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왔다. '왔다'는 '가고 있다'로 읽을 수 있다. 봄이 왔다고 읽는 사람은 겨울을 염두에 둔 읽기고, 봄이 가고 있다고 읽는 사람은 봄을 간직하고 싶은 사람이다. 언어는 진실하고 정직하다. 언어를 읽는다는 것은 언어 너머에 생각과 마음을 읽는다는 것이다. 


아직 겨울을 머금은 동백이 조금 남아있고, 봄을 알리는 벚꽃도 만개한 상태다. 여기 저기 여름이 가까워 왔음을 알리는 싹들이 모습을 보인다. 곧 더워 지리라. 




오언 존스의 신간 소식이다. <차브>을 읽으며 마음이 아팠던 기억이 선하다. 내용은 망각되고 없는데 약간의 분노와 어쩔 수 없는 사회적 환경이 차브를 만들어 낸다는 생각에 좌절감이 깊게 배여있다. 


이번 신간 <기득권층>은 말 그대로 기득권자들의 세계를 파헤친다. 신간 표지를 함께 고르며 신간 소식을 알려준 사장의 셈세함이 책에 그대로 배여있다. 기실, 이 책은 제목만으로도 분노하게 만든다. 철옹성처럼 쌓여진 기득권자들의 '층'은 무너뜨리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충동을 일으킨다. 


그래, 곧 봄이 간다. 겨울이 갔듯이. 이젠 기득권층도 무너져야하지 않을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그나저나 오언 존스는 대단한 사람이다. 두 책을 계약해 펴내는 북인더갭도 멋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17-04-11 14: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봄을 읽다! 예쁘네요.

낭만인생 2017-04-11 15:09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곧 여름이 시작되는 듯 해 아쉽게 봄을 만지고 있습니다.

붕붕툐툐 2017-04-11 20: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진이 참 예뻐요~^^

낭만인생 2017-04-12 09:51   좋아요 0 | URL
네 감사합니다. 집 근처에서 찍어 본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