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we think of the virtues in general, or ‘virtue’ tout court, it seems that we think is the Aristotelian way. The concept of a virtue is the concept of something that makes its possessor good; a virtuous person is a morally good, excellent, or admirable person who acts and reacts well, rightly, as she should--she gets things right. These seem obvious truisms. But when we think of particular examples of virtues, we sometimes give these truisms up. We may say of someone that he is too generous or honest ‘to a fault’. It is commonly asserted that someone’s benevolence might lead them to act wrongly, to break a promise they should have kept, for example, in their desire to prevent someone else’s hurt feelings. Or we may think of the ‘virtue’ of courage as something that, is a desperado, enables them to do far more wicked things than they would be able to do if they were timid. So, it would appear, being generous, honest, benevolent, or courageous, despite their being virtues, can also be faults; or they are not always virtues, but sometimes faults. Someone who is generous, honest, benevolent, or courageous might not be morally good, admirable person-or, if it is still a truism that they are, then morally good people may be led or enabled by what makes them morally good to act wrongly! Which all sounds very odd. 

 

일반에 대해, 아니면 간단히 대해 생각할 , 우리의 사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인 같다. 덕의 개념은 그것을 지닌 사람을 훌륭하게 주는 어떤 것에 대한 관념으로, 있는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바르고, 탁월한, 혹은 존경할만한 사람들로서, 그런 사람이기에 그래야 하는 바대로 훌륭하고 올바르게 행동하고 대응한다. -- 사람은 모든 일이 올바로 되게끔 한다. 이것은 마땅한 이치인 같다. 그러나 하나하나의 예를 생각해보면, 우리는 때때로 이런 이치를 저버린다. 우리는 아마도 누군가에 대해, 사람은 흠이라고 할만큼지나치게 너그럽거나 솔직하다고 평을 있을 것이다. 흔히 주장되는 , 관대함은 사람들을 잘못 행동하도록, 예를 들어 남의 기분이 상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지켰어야 했던 약속을 깨버리도록 있다. 혹은 용기의 물불 가리는 무법자로, 그래서 사람들이 겁장이일 있는 것보다 훨씬 나쁜 짓을 있게 하는 것으로 수도 있다. 그래서, 너그럽다, 정직하다, 인정많다, 또는 용감하다는 것은 모두 덕이 되는 것이라 지라도 동시에 결점이 있는 같다. , 반드시 덕이 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결점이 된다. 너그럽고, 정직하고, 인정많고, 용감한 사람이 도덕적으로 훌륭하고 존경할만한 사람은 아닐 있다.--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자명한 이치가 되는 경우, 도덕적으로 훌륭한 사람들이 자신들을 그렇게 되도록 것으로 인해 잘못을 저지를 있게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전적으로 말이 안된다.      

 

 

Odd as it is, it would be futile to insist that it was wrong. As far as my own linguistic intuitions go, the only virtue term we have which is guaranteed to operate as a virtue term-that is, to pick out something that always makes its possessor good-is ‘wisdom’. (Perhaps also ‘just’-I am not certain.) People can be ‘too clever by half’ but not too wise. But all the other candidates seem to accept ‘too’ or ‘what a pity he is so…’. However, we do not have to talk this way, and we have various circumlocutions that enable us to hang on to the truisms that a virtue is a good way to be; that it makes its possessor good and enables her to act well. We can make sense of the claim that it is impossible to be too generous or too honest. Someone initially described that way can be redescribed as not quite having the virtue of generosity but a misguided form of it, as not so much honest as candid or outspoken. Instead of saying, without qualification, that someone’s benevolence led them to act wrongly on a particular occasion, we might say, again, that they had, not the virtue, but a misguided form of it, o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ase) a perverted form of it, or that they were on the right path but did not possess the virtue yet, or possessed it to a very imperfect degree. And we may say that the desperado is daring but does not possess the virtue of courage.

 

이상하게 생각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을 틀렸다고 주장하는 것은 소용없는 일이다. 나의 언어학적 직관에 따르면, 덕으로서의 영향을 보증할 있는 유일한 덕의 이름은, 다시 말해 언제나 그것을 지닌 사람을 좋게 하는 덕을 고른다면, 그것은 지혜 (아마도  정의. 나는 확신 하지는 못하겠다). 사람들은 지나치게 영리할 있지만 지나치게 지혜로울 수는 없다. 그러나 다른 모든 덕의 후보들은지나치게혹은안타깝게도 사람은 너무…’ 라는 말을 허용하는 같다. 그렇지만 이런 식으로 말할 필요없이, 우리는 다른 여러 완곡한 표현들을 써서 덕이란 좋게 사는 길이며, 그것을 가진 사람을 바르게 하고, 처신하도록 준다는 이치를 계속해 있다. 우리는 지나치게 관대하거나 지나치게 정직하다는 것은 있을 없다는 주장의 의미를 이해할 있다. 처음에 그런 식으로 설명되었던 사람을 실제로 관대함의 덕이 있는 것이 아니라, 덕인 잘못 알았던, 정직하다기 보다는 솔직하거나 말에 거리낌이 없는 사람으로 다시 말할 있다. 특수한 경우에는 사람은 자신의 너그러움 때문에 잘못 행동할 있다고 무조건적으로 말하는 대신,  우리는 다시, 그들에게는 덕이 아니라 그런 알았지만 엉뚱한 , 혹은 (문제의 본질에 따라) 덕의 왜곡된 형태가 있거나, 아니면 맞게 가고는 있지만 아직 덕을 얻지는 못한, 혹은 덕을 지녔되 매우 불완전한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고 말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무법자는 용감하지만 용기의 덕을 가지지 않았다고 말할 있다.  

 

 

The third thing I import from Aristotle is a pair of interrelated distinctions.

 

(I)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acting from reason, which we, typically, do, and what the other animals and small children do when they ‘act’.

(II)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rational wanting or desire, which we, typically, have and the mere passion or desire that impels the other animals and small children.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도입해 번째는 상호연관된 쌍의 구분이다.

 

(I)                  우리가 전형적으로 하는 이성에 따른 행위와, 다른 동물들과 어린아이들이 행동 하는 행위에는 차이가 있다

(II)                우리가 전형적으로 가지게 되는 합리적인 욕구나 욕망과, 다른 동물들과 어린아이들이 휩싸이게 되는 단순한 열정이나 욕구에는 차이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