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saying this, I do not mean to claim, in advance of future developments, that virtue ethics, in contrast to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is bound to survive, as Oakley puts it, ‘as an enduring feature of the ethical landscape’.[8] Indeed, I rather hope that future generations of moral philosophers, brought up on all three approaches, will lost interest in classifying themselves as following one approach rather than another; in which case all three labels might become of merely historical interest. But that is still over the horizon, for much of what those future generations could be taught under the label ‘virtue ethics’ still needs to be provided.

 

이것을 말함에 있어서, 나는 장래에 전개될 것들을 앞질러서, 오클리가 말한 것처럼 윤리학의 지형에 영구히 남을 특징으로서 윤리학이 의무론과 공리주의의 운명과는 다르게 반드시 남아 있으리라는 주장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나는 오히려 갈래의 연구방법을 모두 배운 미래의 도덕 철학자 세대가 자신들을 어느 하나로 구분지으려는 관심을 갖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 그럴 경우, 모든 개의 이름표는 다만 역사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뿐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상황은 다음 세대가 윤리학이라는 이름 하에 배울 있는 내용의 많은 부분들이 여전히 준비되어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는 점에서 아직 현재의 전망을 넘어서는 것이다.

 

 

An obvious gap is the topic of justice, both as a personal virtue and as the central topic in political philosophy, and I should say straight out that this book makes no attempt at all to fill that gap. In common with nearly all other existing virtue ethics literature, I take it as obvious that justice is a personal virtue, and am happy to use it as an occasional illustration, but I usually find any of the other virtues more hospitable to the detailed elaboration of points. But, in a book of this length, I do not regard this as a fault. I am writing about normative ethics, not political philosophy, and even when regarded solely as a personal virtue (if it can be), justice is so contested and (I would say) corrupted a topic that it would need a book on its own.

 

개인의 뿐만 아니라 정치 철학의 주요 논제로서도, 정의라는 주제에는 명백한 공백이 있다. 그리고 나는 책에서 틈을 메우기 위한 시도를 전혀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기탄없이 말해야겠다. 현존하는 거의 모든 다른 윤리학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나는 정의가 개인의 덕이라고 분명하게 느꼈고, 필요한 경우 하나의 실례로서 기꺼이 사용했다. 그렇지만 나는 일반적으로 그밖의 어느 덕이 문제의 정교한 설명에 더욱 맞는 예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책의 길이를 생각할 , 나는 이러한 점이 결함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규범 윤리학에 관해 쓰고 있는 것이지 정치 철학에 관한 책을 쓰고 있는 것이 아니며, 정의는 그것이(그럴 있을 경우) 오로지 개인의 덕으로만 고려될 때조차, 따로 책이 필요할만큼 이론이 분분하고 (말하자면) 타락한 주제다.

 

--

[8]Oakley, ‘Varieties and Virtue Ethics’, 1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