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 법칙
편혜영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은 무수히 많은 점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을 인생에 비유할 때, 점은 인생에서의 걸음 혹은 자취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편혜영 작가가 이 소설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선의 법칙, 삶의 법칙은 무엇일까.

 

이 소설은 지금껏 작가가 썼던 그로테스크한 작품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핍진하게 보여주는, 그런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생의 파국에 현재의 점을 찍은 인물들을 제시한다. 윤세오, 신하정, 이수호. 삶의 극한 중 한 부분에 도달한 그들의 인생은 어느 막다른 곳에 막혀 더이상 그려질 수 없는 선의 모습을 떠오르게 한다. 그렇다면 그들은, 윤세오와 이수호는 어느 방향을 향해 다시 점을 찍어 나가고 있나. 어떤 선을 그리고 있나. 사실 그것이 잘 보이지 않아 안타까우면서도 어렵기도 했다.

 

작품은 윤세오와 신기정, 그리고 중반부터는 이수호의 모습을 교차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면서 전혀 무관한 방향으로 그려지던 그들의 선이 어느 지점에서 교차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아버지를 잃은 윤세오는 이수호에게 복수하겠다는 마음가짐 하나로 삶을 버텨나가는, 가까스로 그려지는 점을 찍고 있다. 이 복수는 아버지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자를 응징하겠다는 원한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그런 목표라도 갖지 않고서는 도저히 선을 이어나갈 수 없는 그의 몸부림이다. 그래서 더 애잔하고, 비참하기까지 하다.

 

그러나 윤세오가 복수하려는 이수호 역시 윤세오가 생각하는 '갑'은 아니었다. 생의 조건, 자신에게 부여된 길을 따라 점을 찍다보니 방향을 돌릴 수 없는 선이 되어버렸을 뿐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삶은 직선의 모습을 닮았다. 다른 방향에는 눈조차 돌릴 수 없는 외길을 걷는 직선.

 

신기정은 이들과 다르다. 학교에서 원도준과의 일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지만, 그녀의 삶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처절하지도 절박하지도 않은 선이다. 이 작품에서는 그녀가 그리는 선보다, 그녀의 동생인 신하정이 그려왔던 선이 중요하다. 신기정이 등장하는 장면 역시 본인의 삶보다 동생이 어떤 선을 그렸는지 추적하는 것에 서사가 집중되어 있다. 자신의 가족이 왜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고민한다는 점에서는 윤세오와 닮았지만, 굳이 필요한 인물이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은 오늘날의 젊은이들이 그리고 있는 선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는 것 같다. 다단계에 대한 서술은 실제 경험이 반영된 건가 싶을 만큼 생생하고, 그 과정에서 교차하는 윤세오와 조미연, 부이, 신하정의 선은 불안하다. 어떻게 그어야 할지 몰라 삐뚤삐뚤해진 선처럼. 그렇지만 윤세오의 다단계 체험과 현재는 한데 엮이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 것 같아 아쉬웠다. 신기정 역시 마찬가지. 선이 품고 있는 의미는 무엇일까하는 의문도 해결되지 않아서(실제 작품에는 선에 대한 얘기가 없다), 왜 제목을 '선의 법칙'이라고 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서, 작가가 말하고 싶었던 선의 법칙은 무엇이었을까. 어디로 갈지 모르는, 방향성을 상실한 젊은이들의 선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걸까. 문학동네 여름호에 실린 인터뷰를 하루빨리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언제 집에 내려가서 보게 될 지는 모르겠지만....

 

덧) 원래 소설을 읽을 때 인물들의 이름을 잘 기억하는 편인데(물론 한계가 있다. 일곱 명 이상으로 넘어가면 계속 찾아봐야 한다. 그래서 도스토예프스키 소설 읽을 때 힘들었나... 아냐 그건 애칭이 하도 많아서 그랬지), 이 소설에서는 인물들의 이름을 기억하는 게 무척 힘들었다. 머릿속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고 해야 하나. 지금 이 글을 쓸 때도 순간 신하정의 이름을 잊어버려서 책을 다시 봤다. 왜 이리도 이름이 안 들어오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