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inctions derive, I think myself, from a specially realistic feature of Aristotle’s thought-that he never forgets the fact that we were all once children. To read almost any other famous moral philosophers is to receive the impression that we, the intelligent adult readers addressed, sprang fully formed from our father’s brow. That children form part of the furniture of the world occasionally comes up in passing(about as often as the mention of non-human animals), but the utterly basic fact that we were once as they are, and that whatever we are now is continuous with how we were then, is completely ignored.

 

내가 생각하기에, 그런 구별짓기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의 특히 실재론적인 특성에서 비롯되는 같다. 그는 우리가 모두 예전에는 어린이였다는 사실을 결코 망각하지 않는다. 다른 거의 모든 저명한 도덕철학자들의 책을 읽다 보면, 호명된 우리들, 이성적인 성인 독자들은 아버지의 머리에서 자란 채로 갑자기 솟아났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아이들이 세상을 이루는 것들 중에서 눈에 뜨이지 않는 부차적인 존재라는 것은 (대략 인간이 아닌 동물들에 대한 언급만큼이나 자주) 논의에 오르지만, 완전히 기본적인 사실, 일찌기 우리는 어린이였고, 현재의 우리가 어떠하건 그것은 예전의 우리의 상태와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는 것은 완전히 간과되고 있다.

 

We all kn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being a child and being and adult-and we all know that the difference is not merely physical. ‘When I was a child’, says St Paul, ‘I spake as a child, I understood as a child, I thought as a child: but when I became a man, I put away childish things.’ We manifest that knowledge in our ascriptions of moral responsibility-albeit often with great difficulty-regarding intentional homicide committed by eight-year-olds, or those with a ‘mental’ age of eight, differently from when it is committed by those who have ‘reached the age of reason’. So in the moral sphere we do assume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being mentally a child and mentally an adult. But what is it? Most moral philosophers have nothing to say relevant to this question because, having overlooked the fact that the rational adult moral agents they are addressing were children, they do not see it as a problem. But Aristotle does-and hence the distinctions. Neither distinction is entirely unfamiliar in modern philosophy. Many philosophers have wanted to distinguish acting from reason from acting from desire, and many have given accounts of special forms of rational wanting. But the distinctions, as thus drawn, are both technical and highly contentious, whereas the distinction between being mentally an adult and mentally a child is neither. Moreover, they tend to be presented as hard and fast, whereas, as we know, the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is a continuum; there is no precise point at which the change occurs. Although I would not stake my life on the impossibility of someone’s coming up with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acting from reason’ in the way we, typically, do, and animals and small children do not, I am quite certain that any such analysis would have to embody, somehow, that continuum. Further, mental maturity is made up of many factors. ‘Has a mental age of five’ is often a gross judgment which, perforce, ignores ways in which the subject has mental attributes that no ordinary five-year-old has. (This fact is no doubt connected to the fact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ental and the physical is often shaky. Is the desire to have sexual intercourse, or children, a mental attribute or a physical one?) Conversely, rational adults are of course not immune to childish or animal impulses or passions, but we are not thereby ‘in the same state’ as children or animals. We know, dispositionally  if not occurrently, that the impulses or passion is innocent or deplorable, unduly strong or weak, justifiable or unjustifiable, only to be expected under the circumstances or calling for justification, and so on, and that knowledge is part of the state we are in but not of whatever states animals and small children are ever in.  

 

 

우리는 어린이라는 것과 어른이라는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그것은 단순히 물리적인 차이만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내가 어렸을 ’,  애들같이 말하고, 철없이 알아듣고, 그렇게 생각했다. 그렇지만 커서 어른이 되었을 , 나는 애들같은 짓을 그만 두었다.’ 사도 바울 St Paul 말이다. 많은 경우 그러기가 무척 어렵기는 하지만, 우리는 여덟살 짜리 어린이나, ‘정신연령이 여덟살 정도인 사람이 저지른 의도적인 살인을 선악을 구분할 아는 이성의 나이에 다다른사람이 자행한 살인과 다르게 생각한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어린이로 있는 것과 성인으로 있는 것이 다르다는 인식을 도덕적 책임의 원인적 이해에서 분명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이렇게 우리는 도덕의 영역에서 정신적으로 어린이라는 것과 정신적으로 어른인 것에 차이가 있다고 전제한다. 그런데, 무슨 차이란 말인가? 도덕 철학자들 대다수는 질문과 관련한 어떠한 말도 주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신들이 염두에 두고 있는 이성적 성인인 도덕 행위자가 아이들이었다는 사실을 간과해왔으므로, 점을 문제로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달랐고, 따라서 차이를 보게 것이다. 근대 철학에서, 어느 쪽의 구별도 전적으로 생소한 것은 아니다. 많은 철학자들이 이성에서 나오는 행동과 욕망에서 비롯되는 행동을 구분시키고 싶어했으며, 이성적 욕구에 관한 특정한 설명들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이제까지 이야기 바대로 차이는 정신적으로 성인이라는 것과 정신적으로 어린이라는 것의 차이에 비하면 전문적인데다 매우 논쟁이 분분한 것들이다. 더구나, 아동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이 하나의 연속체인 것에 비해, 구분은 고정된 변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경향이 있다. , 변화가 일어나는 정확한 지점이 없다. 비록 나는 인생을, 사람은 우리가 으례 하는, 그러나 동물과 어린 아이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 식대로 이성을 따라 행동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갖추고 튀어나올 없다는 불가능성에 걸지는 않겠지만, 그런 분석의 어느 것이든 어떤 식으로든 그런 연속체의 속성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고 확신있게 생각한다. 게다가, 정신의 성숙는 많은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정신연령이 다섯살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총평가로, 대상자가 여느 다섯살짜리 아이에게 없는 정신적 속성을 갖게 되는 범위의 강제로 무시된다. ( 사실은 의심할 없이 정신과 육체의 구분이 많은 경우 불분명하다는 사실과 연관되어 있다. 성행위를 하고 싶다는 욕구, 혹은 아이를 갖고 싶다는 욕구는 정신의 속성인가 아니면 육체의 속성인가?) 거꾸로, 이성적인 성인들은 당연하게 아이같은 혹은 동물같은 충동이나 감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나 동물과 똑같은 상태 있지  않은 정도인 것이다. 우리는 우연히가 아니라면 기질적으로, 충동과 감정이란 순진무구하거나 한탄스럽고,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하고, 정당화될 있거나 없고, 조건 하에서만 당연히 예기되거나 명분이 필요하거나, 기타등등 임을 안다. 또한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그것이 지금 현재의 우리의 일부며, 동물이나 어린 아이들은 이제까지 있어 어떤 상태도 아니라는 것을 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