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은 푸르구나 우리들은 자란다’하는  노랫말처럼 나도 자라도록 해야겠다. 오월에는 바람도 푸르다. 푸른 바람을 만나는 일은 기분 좋다. 바람이 부는 날보다 불지 않는 날이 더 많은 것 같기도. 이건 틀린 말이다. 바람은 언제나 불지만 내가 그것을 느끼지 못했겠지. 아니 아니 이것도 아니다. 햇빛이 뜨거울 때는 바람도 뜨겁다. 오월인데 이런 말을. 지금 오월은 예전과 다르다. 예전에 어땠는데, 하고 묻는다면 말하기 어렵다. 예전과 달라도 오월은 푸르다고 하는 게 가장 어울린다.

 

 

 

 

무서운 이야기는 무서운 것을 부를까

 

  노조키메   のぞきめ (2012)

  미쓰다 신조   현정수 옮김

  북로드  2014년 10월 20일

 

 

 

 

 

 

 

 

 

 

 

 

내가 무서운 이야기 듣는 것을 좋아하는지 잘 모르겠다. 사람은 무섭다면서도 무서운 이야기를 듣고 보기도 한다. 그건 왜일까. 어렸을 때 내가 무섭게 본 것은 침대 밑에서 괴물이 나온 것과 전설의 고향에서 귀신이 ‘내 다리 내놔’ 하던 거다. 침대 밑에서 괴물이 나온 건지 그 안으로 사람이 끌려들어간 건지 자세한 건 나도 잘 모른다. 어렸을 때 여러가지 보았을 텐데 생각나는 게 별로 없다니 아쉽다. 그런 것을 오래 기억해서 무서워하는 건 안 좋을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잊어버렸나보다. 책도 무서운 이야기는 별로 안 보았다. 아주 좋아하지 않아서일까. 조금 알고 싶은 마음은 있는 것 같다. 이 이야기는 얼마나 무서울까 같은. 책을 봤을 때 무서운 적은 별로 없었다. 내가 아직 아주 무서운 이야기를 만나지 못해서 그런가보다. 아니면 나한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겠지 생각해서일지도. 세상에는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일이 있다. 거기에는 놀라운 일도 있고 무서운 일도 있다.

 

백가지 이야기를 할 때는 초 백자루를 켜두고, 이야기 하나가 끝날 때마다 초를 하나씩 끈다. 이야기가 모두 끝나고 초도 다 꺼서 방안이 캄캄해지면 그곳에 무서운 일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것도 무서운 이야기다. 그런데 백가지 이야기를 하룻밤에 다 끝낼 수 있을까. 이것은 우리나라 이야기가 아니고 일본에 있는 이야기다. 책은 많이 안 봐서 모르겠고(영화 원작이 책일 때가 많겠다), 만화나 영화에서 무서운 이야기를 하면 그 일이 실제 일어난다. 이것은 무서운 이야기를 듣고 싶어한 사람이 책임져야 하는 걸까. 그런 건 끝까지 보면 무서운 일이 왜 일어났는지 나온다. 아니 모두 밝혀지지 않을 때도 있다. 그건 사람이 아닌 다른 게 나타나서 사람을 죽일 때다. 차라리 사람이 원한 때문에 사람을 죽인다고 하면 마음이 더 편할 거다. 그렇다고 원한으로 사람을 죽이는 게 옳은 건 아니다. 나는 그런 일을 겪지 않아서 이렇게 말하는 거겠지. 귀신, 곧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 다른 사람을 죽이는 건 어떻게 가라앚혀야 할까. 자신을 죽인 사람한테만 되갚는 귀신도 있지만, 아무 상관없는 사람을 죽게 하는 귀신도 있다. 그럴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다. 그 귀신이 나온다는 곳에 안 가는 수밖에 없다.

 

귀신은 아니고 어떤 요괴는 사람이 자신을 봤다는 것만으로 그 사람을 잡아먹으려고 했다. 정말 이런 일도 있을지도. 나쁜 것을 일삼는 사람이 아니어도 그저 봤다는 것만으로 죄가 되는 때도(이건 사람보다 귀신 기준이다). 이것도 억울한 일이구나. 구미호도 그랬다. 구미호는 자신을 만났다는 말을 아무한테도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사람을 살려주었다. 이것은 왜일까. 구미호가 나온다는 소문이 나면 그곳에 많은 사람이 찾아와서 어지럽혀서, 혹은 사람이 몰려와서 그곳에서 쫓아낼까봐. 그러고 보니 그런 것을 본 것 같기도 하다. 어떤 것을 멋대로 신으로 모시고, 안 좋은 일이 자꾸 일어나자 사람들은 그것을 원망했다. 개인이 그러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한 마을 사람이 그러면 엄청난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면 다행인데, 사람이면……. 여기에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마을, 마을에서 따돌림 당하는 집안이 나오지만. 일본에는 한 마을에서 일어나는 이야기가 많은 것 같다. 아니, 일본에만 있는 일은 아닐지도 모르겠다. 알 수 없는 것을 무서워하는 일은 일본에 많을지 모르겠지만, 사람이 꺼리는 일은 어디에서나 일어난다.

 

앞 이야기 <엿보는 저택의 괴이>에서 일어난 알 수 없는 일은 뒤에 나온 이야기 <종말 저택의 흉사>로 조금 설명이 되지만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귀신은 있을지도. 두번째에서 다른 사람은 볼 수 없는 아이를 그곳에 간 사람은 봐서, 그 아이가 진짜 다른 건가 했다. 이런 모습은 아야츠지 유키토 소설 《어나더》에서도 볼 수 있다. 이것도 본 지 오래돼서 잊어버리고, 어떤 한 마을에서 일어나는 일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 책 제목 노조키메는 ‘엿보는 눈(覗き目)’, ‘엿보는 여자(覗き女)’ 두 가지를 말한다. 자기 혼자 있는 곳에서 누군가 자신을 보는 것 같으면 무척 무섭겠다. ‘서장’에서는 경고한다. 책을 볼 때 누군가 엿보는 것 같으면 책을 그만 보라고. 겁을 주다니. 지금은 괜찮아도 어느 날 갑자기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틈에서 뭔가 나를 보고 있는 것을 느낄지도(아직까지 그런 일 없음, 이건 책 속에서 있는 일인 듯하다). 이렇게 생각하니 조금 무섭구나. 이런 생각도 든다. 누군가한테 원한 살 일을 하지 않으면 좀 낫지 않을까 하는. 조상이 안 좋은 일을 했으면 어쩌나 싶지만. 사람은 자신만 생각하지 않고 다음 세대도 생각하고 살아야겠구나. 왜 이런 말을 하느냐면, 노조키메는 억울하게 죽은 여자아이여서다.

 

여기에서 모두 논리있게 말해주는 건 아니다. 무서운 이야기는 그것 자체로 남겨둔다고 하지 않는가. 맨 앞에서도 말했듯이 세상에는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난다. 나는 이상한 일을 겪은 적이 있을까. 오래전에 이상한 걸 본 적 있는데 그건 별거 아니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냥 내 눈이 잠시 이상했던 건지도.

 

 

 

 

☆―

 

“어째서죠? 왜 이 공책을 읽으면 안 된다는 겁니까?”

 

“…… 오니까.”

 

“네?”

 

“그것이 엿보러 오니까…….”  (44쪽)

 

 

 

 

 

한밤에 일어난 일

 

 

 

이사하고 며칠이 지난 밤부터 밖에서 발자국 소리가 들렸다. 그것도 하루가 바뀌는 영시였다. 처음에는 다른 집에 가는 사람인가 보다 했다. 하지만 발자국 소리는 우리 집 앞에서 멈추었다. 첫날은 잠결에 들어서 별로 마음 쓰지 않았다. 둘째날도 셋째날도 어김없이 발자국 소리가 우리 집 앞에서 멈추었다. 넷째날은 영시가 되기를 기다리다 문에 달린 렌즈로 바깥을 보았다. 밑에서 올라오는 발자국 소리가 들리고 우리 집 앞에서 멈추었는데, 바깥에는 아무도 없었다. 나는 움직일 수도 숨을 쉴 수도 없었다. 다시 시간이 흐르는 걸 느낀 건 이삼 분이 지난 뒤다. 아니 어쩌면 채 일분도 지나지 않았을지 모르겠다. 나는 다시 용기를 내어 렌즈에 눈을 갖다댔다. 곧 렌즈 너머는 빨갛게 물들었다.

 

내가 정신을 잃었던 걸까. 멀리서 자명종 소리가 희미하게 들렸다.

 

 

 

 

 

 

 

그곳이 사라져도 기억으로 남는다

 

  사라진 공간들, 되살아나는 꿈들

  윤대녕

  현대문학  2014년 06월 12일

 

 

 

 

 

 

 

 

 

 

 

 

산문은 소설과 다르게 작가 이야기를 할 때가 많다. 소설도 비슷할까. 소설에서는 작가를 찾아보기 어렵다. 나만 잘 못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어쩌다 가끔 작가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고 느낄 뿐이다. 소설을 보면서는 거기 나오는 사람과 자신을 겹쳐서 볼 때도 있는데, 나는 이것도 자주 하지 않는다. 나와 비슷한 사람을 못 봐서(비슷한 건 아주 조금일 때가 많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든다. 내 삶은 소설 재료로도 쓰지 못하겠구나 하는. 어쩐지 조금 슬프기도 하다. 예전에 어릴 때를 생각하고 뭔가 써 본 적 있는데 그저 그랬다. 그것을 좀더 재미있게 쓰면 좋을 텐데, 어려운 일이다. 제대로 해 보지도 않고 어렵다고 말하는 것일지도. 산문에서 작가가 하는 이야기를 보면 자신은 어땠는지 생각하기도 한다. 소설 볼 때도 그러는 듯하다. 소설에 나오는 사람과 나를 겹쳐보는 것은 하기 어려워도 나는 어떤지 생각하는구나. 책을 읽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따라 책을 보는 게 다를 것 같기도 하다. 아니 처음에는 모두 읽는 사람일 뿐일지도. 비평하는 사람은 다르게 읽을 것 같다는 거다.

 

이 책을 읽다보니 예전에는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진 곳들이 떠올랐다. 나는 어디 다니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서 마음에 드는 공간도 없다. 공간은 사람이 있을 때 그곳에 있지, 사람이 없으면 그곳도 사라진다고 한다. 사람은 바로 자신과 누군가겠지. 내가 사는 곳에서 다른 곳(위쪽)에 가기 위해 기차를 타려면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야 했다. 지난날 이야기다. 지금은 배 타고 역에 가지 않아도 된다. 내가 사는 곳에도 역이 있었는데 거기에서는 멀리까지 가지 않았다. 지금은 가는가보다. 옮긴 역이 어디 있는지 모른다. 아직 한번도 안 가봤다. 배가 아닌 버스를 타고 기차를 타러 가도 되었다. 예전에는 그 배를 타는 사람이 아주 많았는데, 지금은 배가 아예 없어졌을까. 몇해 전(이것도 시간이 많이 흘렀다)에 배를 탔을 때는 사람이 아주 적었다. 공간도 공간이지만 배를 타고 내리는 풍경 자체가 사라져버린 듯하다. 어디에 자주 다니지도 않으면서 이런 말을 했다. 내가 사는 곳이 섬이어서 배를 타야 했던 건 아니다. 그때는 배를 타고 다른 지방 역에 가는 게 나았다. 밑으로 가려면 다른 방법으로 가야 했다.

 

 

           
           

                   역이 있던 곳 빈 터다, 아니 오래전에 가 봐서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다

                        비밀이랄 것은 없지만 사진을 보면 내가 어디에 사는지 알겠다

                           나무는 역에서 왼쪽이고 더 왼쪽으로 들어가면 시장이다

 

 

 

내가 사는 곳에 있던 역은 다른 곳으로 옮겨서 예전에 있던 역은 없어졌다. 예전에 나는 역은 그대로고 철길을 놓는 건지 알았다. 철길은 다른 곳에서 이곳과 이어졌겠지. 예전 역은 작아서 비둘기호가 다니고 이게 사라지고 무궁화호가 되기도 했다(가끔 화물차도 다녔다). 이름만 바뀌었지 가는 곳은 같았다. 어떻게 이것을 아느냐 하면, 그 기차를 타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역 바로 옆은 재래시장이다. 어렸을 때는 엄마와 함께 시장에 다니기도 했는데 언젠가부터 시장에 안 가게 되었다. 이제는 시장까지 가지 않아도 물건을 살 수 있다. 이것은 어디나 비슷하겠지. 예전에는 시장이 있는 곳이 내가 사는 곳 중심이기도 했는데, 지금은 그런 곳이 딱히 없는 듯하다. 이게 좋은 건지 아쉬운 건지. 그래도 아직 그곳에는 사람이 산다. 많은 사람이 가지 않아도 가까운 곳에 사는 사람은 시장에 가겠지. 아침에 기차를 타면 장사하는 사람이 많았던 듯하다. 시장에서 물건을 떼어가는 사람이 아니었을까.

 

시장에서 좀 떨어진 곳에는 극장 두 곳이 가까이에 있었다. 내가 영화를 보러 극장에 자주 간 건 아니다. 학교에서 단체로 볼 때 갔다. 나 혼자 극장에 간 적 있다. 그때 왜 혼자 갔을까. 나는 혼자 가는 것을 싫어해서 극장에 다니지 못한 것 같다. 그런 곳에는 누군가와 같이 가야 할 것 같아서. 그것도 있겠지만 혼자서라도 영화를 보아야겠다는 마음이 없었던 거겠지. 친구와 같이 간 적 있는 것 같은데 무슨 영화를 봤는지 생각나지 않는다. <접속>만 생각난다. 요즘은 도서관에서 영화를 보여주는 날도 있는데 한번도 못 가 봤다. 거의 어린이와 엄마가 올 것 같아서. 아이와 엄마가 보기에 좋은 것만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거기에 못 가서 아쉬운 건 아니다. 예전에는 텔레비전 방송으로 영화를 해주었지만 지금은 그게 없어졌다. 그게 없어지기 한두해 전에 안 보게 되었지만 아쉬운 점이다. 내가 영화를 좋아한다면 인터넷으로라도 봤겠지. 그러지도 않으면서 아쉬워하다니. 나는 영화를 찾아서 보기보다 기회가 되면 보는 것으로 생각하는가보다. 극장이 있던 곳 어떻게 바뀌었는지 모르겠다. 그곳까지 안 가 봐서.

 

시내에는 책방도 있었다. 예전에는 여러 곳이었는데 지금은 많이 줄었다. 책방은 집에서 멀어서 가끔 갔는데, 그곳에서 친구와 만나기도 했다. 도서관은 예전에 집에서 먼 곳에 있었는데, 지금은 집에서 가까운 곳에 있다. 그 도서관 건물은 무엇으로 쓸까. 예전 도서관 뒷쪽 은행나무밑에 햄스터를 묻었는데. 볼 일이 없으면 가지 않는 곳이 많구나. 중학생 때는 자주 못 샀지만, 고등학생 때는 테이프를 좀 샀다. 레코드 가게에 몇번 갔더니 그곳에서 일하는 언니가 나를 알아보기도 했다. 나중에는 테이프 값을 깎아주었다. 그곳도 시간이 흘러서 사라졌다. 일하는 언니와 이야기를 별로 나누지 못했는데 지금 생각하니 아쉽다.

 

다른 누군가와 함께 한 기억은 거의 없구나. 친구와 함께 간 바다가 있기는 한데. 나한테도 그런 일이 있었다니 좀 신기하다. 윤대녕은 글을 쓰려고 떠난다고 한다. 나하고는 반대다. 나는 다른 곳에서는 책도 못 읽고 글도 잘 못 쓴다. 집에서 잘 쓰는 것도 아니지만. 이것은 사람마다 다른 거겠지. 마지막에 글쓰는 이야기가 되다니. 나는 작가보다 짧은 동안 지난날을 생각했다. 이런 시간 괜찮은 듯하다. 떠올릴 기억이 얼마 없어서 조금 아쉽다. 이것은 앞으로도 비슷할 것 같다. 인터넷이라는 공간을 생각하는 것도 괜찮을까.

 

 

 

희선

 

 

 

 

☆―

 

“가장 인상에 남은 장면은 아빠가 혼자 빗속에서 낚시를 하는 모습이었어요. 근데 그 모습이 저는 왠지 쓸쓸해 보이던데, 이상하죠?”

 

이상할 건 없다. 그것은 우리가 서 있던 공간이, 우리가 그 자리를 떠남과 동시에 흔적 없이 사라질 거라는 어쩔 수 없는 예감 때문이란다, 얘야.  (74~75쪽)

 

 

“네, 우체부 같은 작가가 되어 돌아가고 싶습니다. 사람들한테 온갖 희로애락과 생로병사의 비의를 전달해주는 게 되어서 말이죠. 그동안 깨달은 것이 있다면 이것뿐입니다.”  (21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