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을 보다가 우연히 문학과지성사 이벤트를 하는 것을 보고 집에 있는 책들을 끌어모아 보았는데, 생각보다 문지 책이 많지 않았다. 책장 한 칸을 겨우 차지할 정도니.. (도서관 책이 한 권 있는 것 같다면 기분 탓이다) 더욱이 읽지 못한 책이 예상 외로 많았다. 그래도 어찌어찌 책장 한 칸을 차지하는 것에 안도하고, 동시에 분발해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나에게 떠오르는 문지의 첫 이미지는 최인훈의 『광장』이다. 고등학생 때 처음 친구의 책을 빌려서 보았으니 빠른 만남은 아니었다. 그리고 그때는 출판사라는 개념이 머릿속에 없던 상태였으니 문지 책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읽었을 것이다(그리고 난 아직까지 「구운몽」을 읽지 못했다...). 그리고 나서 내가 구입한 책이 이청준 작가의 『당신들의 천국』이었는데, 이 때 산 책은 교실에서 돌고 돌다가 실종되었고 나는 책을 다시 사야 했다. 하기야 그때 돌면서 이미 표지도 사라진 상태라 다시 사는 게 나은 선택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소설 명작선 중 가지고 있는 책은 『당신들의 천국』 하나뿐이지만, 이 책은 여전히 내가 읽은 한국소설 중 최고의 자리에 있다.



대산세계문학총서나 문학과지성 시인선, 소설 명작선 등 문지를 대표하는 시리즈들은 많지만, 요즘 나는 그 중에서도 '우리 시대의 고전' 시리즈와 '현대의 지성' 시리즈에 마음이 간다. '우리 시대의 고전' 중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블랑쇼와 낭시의 『밝힐 수 없는 공동체 / 마주한 공동체』 한 권이지만, 시리즈를 검색해서 보고 있으면 언젠가 구입하겠구나 싶은 책들이 많이 보인다. 이런 책들이 어떻게 한 출판사에서 나왔나 싶을 정도로. 물론 이 시리즈는 만만해 보이는 책이 없어서 한 권씩 볼 때마다 험난한 여정이 예상될 때가 많다...


 

'현대의 지성' 시리즈에 눈길이 가는 건 내가 요즘 관심을 갖고 있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타자', '환대', '기호학' 등등.. 그래서 레비나스로 눈을 돌렸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조금씩 읽고 있는 『서양철학사』(이학사)에서는 레비나스를 다루지 않았다(적어도 목차를 봤을 때는). 그래서 최근에 『시간과 타자』(문예출판사)를 구입했는데, 레비나스의 주저라고 불리는 『전체성과 무한』은 번역본이 없어 2차 텍스트로만 볼 수 있다. 그래서 혹시, 강영안 교수께서 직접 번역할 생각은 없는지.. 그렇게 해서 '우리 시대의 고전' 시리즈로 내면 될 것 같은데...



끝으로 문지의 한국문학전집에 대해서 작은 아쉬움 하나만 이야기하고 싶다. 고등학생 시절, 그리고 학부생 시절에 한국 근현대 문학작품을 읽어야 했던 시기, 문지의 한국문학전집은 나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표지 디자인도 일관되고 산뜻하고, 책 크기도 적당하고, 뒤에 실린 해설들도 좋았다. 하지만 각주가 아닌 미주는 읽을 때 많은 불편을 주었다. 근대문학일수록 더 불편한 것은 그 시절 사용되던 어휘가 지금과 달라 주석이 없으면 이해가 어려운 까닭이다(『삼대』나 『고향』 같은 작품은 고역이다). 그래서 나는 문지 전집을 더 좋아했음에도 미주의 불편함 때문에 현대문학 출판사에서 나온 전집을 찾아 읽는 일이 잦았다. 지금은 어떻게 나오는지 모르겠으나, 아직도 그렇다면 개선을 좀...


 

많은 사람들이 문지 하면 떠올리는 것은 문학과지성 시인선이겠으나, 너무 유명해서 굳이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 책들이, 특히 80년대에 나온 시집들이 내 시심(詩心)의 중핵을 이루고 있음은 분명하다. 최승자, 이성복, 황지우... 그들의 이름을 한 번씩 불러보며(별 헤는 밤이 떠오른다면 기분 탓이다) 마무리해야겠다..


p.s 1) 사진을 찍으려고 책을 모을 때 문지 책도 아니면서 꽂아보려 했던 책은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인간사랑)였다. 출판사는 다르지만, 『밝힐 수 없는 공동체 / 마주한 공동체』의 짝이니까. 하지만 뒤늦게 발견한 말라르메의 『시집』에 밀려 결국 물러나고 말았다.


p.s 2) '현대의 지성' 시리즈 중 내가 갖고 있는 책은 김현경의 『사람, 장소, 환대』가 전부다. 작년 초에 샀으나 여전히 다른 책에 치이고 있는, 볼 때마다 '봐야 하는데'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책. 그러다 작년 가을 무렵 문지 페이스북에서 이 책에 교정사항이 있다는 공지를 보고 캡처해 놓았다(아직 내 책에 표시하진 않았다). 이미 책을 읽으신 분들이 바로잡으셨으면 하는 마음에 사진을 올려둔다. 핵심적인 내용이 수정된 것은 아닌 듯하고, 내가 갖고 있는 책은 7쇄다.



p.s 3) 글을 다 쓰고 보니 이 이벤트는 리뷰에만 적용되는 모양이다. 생고생했다는 생각이 들지만, 생고생의 결과는 그냥 남겨두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벤트가 언제까지인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이번 주에 읽어야 할 책 중에 문지 책은 없다...

 

p.s 4) 아무리 수정해도 되지 않길래 어제 밤에 쓴 글을 삭제하고 다시 응모하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제 읽고 공감해주신 분과 댓글 남겨주신 분들께 죄송합니다..ㅠㅠ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1-20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무님, 글 위에 ‘이벤트 참여 중’ 단어가 없어요. 마이페이퍼로 작성해서 글쓰기 창 위에 ‘이벤트 응모하기’에 체크해야 합니다. 체크 안 된 게시물은 이벤트 게시판에 보이지 않습니다. 정성들여 쓴 글을 삭제하고 다시 업로드할 때 난감합니다. ^^;;

아무 2017-01-20 11:54   좋아요 0 | URL
이번에 쓸 때는 체크하고 썼는데도 글 위에 안 뜨더라구요ㅠ 그래서 문지 이벤트창으로 들어가니 제 글이 참여중인 걸로 올라와있길래.. 아무래도 예전처럼 글에 참여중을 띄워주진 않는 것 같습니다^^;; 헷갈리지 않도록 올려주는 게 나을 것 같아요ㅠ

cyrus 2017-01-20 11:57   좋아요 1 | URL
아, 그래요! 몇 달 동안 출판사 사진 이벤트를 하지 않아서 모르고 있었어요. 저도 조만간 문지 이벤트 응모하려고 이번 주말에 책장을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

cyrus 2017-01-20 14:42   좋아요 1 | URL
방금 글쓰기 테스트 해봤는데, 정말 ‘응모 중’ 문구가 안 나오네요.

아무 2017-01-20 15:40   좋아요 0 | URL
오늘 다시 쓰고 나서 생각해보니 어제도 내가 착각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수정할 때면 체크란도 안 나오고ㅠㅠ 사소한 거지만 ‘응모 중‘ 문구가 나오는 게 훨씬 편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