위라는 개념과 어느 특정한 규범 윤리학 이론의 고유한 개념 사이를 연결 짓는 전제 상의 실패가, 그것이 실천적 지침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조롱에 반응을 자극할 모른다면, 그와 비슷한 비웃음이 내가 제시해 형태의 행위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번째 전제를 향해서는 돌려지지 않는가? 내가 언급한 그들 각각은, 외견 부수적인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지금 점을 겨낭해서 본다면, 어느 이론도 지침을 놓지 않았다.  행위 공리주의는 무엇을 최선의 결과로 봐야 하는지를 반드시 명시해야만 하며, 의무론은 무엇이 옳은 도덕 규칙으로 간주될 것인지를 반드시 규정해야 한다. 유사하게, 윤리학은 누구를 덕이 있는 행위자로 것인지에 관해 명확히 기술해야만 한다. 지금에 이르기까지, 셋은 모두 같은 처지에 있는 것이다.

 

Of course, if the virtuous agent can be specified only as an agent disposed to act in accordance with correct moral rules, as is sometimes assumed, then virtue ethics collapses back into deontology and is no rival to it. So let us add a subsidiary premise to this skeletal outline, intended to show that virtue ethics aims to provide a non-deontological specification of the virtuous agent via a specification of the virtues, which will be given in its second premise.

 

물론, 만일 덕이 있는 행위자가, 때때로 그렇게 가정되는 것처럼, 옳은 도덕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 사람이라고만 한정된다면, 윤리학은 이름을 내리고 의무론으로 흡수되어 들어가게 것이고 그렇게 되면 이론의 경쟁자가 만무하다. 그러므로 개요의 뼈대에 다음을 보이려는 의도, 윤리학이 덕의 정의에 의하여   있는 행위자에 대한 -의무론적 정의를 내리려 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보조 전제를 하나 추가하도록 하자.

 

P.1.a. A virtuous agent is one who has, and exercises, certain character traits, namely, the virtues.

 

P.1.a.  덕이 있는 행위자는 뚜렷한 성격 상의 특징, 이름하여 () 가지고 있고 그것을 행하는 사람이다. 

 

P.1.b.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that…

P.1.b. 덕이란 다음으로 설명되는 어떤 성격 상의 특징이다

 

 

 

 

 

This second premise of virtue ethics, like the second premise of some versions of deontology, might be completed simply by enumeration—‘is on the following list’—and then a list is given, perhaps completed with ‘etc.’ Or we might interpret the Hume of the second Enquiry as espousing virtue ethics. According to Hume, we might say,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of human being) that is useful or agreeable to its possessor or to others (inclusive ‘or’ both times). Or we might give the standard neo-Aristotelian completion, which claims that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to flourish or live well.

 

번째 전제는, 의무론의 번째 전제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다음의 목록에 나온것들 열거함으로써 끝날 지도 모른다. 그런 뒤에는 목록이 주어지고, 아마도 기타 등등으로 끝날 것이다. 또는 번째 탐구[도덕 이론에 관한 탐구] 에서의 흄을 윤리학을 지지하는 견해로 해석할 있을 것이다. 흄에 따르면, 덕은 덕을 가진 또는 타인 (포괄적인 또는양자 모두) 에게 이롭거나 맞는 (인간의) 성격 특성이다. 또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기본 관점을 제시하면서, 덕은 인간 존재가 행복, 번영을 위해 혹은 살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성격 상의 특징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Here, then, let me tell you what we have a specification of right action, whose structure closely resembles those of act utilitarianism and many simple forms of deontology. Comparing the three, we see that we could say, ‘Virtue ethics (in its account of right action) is agent-centered in that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 virtuous agent in the first premise of its account of right action, where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introduce the concepts of consequences and moral rule respectively.’ That’s true; it does. But note that it is not thereby ‘agent-centered rather than act-centered’. It has an answer to ‘How shall I decide what to do?’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그것의 구조가 행위 공리주의의 그것과 매우 유사한, 옳은 행위에 관한 윤리학적 정의를 얻은 셈이다. 셋을 비교하면서 우리는 다음의 주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게 된다. , ‘ 윤리학은 (옳은 행위에 관한 해석에 있어서) 행위자 -중심이다. 그것은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각각 결과와 도덕 규칙라는 개념을 놓는 자리에, 옳은 행위에 관한 설명의 번째 전제에 덕이 있는 행위자 개념을 소개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것은 맞는 말이다. 윤리학은 그렇게 한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윤리학이, ‘행위 중심이라기 보다는 행위자 중심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자. 윤리학은  나는 어떻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