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함 속 세계사 - 129통의 매혹적인 편지로 엿보는 역사의 이면
사이먼 시백 몬티피오리 지음, 최안나 옮김 / 시공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통신이 아주 발달해서 전자편지가 가는 시간은 얼마 걸리지 않는다. 전자편지보다 휴대전화기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사람이 더 많던가. 나도 예전만큼 전자편지는 쓰지 않는다. 컴퓨터를 쓰고 얼마 안 됐을 때는 신기해서 전자편지 자주 쓰기도 했는데, 조금 아쉽다. 지금이라고 못 쓸 건 없지만, 이제는 전자편지가 아니더라도 연락할 방법이 있기는 하다. 앞에서 말한 휴대전화기는 아니고 블로그다. 그것도 함께 이야기하기 쉽지 않던가.


 편지는 꽤 오래전부터 썼을 거다. 명령이나 알림 같은 건 거의 편지로 전했겠다. 비밀 같은 것도 그랬겠지. 그건 믿을 수 있는 사람한테 전해달라고 했겠다. 사람은 문자를 만들고 글을 쓰고 편지를 썼겠지. 그림으로도 편지 썼던가. 종이가 없었을 때는 나무판에 편지를 썼다는 말 본 듯하다. 암호로 쓴 편지도 있었겠다. 그렇구나, 정치 편지는 암호로 써서 전했겠다. 그런 걸 가로채서 어떤 내용인지 알아본 사람도 있었겠지. 지금은 편지 쓰는 사람이 많이 줄었다. 난 지금도 편지를 쓰기는 하는데 내가 쓴 편지는 아무것도 아니다. 그저 말이다. 작가가 쓴 편지나 일기는 중요한 글로 여기는구나. 한사람 편지를 죽 보면 좀 더 좋기는 한데, 이 책 《우편함 속 세계사》에는 한사람 편지가 한통밖에 나오지 않는다. 여러 통 실은 것도 있구나.


 책 한권을 꽤 오랫동안 만났는데, 무엇을 본 건지 영 생각나지 않는다. 편지를 보고 역사를 조금 알려나 했는데. 내가 집중하지 못해서기는 하다. 예전 사람 편지가 남아 있기도 해서 이런 책이 나왔구나. 다 알지는 못하지만 이름 아는 사람이 많다. 프란츠 카프카는 친한 친구한테 자신이 쓴 글을 모두 태우라는 편지를 남겼는데, 친구는 그 말을 그대로 듣지 않았다. 이건 잘 알려진 거기는 하구나. 카프카와 같은 사람은 더 있다. 조선시대 시인 허난설헌도 그랬고 시인 에밀리 디킨슨도 그랬다. 그런 편지를 남긴 사람 더 있을 텐데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홀로코스트로 죽음을 맞이하려는 사람이 남편과 아들한테 남긴 편지가 나중에 남편한테 전달됐다. 그 일은 정말 기적이 아닐까 싶다. 죽음을 앞두고 편지를 남기다니. 어딘가 아파서 죽을 걸 알면 편지를 쓸 것 같지만, 곧 죽임 당한다는 걸 알면 어려울 것 같다. 자신이 죽을 걸 알고 편지를 남긴 사람 더 있기도 하다. 남은 사람을 생각하고 쓴 편지였다. 그걸 받은 사람은 어떤 마음이었을까. 누군가를 죽이라는 편지도 있구나. 스탈린이나 히틀러가 쓴 편지도 담겼다. 마하트마 간디가 히틀러한테 편지를 썼던가 보다. 히틀러는 그 편지 보고 별 생각 안 했을 것 같다. 그 편지 버리지 않고 남겨두었다니 그건 좀 신기하구나. 히틀러가 그 편지 안 봤을 것 같은 생각도 든다. 어땠을지.


 어떤 글보다 편지는 솔직하게 쓰겠다. 일기를 더 솔직하게 쓸까. 일기는 자신한테 쓰는 편지고 편지는 다른 사람한테 쓰는 거다. 거기에 더 마음을 담을 것 같다. 그러지 않는 편지도 있겠다. T.S. 엘리엇이 조지 오웰한테 쓴 편지도 실렸다. 지금 조지 오웰 소설 《동물 농장》은 고전이 아닌가. T.S. 엘리엇은 그 소설을 책으로 낼 수 없다는 편지를 조지 오웰한테 썼다. 그런 일이 있었다니. 지금 잘 알려진 소설이어도 처음부터 환영받은 건 아닐지도 모를 일이다. 그걸 알아본 사람이 있어서 다행이다.


 지금은 많은 사람이 편지를 잘 쓰지 않지만, 아주 안 쓰는 건 아니다. 편지로 썼을 때 더 잘 전해지는 것도 있다. 앞으로 편지 쓰는 사람이 아주 사라지지는 않기를 바란다.




희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25-04-05 0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신의 필체를 인정 받기 어려우면 인장이라는 도장 형태의 봉인을 통해 펀지, 서찰을 전하기도 했죠. 저도 종이 펀지를 주고 받던 시절에는 글을 좀 잘 쓴다는 이유로 친구들에게 인정받는 시절이 짧게 있었어요. 이메일이 생긴 이후 전세계 여러 대륙 여러 나라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세상이 정말 달라졌구나 느끼기도 했구요. 하지만, 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세상은 별로 달라지지 않았음을 느껴요.

삐뚤빼뚤 글씨로 써내려간 연애 편지가 새삼 부러워지는 아침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