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밀사 - 일본 막부 잠입 사건
허수정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올 초 몇 달간 한국사 공부하느라 머리에 쥐가 났었다.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그 방대한 양에 기가 눌리기도 했었지만 무엇보다 힘들었던 건 조선시대 붕당정치였다. 도대체가 외우고 돌아서면 까먹고, 또 까먹고.. 대체 왜 이런 일이 일어나서 머리 아프게 만드냐고 원망하고도 싶었지만 새삼 <왕의 밀사>를 읽는다고 붙잡고 보니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다. 더 신기한건 공부할 땐 그리 머리 아프던 사실들이 드라마나 영화, 책을 읽을 때 자연스레 연결되어 앞뒤 상황파악이 되고, 활자로만 봤던 인물들의 움직임이 너무 재밌다는 것이다. 역시 ‘아는 것이 힘일까?’

 

서인이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낸 후 정권을 잡고 (얼마 전 끝난 일지매의 시대배경이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효종이 왕위에 오른 시점이 바로 <왕의 밀사>에 배경이 된다. 하지만 이 소설의 주무대는 조선이 아닌 일본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도무지 헷갈리는 인물들의 이름에서부터 아는바 전혀 없는 일본의 막부라니.. 한동안 헤매다가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추리해나가는 박명준의 활약이 벌어질 때부터 속도가 붙었다. (중간 중간 앞 페이지의 인물설명을 뒤적거려가면서 말이다.)


얼마 전 <뿌리 깊은 나무>를 뒤늦게 읽으면서 오밤중에 온 몸에 소름이 돋고, 머리가 쭈빗서면서 가슴이 벅차오른 기억이 너무나 선명했기에 그 정도의 감동을 무의식중 기대해서 그그랬는지 조금 실망감도 있었다. 하지만 이 소설이 평가받아야할 중요한 점은 작가가 한국과 일본역사에 일정수준이상의 지식이 있다는 사실(없다면 소설을 쓸 수 없었겠지)과 일본을 배경으로 그 당시 시대상황을 살인사건과 잘 버물려줬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뿌리 깊은 나무>는 한국인만이 느낄 수 있는 자부심이 있다면 <왕의 밀사>는 수많은 대립을 겪어온 한국(조선)과 일본의 관계, 동북아의 정세까지 포함한 좀더 넓은 시각을 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사를 공부하다보면 안타까운 점이 수없이 많다. 위에서 내려오고, 아래에서 올라오고.. 반도의 숙명일까? 저 드넓은 만주벌판은 우리 땅일 것이며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을 하지 않고, 일본보다 먼저 아니 비슷한 시점에서 개항을 했더라면 역사는 조금 더 달라졌을 것이다. 그것도 아니라면 강대국들에 의한 회담으로 38선이 생기지 않았더라면 지금의 한국은 어떤 모습이였을까? 생각 할수록 안타깝다.

 

역사란 끊임없이 되풀이 되는 거라고 한다. 그렇기에 역사를 우습게 알고 넘겨버리는 민족에겐 반드시 역사 속 아픔들이 재생된다고 한다. 당장 지금도 그렇치 않은가? 일본은 오래전부터 독도에 수많은 인력과 자본을 써가며 힘을 기르고 있는 동안 우리 정부는 모른 척 손놓고 있었으며 미친소를 미국이 우리에게 준 선물이라 생각하는 협상자의 말 한마디에 국민은 광분하지 않았는가. 또한 동북공정을 준비하는 중국의 치밀한 전략 앞에 고구려의 역사가 사장될 지경인데 정부는 문제없다고만 한다. 차 떼고, 포 뗀 다음 뭘로 이 나라를 지켜나가려는지 걱정이 앞선다.

역사가 증명하듯 누구도 완전한 적도 동지도 아닌 것 같다. 그렇기에 정신 차리고 중심을 잡아야하는데 부시와 연신 어깨동무하며 미소 짓는 2MB의 모습이 씁쓸했던 건 비단 나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일에 대비해 ‘밀사’를 준비해 두는 것이 좋지않을까란 생각을 해본다. 영웅이 없는 시대 세종과 이순신, 안중근과 김구(존칭은 생략했어요)가 그리운 건 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