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ose an act utilitarian began her account of right action as follows:

 

어느 행위 공리주의자가 옳은 행위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설명을 시작했다고 가정해 보자.

 

P.1. An action is right iff it promotes the best consequences.

 

                어떤 행위는 행위의 결과가 최선이 되도록 기여하는 경우에만 옳다.

 

This premise provides a specification of right action, forging the familiar act-utilitarian link between the concepts of right action and best consequences, but gives one no guidance about how to act until one knows what to count as the best consequences. So these must be specified in a second premise, for example:

 

전제는 옳은 행위 최선의 결과 라는 개념 사이에 익히 알려진 행위-공리주의적 연관을 만들어 내면서, 옳은 행동을 규정하고 있으나, 무엇을 최선의 결과로 봐야 하는지를 알기 전에는 어떻게 행동 해야 하는지에 관해 아무런 지침도 주지 못한다. 따라서 개념들은 번째 전제에서 반드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P.2. The best consequences are those in which happiness is maximized-which    forges the familiar utilitarian link between the concepts of best consequences and         happiness.

 

P.2. 최선의 결과란 행복이 최대화 되는 결과이다. –이것은 최선의 결과 행복  이라는              개념 사이에 친숙한 공리주의적 연결고리를 만들어 낸다.                    

 

Many simple versions of deontology can be laid out in a way that displays the same basic structure. They begin with a premise providing a specification of right action:

 

의무론의 여러 단순한 형태들을 이와 동일한 기본 구조로 나타내 보일 있다. 이론들은 옳은 행위를 규정하는 하나의 전제에서 시작된다.    

 

P.1. An action is right iff it is in accordance with a correct moral rule or principle.

 

어떤 행위는 옳은 도덕 규칙 또는 원칙에 준거하여 행해지는 경우에만 옳다.

 

Like the first premise of act utilitarianism, this gives one no guidance about how to act until, in this case, one know what to count as a correct moral rule (or principle). So this must be specified in a second premise, which begins

 

행위 공리주의의 번째 전제와 마찬가지로, 지금의 전제 또한, 경우, 무엇을 옳은 도덕 규칙 (또는 원칙)으로 간주해야 하는지를 알기 전에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관해 아무런 지침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전제는 다음과 같이 시작되는 번째 전제에서 반드시 보다 명확히 정의되어야 한다.       

 

P.2. A correct moral rule (principle) is one that …

and this may be complet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어떤 옳은 도덕 규칙 (원칙) 이란

그리고 전제는 여러 갈래로 완성될 있다. 예를 들어,

 

(1)                          … is on the following list—(and then a list follows, perhaps completed with an ‘etc.’), or

(2)                          … is laid down for us by God, or

(3)                          … is universalizable/a categorical imperative, or

(4)                          … would be the object of choice of all rational beings,

 

and so on.

 

(1)     다음의 목록을 따르는 (그러면 뒤에 목록이 나오고, 아마도  기타 등등으로 끝날 것이다.), 또는

(2)     신께서 우리에게 내려 주신 , 또는

(3)     보편화될 있는 /정언명령, 또는

(4)     모든 이성적 존재의 선택 대상이 되는 ,

 

기타 등등.

 

 

 

 

 

 

Although this way of laying out fairly familiar versions of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is hardly controversial, it shows that there is something wrong with an over-used description of them, namely the slogan, ‘Utilitarianism begins with’ (or ‘takes as its fundamental concept’ etc.) ‘the Good, whereas deontology begins with the Right.’[1] If the concept a normative ethics ‘begins with’ is the one it uses to specify right action, then utilitarianism might indeed be said to begin with the Good (taking this to be the same concept as that of the best), but we should surely hasten to add, ‘but only in relation to consequences or states of affairs, not, for instance, in relation to good agents, or living well’. And even then, we shall not be able to go on to say that most versions which, in this sense, ‘begin with’ the Right would have to be  versions of what Frankena calls ‘extreme act-deontology[2]’ which (I suppose) specify a right action as one which just is right.

 

이러한 방식으로 널리 알려진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진술들을 소개하는 것에 어떤 논쟁의 소지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이론들에 관해 어떤 가지의 서술, 다시 말해 공리주의는 ’ (the Good) 에서 시작되는 반면 (또는 그것을 기본개념으로 간주하는 반면 등등) 반면 의무론은 옳음’ (the Right) 에서 시작된다 구호를 남발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음을 보여 준다. 만일 어느 규범 윤리학 이론의 시작이 되는개념이 옳은 행위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일한 개념이라면 실제로 공리주의는 에서 시작된다고 ( 개념을 최선이라는 개념과 동일하게 간주한다고) 생각될 있을 지도 모르겠으나, 우리는 반드시 하지만 좋음 [] 다음 , 예를 들면 좋은  행위자 혹은 사는  관련된 좋음이 아니라 어떤 일의 결과나 상태에 관련된 좋음 [] 이라는 말을 서둘러 추가해야 한다.  그러나 심지어 경우에서조차, 지금 이런 관점에서, ‘옳음에서 시작되는 대부분이 프랑케나가 극단적 행위-의무론이라 칭한 이론, (추측하건대) 옳은 행위는 단지 올바른 상태의  어떤 행동 이라고 정의하는 그런 이론이 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해 나갈 수는 없을 같다.

 

And if the slogan is supposed to single out, rather vaguely, the concept which is ‘most important’, then the concepts of consequences or happiness seem as deserving of mention as the concept of Good for utilitarianism, and what counts as most important for deontologists (if any one concept does) would surely vary from case to case. For some it would be God, for others universalizablity, for others the Categorical Imperative, for others rational acceptance, and so on. (Should we say that for Kant it is the good will, or the Categorical Imperative, or both?)

 

그리고 만일 구호가, 다소 모호하지만, ‘가장 중요한개념을 골라내야 한다면, 결과 행복 이라는 개념들은 공리주의의 the Good 관련된 개념으로서 언급될만하다고 생각되며, 의무론 경우에는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고려될만한 것은 (만약 하나여야 한다면) 분명히 경우마다 다를 것이다. 누구에게는 그것은 신일 것이며, 다른 이들에게는 보편성, 정언명제, 이성적 수용성, 등등 것이다 (칸트에게 그것은 의지, 혹은 정언 명제, 아니면 양자 모두라고 말해야 할까?)

 

                It is possible that too slavish a reliance on this slogan contributes to the belief that virtue ethics cannot provide its own specification of right action. For many who rely on it go on to say, ‘Utilitarianism derives the concept of the Right from that of the Good, and deontology derives the Good from the Right; but how can virtue ethics possibly derive the Good and the Right from the concept of the Virtuous Agent, which it begins with?’ Now indeed, with no answer forthcoming to the questions ‘Good what?’ Right what? I have no idea. But if the question is, ‘How can virtue ethics give an account of right action in such a way as to provide action guidance? The answer is easy. Here is its first premise.

 

이런 구호에 대한 맹목적인 의존이 다음의 믿음, 윤리학은 옳은 행위에 관한 자기 고유의 정의를 내릴 없다는 믿음에 일조한다는 것은 가능한 주장이다. 구호를 믿는 다수는 지금도 계속해서 공리주의는 개념에서 옳음, 의무론은 옳음에서 개념을 추론한다. 그러나 윤리학은 어떻게 자기 이론의 출발인 덕이 있는 행위자 개념에서 선과 옳음을 추론해 있는가?’  라고 주장한다. 지금으로서는, 선한 무엇?’ ‘옳은 무엇?’ 관해 아무런 답변도 예정되어 있지 않은 조건에서는, 나는 그에 대해 아무 것도 생각할 없다. 그러나, 만약 질문이 행위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방도로써, 윤리학은 옳은 행위에 관해 어떤 설명을 놓을 있는가?’ 라면 답은 간단하다.  여기 윤리학의 번째 전제가 있다.

 



[1] For a particularly illuminating critique of Rawls’s distinction, see G. Watson, ‘On the Primacy of Character’ (1990). See also Hudson, ‘What is Morality All About?’, (1990) and Herman, The Practice of Moral Judgment, Ch. 10, who both challenge the slogan in relation to Kant’s deontology. .롤스의 구분에 관한 특히 명확한 비판으로는 왓슨의‘On the Primacy of Character’ 를 볼 것. 또한 허드슨의 What is Morality All About?’ 헤르만의The Practice of Moral Judgment  10장을 볼 것. 두 사람은 모두 칸트의 의무론에 관련된 구호에 도전한다.

[2] W. Frankena, Ethics (19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