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제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황정은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보게 된 건 사실 황정은의 `상류엔 맹금류`를 읽고 싶어서였다. 그런데 읽다보니 다른 작품에 더 눈이 많이 갔다. 다 처음 들어보는 작가들이었지만..
대상 수상작인 황정은의 `상류엔 맹금류`는 금방 읽히긴 했지만, 무슨 말을 하려는 건지 종잡을 수가 없어 세 번이나 다시 읽었다. 그러고나서야 어렴풋이 보이는 것이 있지만, 그것이 전부인 것 같지는 않고, 뭔가 더 깊숙한 부분이 있을 것 같은 찜찜함이 있다. 결국 진심은 그 안에 포함되고 싶지 않았던 맹금류의 시선, 그것이 전부일까...
작품을 읽으면서 눈길을 끌었던 건 윤이형의 `쿤의 여행`과 최은영의 `쇼코의 미소`였다. `쿤의 여행`을 읽으면서 결국 나도 나 자신의 쿤에게 업혀 살고 있진 않은가하는 생각을 했다. 상상력이 기발하면서도 냉철했다고나 할까... `쇼코의 미소`는 요즘에 보기 힘든 전형적인 이야기를 보는 것 같았다. 독특한 기법도 없고, 기발한 상상력도 없다. 오직 이야기와 인물이 가진 힘으로 이런 흡인력을 끄는 소설을 쓰다니.. 게다가 이게 등단작이라니.. 가장 긴 분량이었는데도 지루함을 느낄 겨를도 없이 읽었던 것 같다. 앞으로 어떤 작품을 더 쓸까..
다 읽고 다시 쭉 훑으면서, 상을 받은 일곱 명의 작가가 모두 여성이라는 사실에 조금 놀랐다. 남녀를 가리는 건 아니지만, 문학상 작품집에 여성작가만 있는 걸 본 게 처음이라서..(하긴 남성작가만 있는 경우도 본 적이 없다) 현재 문단의 흐름이 반영된 걸까, 라는 생각이 든다.

순결한 꿈은 오로지 이 일을 즐기며 할 수 있는 재능 있는 이들의 것이었다. 그리고 영광도 그들의 것이 되어야 마땅했다. 영화는, 예술은 범인의 노력이 아니라 타고난 자들의 노력 속에서만 그 진짜 얼굴을 드러냈다. 나는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눈물을 흘렸다. 그 사실을 인정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재능이 없는 이들이 꿈이라는 허울을 잡기 시작하는 순간, 그 허울은 천천히 삶을 좀먹어간다.
-최은영, 쇼코의 미소 (p.271)

새벽에 눈을 뜨면 사람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심지어 우리가 밟고 있는 이 단단한 땅도 결국 흘러가는 맨틀 위에 불완전하게 떠 있는 판자 같은 것이니까. 그런 불확실함에 두 발을 내딛고 있는 주제에, 그런 사람인 주제에 미래를 계획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니.
-최은영, 쇼코의 미소(p.2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