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주일전부터 책이 안읽혀진다. 아~~ 왜그럴까? 올해 목표치를 채우려면 열심히 읽어도 모자라것만 이상하게 잡생각만 나고, 글은 눈에 안들어온다. 봄바람이라도 난건가? ㅎㅎ 암튼 일주일전까지 책이 아주아주 잘 읽혀질때 연달아 서너권읽은 책중에 한권이 바로 연금술사였다.

연금술사? 뭔가 있어보이는 제목아닌가? ('사'자 붙는 직업이 대우받는 사회속에 살다보니 '사'자로 끝나는건 뭐든 눈이가니.. 이건뭐가 문제인것인가? ) 책에서 간단하게 나온 설명으로보면 연금술사란 다른금속을 이용하여 금을 만들려고한 사람들(?)정도. 그럼 왜 제목을 연금술사로 했을까?

책은 주인공 산디아고가 여행을하면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이야기하는데.. 인생에서 자기자신을 찾는것만큼 중요한게 또 있을까? 고로 예전부터 가장 값지게 여긴것이 금이였고, 그걸만드는 사람들이 연금술사였으니 비유법을 쓴것이 아닐까싶다. (평범을 비범으로 만드는것말이다. ) 제목뿐만이 아니라 주인공 산디아고를 비롯한 책속 모든것들이 비유를 담고있다. 이해하기 힘들고, 복잡한 내용일수 있는데 이 책은 그냥 재미있는 이야기처럼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산디아고를 따라가다보면 마지막엔 '아~~ 그렇구나.'란 감탄이 흘러나온다.

어려운걸 배우는것보다 알고있는걸 쉽게 설명하는게 가장 어렵다는 말이있다. 즉 아무리 좋은학자라도 남에게 자신의 지식을 이해시킬 수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그런 의미에서 파울로 코엘료란 작가는 두고두고 내 머릿속에 기억될 것 같다.

마지막으로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싸운다. 알은 하나의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란 데미안에서 나온 유명한 구절. 요즘들어 읽은책에서 자꾸만 저 구절이 떠오른다. 역시 이 책을 읽으면서도 생각이 나더라구~ 성장하기위해선 틀에 갖춰있으면 안된다는걸 알면서도 그 틀을 깨기가 왜이리 힘드는걸까? 산디아고가 부러울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