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보는 지혜 1 (보급판 문고본) 지혜의 마당 1
발타자르 그라시안 지음, 박민수 옮김 / 아침나라(둥지)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천 권유도 8

 

태초에 인간이 창조되어 살아오면서 자연과 환경으로부터 수많은 도전을 받고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거치며 자연 앞에 무기력할 수 밖에 없는 스스로를 발견함과 동시에 스스로 나약함을

발견하였고 또 타인과 무리를 이루어 살면서 힘만으로는 상대를 제압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

하면서 한없이 좌절했을 것이다.

어느 시기가 되자 인간들은 그런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도전을 했을 것이고 또 대항해서 싸워

이기기도, 지기도 하면서 새로운 사고가 싹 텄을 것이다.

아마도 사고의 내용은 이런 것 즉, ‘살더라도 좀 더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는 없을까?’ 였을

것이며 그것에 대한 고민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철학'이라는 학문이 탄생하였을 것이다.

철학의 탄생은 인간 스스로가 자신을 돌아보게 함은 물론 자아에 눈을 뜨게 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나아가서는 어떻게 사는 것이 진정한 삶이고 또 어떻게 사는 것이 가치 있는 삶인가에

대해 고민을 본격적으로 했을 것이다.

그러면서 종전과 달리 자신의 생에 대한 자각하게 되었고, 자신에게 펼쳐지는 세상에 대해

수동적으로 대해 오던 것을 능동적으로 대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이러한 행위가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반복되면서 '세상을 보는 지혜'라는 것이 탄생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만들어진 '세상을 보는 지혜'라는 것은 어느 한 편에 국한된 것이 아닌 대인관계

적인 측면, 세속적인 측면, 경제적 측면 등 인간이 살아가며 접하는 전 분야를 망라해서 사고하고

정리되면서 각박한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가르침을 주는 인생의 방향타로 자리를 잡았을

것이다. - 나의 논리가 너무 비약적인지 모르겠지만 -

 

여기에 모은 글들은 읽다 보면 읽는 이들로 하여금 다시 한 번 눈길을 붙잡는 대목도 있는 반면,

대개는 어째서 이런 글들이 세상을 보는 지혜가 되는지 또 자기 성찰의 가치 있는 명언이 되는지

읽는 이들로 하여금 어떠한 감흥이나 동감을 불러일으키지 못 할 정도의 저급한 내용의 글도

상당수 있다고 보여진다.

그것은 아마도 세상을 보는 지혜라는 것이 고매한 인격자들의 신선놀음에서 탄생된 것이 아니라

평범한 인간의 생활에서 체득된 이야기여서일 것이다. 작품으로부터 각박하고도 바삐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자신의 부족한 감정을 메우는 재료를 많이 얻었으면 한다.

그리고 마음의 안위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