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important fact about people's virtue and vices is that, once acquired, they are strongly entrenched, precisely because they involve so much more than mere tendencies to act in certain ways. A change in such character traits is a profound change, one that goes, as we say, 'all the way down'. Such a change can happen slowly, but on the rare occasions when it happens suddenly, the change calls for special explanations-religious conversion, an experience that changes the person's whole outlook on life, brain damage, or drugs. It is certainly not a change that one can just decide to bring about oneself overnight, as one might decide to break the habit of a lifetime and cease to have coffee for breakfast.

 

덕과 악덕에 관한 중요한 가지는 그것이 특정한 방식대로 행동하려는 단순한 경향 이상의 훨씬 많은 것을 의미한다는 바로 이유 때문에 받아들여지고 나면, 덕과 악덕은 우리를 강력히 물들인다는 사실이다. 그런 성격특성의 변화는 뿌리깊은, 말하자면 끝없이 밑으로 내려가서’, 진행되는 변화를 말한다. 변화는 천천히 일어나지만, 갑작스러운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드문 경우는 특별한 설명-개종, 사람의 인생관 전체를 바꾸게 어떤 경험, 손상 또는 약물- 필요하다. 확실히 이것은 아마도 누군가가 평생의 습관을 고치기로 결심하고서 아침에 커피 마시는 일을 그만두는 것처럼 하룻밤 사이에 결정되어 일어날 있는 종류의 변화가 아니다.     

 

That the virtues are not merely tendencies to act in certain ways is not an unfamiliar thought. What is more unfamiliar is the Aristotelian idea that they are not only character traits but excellences of character. Each of the virtues involves getting things right, for each involves phronesis, or practical wisdom, which is ability to reason correctly about practical matters. In the case of generosity this involves giving the right amount of the right sort of thing, for the right reasons, to the right people, on the right occasions.

 

덕이 단순히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아니라는 것은 낯선 생각이 아니다. 그보다는 덕이 성격상의 특성일 뿐만 아니라 인격의 탁월함을 의미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사고가 더 생소하다. 덕 각각은 일을 올바르게 하도록 한다. 그것은 각각의 덕에 실제의 문제들을 올바르게 판단하는 능력인 phronesis, 혹은 실천적 지혜가 있기 때문이다. 너그러움의 경우, 맞는 종류의 물건을 맞는 양만큼, 맞는 이유에서 맞는 사람에게, 맞는 경우에 주는 것을 의미한다.        

 

'The right amount' in many cases is 'the amount I can afford' or 'the amount I can give without depriving someone else.' So for instance, I do not count as mean or even ungenerous when, being relatively poor, or fairly well off but with a large and demanding family, I do not give lavish presents to richer friends at Christmas. Nor do I count as mean or even ungenerous if I refuse to let people exploit me; generosity dose not require me to help support someone who is simply bone idle, nor to finance the self-indulgence of a spendthrift.  Any virtue may contrast with several vices or failings, and generosity contrast not only with meanness or selfishness but also with being prodigal, too open-handed, a sucker.

 

많은 경우에 맞는 이라 함은 내가 있는 또는 남에게서 뺏지 않고 있는 말한다. 그래서 나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가난하거나 아니면 살지만 수가 많고 필요가 많은 가족이 있어서 나보다 사는 친구들에게 화려한 크리스마스 선물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내가 치사하다거나 혹은 인색하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 나는 만일 남들이 나를 이용해 먹을 기회를 단호하게 거절하는 경우에도 나를 치사하거나 인색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너그러움은 게을러터진 사람에게 도움을 주라는 명이 아니며, 흥청망청 써대는 사람에게 돈을 주라는 요구도 아니다. 하나하나는 각각의 악덕 혹은 결점들과 대비될 있다. 너그럽다는 것은 인색함 또는 이기적임 뿐만 아니라 낭비하는, 지나치게 손이 , 쉽게 넘어가는, 속된 말로 봉이 되는 것과도 현저히 다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