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다, 연애 - 놀아도 보고 아파도 본 선영 언니의 개념연애사전
안선영 지음 / 북노마드 / 2013년 5월
절판


어떤 남자에 집중할 것이냐는 내가 어떻게 살아갈 건가의 문제와도 연결됩니다. 적당한 남자를 만나 결혼해서 방 한 칸 한 칸 늘리는 게 목적인 삶을 살 건지, 한 번 사는 인생인데 눈을 감을 때 정말 행복했었다 하는 삶을 살 건지의 문제입니다. 알뜰살뜰 모아서 잘 키운 자식 하나 이 땅에 남기고 가는 게 아름다운 삶이라고 생각하면 지금이라도 빨리 소개팅 백 번 해서, 결혼하는 게 낫죠. 이러한 삶을 결코 낮거나 저보다 못한 삶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진심이에요. 단, 저처럼 지금 당장의 결혼이 목적이 아니고, 스스로를 끊임없이 담금질하고 그릇을 넓히고 더 많은 사람을 담는 삶을 살고 싶은 사람이라면, 그런 나를 이해해줄 그 '한 놈'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겠지요. 나이에 밀려 등 떠밀리듯 결혼하는 것보다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냉정히 따져봅시다. 그렇다면 선택해야 할 일도, 집중해야 할 한 놈도 자연스레 떠오르지 않을까요?-49~50쪽

서른이 넘었다고 해서 모두가 결혼할 때가 된 것이 아니라 온전히 홀로 지낼 수 있는 성인일 때, 동시에 나와 전혀 다른 환경에서 같은 듯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자라온 한 사람과 수십 년을 공졵할 만큼 이해와 배려심이 생겼을 때가 비로소 결혼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누군가 그러더군요. 결혼은 혼자 있어도 외롭지 않고, 누군가 곁에 있어도 귀찮지 않을 때에 하는 거라고. 대학까지 졸업한 다 큰 처자이면서 아직도 혼자서 밥도 못 먹고, 보고 싶은 영화도 누가 같이 봐주지 않으면 영화가 극장에서 내리는 걸 울면서 바라보기만 하면서도, 결혼하기 위해 조급해했다면 스스로 반성해야 할 것입니다.-51쪽

남자가 능력이 없어서 결혼할 수 없다고 결정을 내릴 때, 그가 집 한 채 갖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결혼 부적격 판정을 내릴 때, '나는 어떤가?'라는 객관적이고 냉엄한 판단의 저울에 스스로를 올려놓아야 한다는 것이죠. -25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