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이 책을 빌린 건 황정은의 '上行'을 읽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上行'을 먼저 읽었다. 읽을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황정은의 작품에는 항상 뭐랄까, 뭔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쓸쓸함이 있는 것 같다. '上行'도 작품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한 편의 풍속화로, 거기까지만 이해하려고 한다. 더욱이 작가후기에는 이런 말까지 썼으므로.

 

 

중고등학교를 다닐 때, 소설 속 서술자는 작가가 아니라고 배웠고, 대학교에서도 같은 걸 배웠다. 하지만 나는 황정은의 작품에서 ''라는 말이 나오면 항상 황정은을 대입하게 된다. 뭔가, 내가 본 황정은은 (그래봤자 직접 본 건 두 번이 전부지만) 그의 소설 속에 나오는 그런 사람일 것 같다. 말하는 것도, 바라보는 것도 ''라는 인물답지 않고 뭔가 황정은스럽다. 이렇게 말하면 황정은은 기분 나빠할까.

 

황정은의 작품을 말할 때, 많은 사람들이 황정은의 문장이 갖고 있는 독특한 리듬에 대해 말한다. 황정은의 작품들을 읽으면서 황정은 특유의 의성어들, 그리고 건조한 듯하면서 또렷한 문장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지만, 도대체 어떤 리듬을 말하는 걸까하는 의문이 있었는데, '上行'을 읽으면서 아, 이런 걸 말하는 거였구나..하고 깨달았다.(그래서 내가 시를 잘 못 읽나...) 그러면서 자기만의 문장을 갖고 있다는 것이, 그리고 벌써 자신의 이름이 걸린 문장이 회자된다는 것은 어떤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팟캐스트에서 황정은의 작품에 대해 말할 때, 많은 사람들이 황정은풍의 문장, 황정은틱한 문장이라는 말을 한다. 문학평론가 송종원 씨는 라디오 책다방에서 황정은 작가 이후 신춘문예 작품 중에 황정은풍의 문장을 쓰는 사람이 늘었다는 말을 했다.)

 

들어와.

깜짝 놀랄 만큼 또렷한 목소리로 그녀가 말했다.

밥 먹어.

밥 있어.

- 141

 

동네가 아주 조용하다고 말하자 아주머니는 여태 그랬지만 최근엔 여름이 되면 도시에서 피서객들이 몰려온다고 말했다. 걔네들이 와서 돈 좀 쓰고 가겠네요, 라고 말하자 걔네들이 와서, 쓰레기를 버리고 간다, 라고 아주머니는 무뚝뚝하게 말했다.

 

- 145

 

이 집 팔아서 뭘 한대요.

오제의 어머니가 물었다.

글쎄 뭘 한다나 사업을 한다나.

아주머니가 말했다.

지랄하고.

노부인이 말했다.

늦게 팔려라.

오제의 어머니가 말했다.

늦게 팔려라.

노부인이 말했다.

- 157

 

그럼에도 역시 의문이 남는 것들이 있다. 오제가 어렸을 때 벽으로 손을 뻗어 손을 통과시켜 알람시계를 끈 장면도 그렇거니와,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월식은 정말이지 미스테리다. 라디오 책다방 종방에서도 '上行'의 월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물어본 청중 분이 있었는데, 그때도 황정은은 굉장히 모호한 답변을 했다(아니, 그렇게 대답한 것으로 기억한다. 뭐라고 대답했는지 전혀 기억이 나지 않으므로. 아마 그땐 이 작품을 읽지 않아서겠지.) 송종원 씨도 황정은 작가가 자기 작품에 대해 이정도 대답한 거면 진짜 많이 대답한 거라고 했었는데, 많이 대답했다고 하기에는 정말 수수께끼같은 대답이었다. 마무리를 짓는 마지막에, 갑자기 월식 얘기를 집어넣은 건 도대체 왜일까.

 

이제 황정은의 작품은 '양의 미래''아무도 아닌, 명실'만 남았는데, 도무지 구할 방법이 없다. 도서관에는 그 단편들이 수록된 책만 쏙 빠져있으므로... 사면 되겠지만, 사는 건 황정은의 단편집으로 오롯이 나왔을 때로 미루고 싶은데...

 

) 사진 방향이 이상해서 컴퓨터로 수정했는데, 했더니 북플에 글이 안 보이는 오류가 나서 다시 올린다. 이게 뭐람.... 저자를 추가해서 그런가.. 추가하는 거 빼니까 멀쩡해지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