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I ACTION

1행위

 

I. Right Action

1.  옳은 행위

 

 

Virtue ethics has been characterized in a number of ways. It is described (1) as an ethics which is ‘agent-centered’ rather than ‘act-centered’; (2) as concerned with Being rather than Doing; (3) as addressing itself to the question, ‘What sort of person should I be? rather than to the question, ‘What sorts of action should I do?’; (4) as taking certain areteic concepts (good, excellence, virtue) as basic rather than deontic ones (right, duty, obligation); (5) as rejecting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in rules or principles that can provide specific action guidance.

 

윤리학의 특징은 여러 가지로 설명되어 왔다. 윤리학은 (1) ‘행위-중심보다는 행위자 중심 윤리학이며, (2) 행함 (Doing) 보다는 존재 (Being) 관한 것이고, (3)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보다는 나는 어떠한 사람이어야겠는가?’ 문제를 다루며, (4) 의무론의 개념 (옳음, 의무, 책임) 보다는 아레테적 개념 (좋음, 탁월함, )들을 기본 개념으로 간주하고, (5) 윤리학이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규정할 있는 규칙이나 원리로 강령화 있다는 견해를 수용하지 않는다고 기술된다.    

 

I give this list because these descriptions of virtue ethics are so commonly encountered, not because I think they are good ones. On the contrary, I think that all of them, in their crude brevity, are seriously misleading. Of course, there is some truth in each of them, which is why they are so common, and I shall return to them as we proceed, to note what truth, with what qualifications, they may be seen as containing. Readers familiar with the recent literature I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which has blurred the lines of demarcation between the three approaches in normative ethics, will no doubt have discarded or qualified them long since. But here, at the outset, it seems best to begin at a simple level, with the descriptions most readers will recognize, and work out way through to some of the complications and subtleties that are not so well known. 

 

 

나는 지금의 목록을 이러한 서술이 윤리학에 관한 좋은 설명이라고 생각해서가 아니라, 이들이 아주 흔히 접하게 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제시했다. 이에 반해, 나는 이들 모두가, 조야하게 줄여진 상태로, 윤리학을 심각하게 오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각각에는 일부 사실이 있고, 그것이 이들이 그렇게 일반적인 이유일 것이므로, 논의가 계속되면 이들에게 어떤 조건에서 어떤 사실이 담겨 있다고 생각되는지를 보기 위해 설명들로 되돌아 것이다. 서론에서 언급한 최근의 문헌, 규범 윤리학의 가지 접근방식 사이의 경계를 무너뜨려 문헌을 아는 독자들은 틀림없이 오래 전에 이들을 폐기했거나그 의미를 수정해 왔을 것이다. 그러나 처음인 여기서는 대부분의 독자들이 진위를 판단할 단순한 수준에서 시작해서 그리 알려져 있지 않은 복잡하고 미묘한 것들로 진행해 가는 것이 최선인 같다    

 

 

 

 

RIGHT ACTION

옳은 행위

 

The descriptions, especially when encountered for the first time, can easily be read as all making roughly the same point, and one way in which they are all misleading is that they encourage the thought that virtue ethics cannot be a genuine rival to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The thought goes like this:

 

서술들은 특히 처음 접할 경우 모두가 대략 같은 내용을 주장하는 것으로 읽히기 쉬우며, 하나 같이 윤리학이 공리주의나 의무론의 진정한 경쟁 상대가 없다는 생각을 조장하는 방식으로 윤리학을 전적으로 오도한다.  생각은 이와 같이 진행된다:   

 

If virtue ethics is ‘agent-centered rather than act-centered ’, concerned with ‘What sort of person should I be?’ rather than ‘What sorts of action should I do?’ (with ‘Being rather than Doing’), if it concentrates on the good or virtuous agent rather than on right action and on what anyone, virtuous or not, has an obligation to do; how can it be a genuine rival to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Surely ethical theories are supposed to tell us about right action, i.e. about what sorts of act we should do.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certainly do that; if virtue ethics does not, it cannot be a genuine rival to them.

 

만일 윤리학이 행위-중심이라기 보다는 행위자-중심이고,‘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보다는 나는 어떤 사람이어야겠는가?’ 관한 것이라면, 만일 그것이 옳은 행위, 덕이 있는 사람이건 없는 사람이건 누구나 해야 의무 있는 행동 보다는 좋은, 혹은 덕이 있는 행위자에게 초점을 둔다면, 어떻게 윤리학이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진정한 경쟁자가 있는가? 반드시 윤리학 이론들은 우리에게 무엇이 옳은 행위인지를, 어떤 행동을 해야만 하는지를 알게 의무가 있다. 공리주의와 의무론은 확실히 그렇게 하고 있다. 윤리학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면, 윤리학은 공리주의와 의무론에 실제로 필적하는 상대가 없다.    

 

Now the descriptions do not actually say that virtue ethics does not concern itself at all with right action, or what we should do; it is in so far as it is easy to take them that way they are misleading. For virtue ethics can provide action guidance. The way it does this can most helpfully be shown by comparing it with the guidance given by some versions of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all laid out in a similar way.

 

지금 서술들은 윤리학이 옳은 행위에 관해 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관해 전혀 관심이 없다는 주장을 실제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마치 그들이 오도하는 식대로 설명들을 받아 들이기 쉽다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윤리학은 행위의 준칙을 규정할 있기 때문이다. 윤리학이 행위 지침을 규정하는 방식은, 그것을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일부 해설들이 제시한 지침, 모두 유사한 구조로 나열되어 있는 지침과 비교함으로써 가장 크게 도움이 되도록 보여질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