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eper reason for the demand that we should come up with a crisp answer to ‘What is virtue ethics?’, I suspect, is the persistence of the belief that virtue ethics is not, as I claimed above, ‘a rival to deontological and utilitarian approaches, as interestingly and challengingly different from either as they are from each other’. The suspicion is that, if only the virtue ethicists could be induced to state their position baldly, in a short list of theses, it would become clear that any of the theses that were not obviously and ludicrously false or indefensible could be accommodated by deontology or utilitarianism. But trying to make out that virtue ethics does have a distinctively different approach by listing putatively distinctive and plausible claims it subscribes to, seems to me a needlessly combative task. As things are now, the approach is still new enough to be distinctive, and the aim of this book is to explore what insights can be gained into moral philosophy when it is spelt out in a really detailed and comprehensive way. If utilitarians and deontologists disagree with what I say then of course I shall want to argue with them, and maybe some of our sticking points will be disagreements over particular theses that, typically, though by no means universally, they espouse and virtue ethicist reject, or vice versa. But  maybe not. And if they were to agree, and their only protest was ‘But we can say that too-that’s a utilitarian (or a deontological) thesis’, I should not be inclined to argue at all; I should be delighted. Let us by all means stop caring about how we distinguish ourselves and welcome our agreements.

 

 

짐작컨대 ‘덕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덕 윤리학자들의 명확한 답변이 나와야 한다는 요구가 있게 되는 더 깊은 이유는 위에서 주장했듯이, ‘덕 윤리학이 의무론과 공리주의적 접근이 서로 다른 것처럼, 그 둘 중 어느 하나와 흥미로우면서도 논쟁을 유발할만큼의 차이를 보이는 경쟁자적 견해’ 가 아니라는 계속되는 믿음에 있지 않은가 싶다. 의심스러운 것은, 만일 덕 윤리학자들에게만 명제들을 모은 짧은 목록으로 자신들의 주장을 천명해 보라고 유도한다면, 명백하고 어이없는 정도로 잘못됐거나, 옹호하기 어려운 정도가 아니라면 그 중 어느 것이든 의무론이나 공리주의로 흡수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하게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정말로 특별히 다른 견해를 취하고 있음을, 덕 윤리학이 잠정적으로 맡아 놓은 주장들, 특수하고 타당해 보이는 주장들을 늘어 놓으면서 이해시키려는 것은 내게는 불필요한 공격성을 띤 임무처럼 보인다. 지금 상태로는, 덕 윤리학은 여전히 고유할 정도로 충분히 새로우며, 이 책의 목적은 덕 윤리학의 접근법을 아주 상세하면서도 포괄적인 방식으로 이해할 때, 도덕철학 내부에 어떤 통찰들이 생기게 할 수 있는지를 찾아 보려는 것이다. 만일 공리주의자들과 의무론자들이 내가 말한 바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나는 당연하게도 그들에게 맞서 논쟁하려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아마도 해결이 보이지 않는 골치아픈 문제들 중 일부는, 결코 보편적이지는 않겠으나 전형적으로, 그들은 지지하고 덕 윤리학자들은 반대하는, 혹은 그 반대인, 특정한 논제에 대한 이견이 될런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이 아닐런지도 모른다. 그래서, 만일 그들이 동의하려 한다면, 그리고 그들의 유일한 항의가 ‘그러나 우리 또한 그렇게 말할 수 있다. –그것은 공리주의의 (혹은 의무론의) 명제다’ 라면, 나는 논쟁을 벌이겠다는 의향을 전혀 품지 않을 것이며, 매우 기뻐할 것이다. 부디 우리를 두드러지게 하는 데 쏟고 있는 관심을 멈추고, 서로가 동의하는 것들을 기꺼이 받아들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