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사진은 초점이 잘 맞지 않았다. 컴퓨터가 아닌 카메라로 볼 때는 괜찮았는데, 한장 더 담을걸 그랬다. 밑에 것처럼 몇권씩 담는 게 나았을지도 모르겠다.

 

책을 읽고 책을 한권씩 사면서 언젠가 책만 둔 멋진 방을 갖고 싶다 생각했지만, 그 언젠가는 오지 않을 것 같다. 책도 별로 없고 책꽂이를 둘 곳도 없어서다. 내 물건에서 가장 많은 건 책이지만 나보다 더 많이 가진 사람은 많다(얼마 없는 것도 많다고 생각하지만). 문학과지성사에서 나온 책은 시집이 많고 소설도 몇권 있는데 담지 않았다. 거의 예전에 나온 책이다. 며칠전에 《원미동 사람들》(양귀자)을 찾았는데 글자가 아주 작았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마당 깊은 집》(김원일) 《봄날》(임철우) 《관촌수필》(이문구) 《여수의 사랑》(한강) 생각나는 건 이것밖에 없는데 몇권 더 있을지도 없을지도. 임철우 소설 《봄날》은 다섯권이다. 정리를 잘 해두지 못했고 몇해전에 물난리가 나서 많이 버렸다(이 말 또 하다니).

 

나한테 있는 시집에서 담지 못한 게 몇권 있다. 그래봤자 몇권이다. 아주 많이 나온 것에서 일백권도 사지 않았다니, 다른 곳에서 나온 것과 합치면 일백권 넘을까. 예전에 나한테 어떤 시집이 있는지 적어둔 것에서 두번째 것만 있는데 거기 마지막을 보니 아흔여섯(96)권이다. 그 뒤에 네권 넘게 샀으니 일백권 넘겠다. 아니 버린 게 있어서 어떨지 모르겠다. 시집이 그렇게 많지 않구나.

 

예전에 책방에 가면 책장을 가득 채운 시집을 보고 좋아하기도 했는데, 그게 문학과지성사에서 나온 거였다. 시집은 잠깐 보다 안 본 시간이 길어서 얼마 못 샀다. 지금이라고 자주 사는 건 아니고 소설도 많이 사지 않는다. 읽는 것보다 사는 게 더 적다. 여기에는 나와 반대인 사람이 더 많겠지.

 

 

 

을 열고 하늘을 보니

한 마리가 날아가네

일을 좋아할지

렁이를 좋아할지

게를 좋아할지

과, 사탕, 사랑

 

 

 

지는 어릴 때부터 시를 좋아하고

교에서도 시를 많이 봤어요

제로 쓴 시는 선생님이 칭찬했습니다, 시간이 흐른

금도 문지는 시를 좋아해요

우는 그런 문지를

탕합니다

 

 

 

장이 나를 찾아오길

목처럼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린다

일은 잘도 익어가고

구는 돌기를 멈추지 않는데

기기만 한 내 글, 그래도

탕해

 

 

 

마지막은 사탕이 되는... 그냥 그렇게 쓰고 싶었다. 재미있기도 하고 다른 말은 쓰기 어려워서. 누군가한테 말하는 것도 아니고 글일 뿐인데. 글이기에 쓸 수 있다고 생각하기도 했지만 안 되는구나.

 

 

 

희선

 

 

 


댓글(5)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장소] 2017-01-22 23: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무지 사들였다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몇권 안되더라고요 ..ㅎㅎ 시집..ㅜㅜ

희선 2017-01-24 23:04   좋아요 1 | URL
저는 한때 조금 사다가 시간이 흐른 다음에 조금 사고 다시 어쩌다 한권 사는군요 몇권 안 된다 해도 저보다 많으실 것 같네요


희선

[그장소] 2017-01-25 03:47   좋아요 1 | URL
문지사 시집만 쭉 모으기 시작한건 얼마 안되서 몇권 안되고 동인시집, 옛날 시집들이 좀 있어요.
언제 한번 세어 봐야겠네요. ㅎㅎㅎ

ICE-9 2017-01-23 05: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와, 꽤 많이 가지고 계시는군요. 무려 백권이 넘다니! 제가 가진 것은 희선님 것에 비한다면 정말 조족지혈 같습니다. 오행시도 잘 읽었습니다^^

희선 2017-01-24 23:06   좋아요 1 | URL
문학과지성사 것뿐 아니라 다른 데서 나온 것과 합쳐서 그렇게 되는 거예요 시집 많은 사람에 견주면 적은 거예요 어디든 지금까지 나온 시집이 백권은 넘었어요 문학과 지성사는 좀더 나오면 오백권이더군요 며칠 전에 라디오 방송에서 얼마전에 나온 다치바나 다카시 책 이야기 들었는데, 책이 아주 많더군요 예전에 고양이 빌딩 본 적 있어요 그건 거의 도서관이죠 그런 건 남 이야기고 책이 많아도 그걸 다 보기 어려울 것 같아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