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럴드 프라이의 놀라운 순례
레이철 조이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저는 차를 타기보다 그리고 숨차게 달리기보다 천천히 걷기를 좋아합니다. 하지만 아주 오래 걸어본 적은 없습니다. 오래 걷는다 해도 겨우 한두 시간 남짓입니다. 더 오래 걸었던 적도 있겠지만 그게 언제였고 어디를 걸었는지 모르겠군요. 그냥 걸었던 적은 거의 없습니다. 어딘가에 갔다 오는 그런 걷기였지요. 가끔은 볼 일이 없더라도 걸으면 좋을 텐데 게을러서 그러지 않는군요. 그런데 제가 걷기를 좋아한다고 말했네요. 일부러 걷지 않을 때가 많다 해도 늘 걸으니까 좋아하는 게 맞지 않을까요. 걸어서 아주 멀리까지 가 보면 좋을 것 같기도 한데, 아마 어려울 테지요. 해럴드 프라이는 이십 년 전에 함께 일했던 동료 퀴니 헤네시한테서 편지를 받습니다. 퀴니는 암에 걸려서 이제 얼마 살지 못한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해럴드는 퀴니한테 답장을 쓰고는 우체통에 넣으러 밖으로 나갑니다. 우체통은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었는데 해럴드는 편지를 보내지 않았습니다. 해럴드는 좀 더 먼 곳에 있는 우체통으로 걸어갔습니다. 그렇게 우체통을 몇 번이나 지나쳤습니다. 그리고 해럴드는 퀴니가 있는 버윅어폰트위드까지 걸어가기로 합니다. 편지만 보내면 안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었고 해럴드 자신이 퀴니가 있는 곳까지 가면 퀴니가 나아질거다고 믿었습니다. 퀴니한테 해럴드는 자신이 걸어가고 있으니 기다려달라고 합니다.

 

편지를 부치러 집을 나와서 해럴드는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가기로 합니다. 해럴드가 걷기 시작한 킹스브리지는 남쪽 끝이고 퀴니가 있는 버윅어폰트위드는 북쪽 끝으로 거리는 거의 800킬로미터였습니다. 젊은 사람이라면 그런가 보다 할 수도 있겠지만, 해럴드는 여섯 달 전에 퇴직하고 이제 남은 삶을 느긋하게 보내도 되는 예순다섯입니다. 이런 것을 보면 너무 갑작스러운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해럴드의 생각을 따라가다보면 그렇게 갑작스러운 일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을 말해주는 게 엄청 뒤지만. 이것은 어쩔 수 없는 일 아닌가 싶습니다. 앞에서 빨리 말하면 우리가 해럴드를 끝까지 따라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을 테니까요. 아니, 어쩌면 해럴드가 끝까지 가지 못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중요한 일을 떠올리기 전에 해럴드는 다른 일을 먼저 떠올려야 했던 것이겠지요. 본래 소설에는 감추고 나중에 말해야 하는 것도 있잖아요. 제가 그런 것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아서 말이에요. 그래서 조금 답답함을 느꼈지만, 아마 저도 중요한 말은 뒤로 미뤘을 겁니다. 그런데 이런 말을 앞에서 해버렸군요.

 

걸으면 자신이 걷고 있는 둘레를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꽃, 나무 그리고 사람들. 해럴드는 예전에 퀴니와 함께 차를 타고 봤던 곳을 새롭게 보기도 했습니다. 해럴드는 지금까지 왜 그것을 몰랐을까 했지요. 얼마 전에 라디오를 들으니 어떤 분도 예순이 넘었는데 산책을 하다 갑자기 떠났다고 하더군요. 그분이 간 곳은 강릉으로 어딘가를 걸으면서 자신을 되돌아보셨다더군요. 신기한 것은 제가 이 책을 보기 하루 전에 그런 이야기를 들었다는 거예요.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써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습니다. 걸으면 이것저것 천천히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해럴드는 자신이 어렸을 때 부모님 일을 생각했습니다. 아버지는 전쟁터에 갔다 오고는 제대로 살아가지 못했고, 어머니는 해럴드가 어릴 때 짐을 싸서 떠났습니다. 아주 어릴 때는 아니었지만 그 일은 해럴드 마음에 아픔으로 남아 있었겠지요. 그리고 아내와 아들 생각도 했습니다. 데이비드와 잘 지내지 못하게 된 일, 아내 모린한테 감명을 줄 만한 일을 한 게 오래되었다는 것을. 무엇보다 해럴드는 데이비드한테 다정한 아버지가 되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습니다. 그리고 퀴니를 오랫동안 잊고 산 것도. 해럴드는 잠시 다른 사람들과 걷는데 그 안에는 데이비드를 떠오르게 하는 아이도 있었습니다. 해럴드는 그 아이를 자기 아들처럼 대한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진짜 아들은 아니었다 해도 그 일로 해럴드 마음이 조금은 나아지지 않았을까요.

 

이제야 말을 하게 되었는데, 해럴드 아내 모린은 해럴드가 퀴니한테 걸어가겠다는 일을 해럴드가 자신을 떠나는 일로 여겼습니다. 해럴드는 그런 마음으로 떠난 게 아닌데 말입니다. 모린도 나중에는 알게 됩니다. 모린은 해럴드가 퀴니한테 가려는 일을 그만두려고 했을 때 끝까지 해낼 수 있게 도와주었습니다. 해럴드가 퀴니한테 가지 못하면 평생 후회할거라 생각한 것이지요. 해럴드가 길을 잘못 들었던 적도 있어서, 87일 동안 1000킬로미터를 걸어서 퀴니가 있는 요양원에 이르렀습니다. 마지막에는 거의 힘이 빠져서 괜찮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했어요. 퀴니가 있는 곳에 닿았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럴드가 걸었던 시간도 중요합니다. 이것은 당연한 것이겠지요. 그 가운데서 해럴드가 걷는 동안 만난 사람이 가장 중요합니다. 해럴드와 그렇게 다른 사람은 없었습니다. 사람들한테는 같은 점이 하나 있었습니다. 모두 아픔이 있다는 것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크든 작든 아픔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그런데 자기 자신만 아프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 탓도 하지만 자기 탓을 많이 하지 않을까요. 해럴드도 그런 것 같습니다. 걷다 보니 해럴드는 용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부모님뿐 아니라 자신도. 이것은 모린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린은 데이비드 일을 해럴드 탓만 했는데 자신한테도 잘못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했어요. 정리가 잘 되지 않은 것 같군요.

 

해럴드와 모린은 그동안 이야기를 거의 하지 않았습니다. 서로 상처를 제대로 마주하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어떤 일은 거기에서 눈과 마음을 돌리게 합니다. 그것뿐 아니라 곁에 있는 사람까지 모르는 척하게 만들기도 하지요. 기쁨뿐 아니라 슬픔도 함께 나눈다면 더 좋을 텐데요. 이렇게 말하지만 저도 슬픔은 어떻게 나눠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말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하는 게 더 좋지 않을까요. 해럴드와 모린은 다행하게도 너무 늦지 않았습니다. 다른 사람도 그러기를 바라고 작가가 이 소설을 쓴 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람은 언젠가는 죽습니다. 살아 있는 동안 가까이 있는 사람과 한번이라도 더 눈을 맞추고 이야기를 한다면 좋지 않을까요.

 

 

 

사람은 떠나봐야 자신이 있었던 곳의 소중함을 알고, 그 사람이 없는 빈 자리를 보고 그 사람이 소중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떠나지 않고 떠나보내지 않고 서로의 소중함을 알 수 있다면 훨씬 좋을 텐데 사람은 그게 잘 안 된다. 그래도 너무 늦지 않게 서로의 소중함을 알 수 있다면 좋겠다.

 

 

 

희선

 

 

 

 

☆―

 

받는 것도 주는 것만큼이나 선물이었다. 둘 다 용기와 겸손이 필요한 행동이었다.  (252쪽)

 

 

모린은 생각했다. 마음을 열지 못하면, 모르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진정 희망이란 없어.  (39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