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stories to be told about why an increasing dissatisfaction with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should have resulted in the revival of virtue ethics  (and no way of determining which is the most accurate), but certainly part of any story seems to be that the prevailing literature ignored or sidelined a number of topics that any adequate moral philosophy should address. Two I  mentioned above-motives and moral character; others were  moral education, moral wisdom or discernment, friendship and family relationship, a deep concept of happiness, the role of the emotions in our moral life, and the questions of what sort of person I should be, and of how we should live. And where do we find these topics discussed? Lo and behold, in Plato and Aristotle.

의무론과 공리주의에 관한 불만이 늘어난 결과 윤리학이 부활하게 이유를 설명하는 개의 진술들이 있다. (결코 어느 것이 가장 정확한지 결정할 수는 없지만) 어떤 설명이건 일부는 확실히 주요 문헌들이 적절한 어느 도덕 철학이라도 다루어야만 하는 많은 주제들을 무시했거나 중심에서 떼어 놓았다는 점에 대해 말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동기와 덕성- 하나고, 도덕 교육, 도덕적 지혜 혹은 분별, 우정과 가족 관계, 행복에 관한 깊이 있는 생각, 우리의 도덕적 삶에서 감정이 차지하는 중요성, 그리고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들이 나머지 주제들이다. 그러면 우리는 어디에서 주제에 관한 논의를 찾아 것인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보라!

의무론과 공리주의에 대한 불만이 커진 결과로서 윤리학이  부활하게 이유를 설명하는 여러 가지 말들이 있다. ( 어떤 것이 가장 정확한지를 결정할 길은 없다) 그러나 확실히 어떤  것이라도 일부는 기존에 보편적으로 여겨진 이론을 토대로 발표된 문헌들이 도덕철학이라는 이름에 맞다면 의당 다루었어야 하는 많은 논제들을 무시했거나 방관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가지-동기와 도덕적 인격- 하나고, 도덕 교육, 도덕적 지혜 혹은 분별, 우정과 가족 관계, 행복에 관한 깊이 있는 생각, 우리의 도덕적 삶에서 감정이 하는 기능, 그리고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것인가와 같은 질문들이 나머지 주제들이다. 그러면 우리는 어디에서 이들 주제에 관한 논의를 찾아 것인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보라!

Now of course, this is not just a coincidence. The modern philosophers whom we think of as having put virtue ethics on the map-Anscombe, Foot, Murdoch, Williams, MacIntyre, McDowell, Nussbaum, Slote[1] -had all absorbed Plato and Aristotle, and in some cases also Aquinas. Their criticisms of 'modern moral philosophy' were no doubt shaped by what they had found insightful in those earlier writers and then found lacking in the modern. But the fact remains that, once they are pointed out, many people, not just those who have read the ancient Greeks, immediately recognize the topics as important ones in moral philosophy.

물론, 이것은 단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윤리학의 이름을 높여 왔다고 생각하는 앤스콤Anscombe, Foot, 머독 Murdoch, 윌리암스Williams, 매킨타이어MacIntyre, 맥도웰 McDowell, 누스바움Nussbaum, 슬롯Slote- 등은 모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일부 아퀴나스의 사상을 흡수한 근대 철학자들이다. ‘근대 도덕 철학 대한 그들의 비판이 그들이 초기의 저작에서 발견한 통찰력 있는 내용들, 그런데도 근대에 와서 결여된 그것들 구체화 되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일단 그런 지적들이 있고 나면, 고대 그리스 철학을 연구해 사람들 아닌 많은 사람들이 즉각 주제들이 도덕 철학의 중요한 내용이라고 인정하게 된다.    

물론 이것은 단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윤리학의 이름을 널리 알려 왔다고 생각하는 앤스콤Anscombe, Foot, 머독 Murdoch, 윌리암스Williams, 매킨타이어MacIntyre, 맥도웰 McDowell, 누스바움Nussbaum, 슬롯Slote- 등은 모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일부 아퀴나스의 사상을 흡수한 근대 철학자들이다. ‘근대 도덕 철학 대한 그들의 비판이 그들이 이전의 철학자들에게서 발견했던 통찰의 내용들, 그런데 근대에 와서 결여된 그것들 구체화 되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결국, 그런 지적들이 있고 나면, 고대 그리스 철학을 연구해 사람들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즉각 주제들이 도덕 철학의 중요한 내용임을 인정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