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도 쓸쓸한 당신
박완서 지음 / 창비 / 199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천 권유도 9

질박한 한 폭의 수묵화같은 중년들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작품들이었다.

나도 어느새 인생의 후반부를 향해 달려가는 연극 무대의 주인공이 되고 있음을 작품을

읽으며 더욱 절실히 느끼면서, 작품 속에 묘사되어 있는 인물들을 보며 또 다른 나를

보는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너무나도 자기 비하의 연민일까?

 

단어 하나하나가 던져주는 의미는 불꽃같이 타오르던 정열을 소유하였던 내가 어느새

노년의 초입에 들어선 또 다른 나를 보는 것 같아 명치끝이 아려옴을 느낀다.

글을 읽으며 나만의 외로움에 몸부림치며 속일 수 없이 다가오는 세월의 무게를 느껴

본다.

 

대학 초년생 때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라는 에세이를 통해 본 작품의 작가인 박 완서

선생을 처음 접했었다. 이 작품을 읽는 지금은 그때 작가에 대해 가졌던 경외심 보다는,

박완서라는 한 여자 중견 작가가 남편과 아들을 졸지에 가슴에 묻어 두어야 했던

기구한 사연을 간직한 사람이며, 초로의 손자를 둔 노인 - 나의 독서일기를 쓸 당시에는 살아계셨는데 그 일기를 손보는 지금 이 싯점에는 작가님께서도 고인(故人)이 되셨다 -

이 되었다는 사실이, 세월이 나를 더욱 침울하게 하는데, 이는 작품의 제목과 작가가

겪은 인생 역정이 대비되어 작가를 일류 작가로 여기게 하기 보다는 가슴 아프고 한

많은 할머니로 비춰지게 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작품을 읽으며 책 제목에서 보여주고 있는 주체인 '당신'은 누구일까?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해 보았다. 내가 내린 결론은 소설 속의 '당신'이란,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

모두'가 라는 결론을 얻어냈다.

우리라는, 당신 !

보다 나은 가족들의 내일과 안락한 삶을 위해, 치열한 삶의 전쟁터에서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기름기 빠진 푸석한 몸을 내던지는 우리들의 당신들은, 결혼이라는 현실의 관습

을 통해 형성된 가족과 식구들을 위해, 결혼 전에는 감히 상상하지도 못했던 -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 그런 인생의 길을 걸어가면서도 미소로 자신들의 가슴 속에

응어리를 감춘 채 살아가고 있다.

휘어진 등뼈 위로 흐르는 '당신'들의 땀방울과 회한은 어느새 자신들의 꿈 대신 키워온

자식들의 성장 모습으로부터 위안을 받으려고 하나 경우와 상황에 따라 자식들로부터

냉대와 질시 심지어는 배반의 대상이 되는 현실을 불행이라 여기지 않고 모든 것을

'행복'이라는 단어로만 이해하려고 한다. 자식에게 자신의 몸까지도 새끼들에게 먹이로

아낌없이 내던져 주는 '염낭거미처럼 말이다.

뼈 마디마디마다 맺힌 고통은 당신들의 분신들이 있기에 아픈 줄도, 괴로운 줄도 모르고 한 평생을 우리들의 당신들은 살아가고 있다.

 

작품 속의 모든 주인공들 - 일부를 제외하고는 - 은 인생의 최종 역에 도착하기 전,

인생 길에서 우리 주위에서 만나볼 수 있는 그런 소탈하고 서민 냄새 물씬 나는 그런

당신들이 주인공들이었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조그만한 것에 감동하고, 삐지고, 싸우고 등등 쉽게 접할 수 있는

작품 속의 당신들을 통해 중년의 외로움과 고민 그리고 다가오는 인생의 마지막을 맞는

모습을 여러 형태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에 나오는 주인공들중 한 명의 주인공으로 나의 미래의 모습이 그려질 수도 있고

아니면 전혀 다른 모습으로 나의 자식들과 친구들에게 비쳐 질 수도 있으나 바라는

모습은 늙음이 추해지지 않고 아름답게 그려지기만을 이 작품을 읽으며 생각해 본다.

 

어느날 귀밑터리부터 찾아올 나의 황혼의 친구에게 추하지 않은 모습으로 또 젊은날의

사랑이 그리 허무한 것만은 아니었다고 이야기해 줄 수 있게 늙어 갔으면 좋겠고,

낙엽지는 가을날의 공원길을 걷는 뒷 모습이 아름답게 그려졌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

작품에 대한 변을 대신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