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문 고등학교 미스터리 사건 일지 블랙홀 청소년 문고 15
김동식 외 지음 / 블랙홀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문 고등학교는 없겠지. 귀문이라 하니 귀신이 가장 먼저 생각나기도 한다. 어떤 책에서 ‘귀문’이라는 말 본 것 같기도 하다. 좋은 뜻으로 쓰이지는 않았다. 어떤 땅에는 귀문이 있어서 터가 세다던가, 하는 말이었는데. 이 소설집에 나온 귀문 고등학교가 있는 곳도 다르지 않을 것 같다. 학교마다 몇 가지 알 수 없는 일이 있기도 한데, 이건 사건 일지구나. 별난 이름인 ‘귀문’이지만 이 학교는 꽤 오래된 학교다. 일제 강점기에 지은 학교로 일본이 좋게 여기지 않았다. 교장이 고문을 당하고 죽고 일본이 학교를 빼앗고 일본 교장이 올 때마다 안 좋은 일이 일어났다. 이런 건 무서운 일이구나. 일본 사람한테 그러려나. 한국에 지은 지 백년 넘은 학교 있겠지. 고등학교는 잘 모르겠지만. 대학은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에는 중, 고등학교 함께였던가.

 

 백년 된 학교라 해도 거기에 다니는 사람은 그리 다르지 않겠다. 여기 담긴 소설을 보니 실제 있었을 법한 일은 없어 보인다. 하나 정도는 있을 법할지도. 내가 고등학생을 잘 몰라서 이렇게 생각하는 건지도. 내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와 지금은 아주 다르다. 학교 폭력이 아주 심다하는 건 이런 소설로나마 알았다. 학교 폭력은 쉽게 사라지지 않겠지. 학교가 아주 달라지지 않는 한. 아니 학교만 달라진다고 해결될 일이 아닌가.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가 문제겠다. 내가 잘 모르는 건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학부모가 학교 일에 많이 간섭하지 않은 듯도 하다. 지금은 많이 다르지 않나 싶다. 헬리콥터 부모인가 하는 말도 있던데. 자기 자식이 귀하면 남의 자식도 귀할 텐데. 지금은 자기 자식만 생각하는 부모가 더 많은 듯하다. 첫번째 소설 <한 발의 총성>(김동식)은 학교 폭력을 없애보려는 이야기다. 지금은 괜찮아도 시간이 가면 다시 나타날 거다 한다. 학교 폭력을 막는 건 잠시일 뿐이겠다.

 

 난 학교 다닐 때 친구 별로 없었다. 사람을 잘 사귀지 못했다. 그건 지금도 다르지 않다. 누군가는 가만히 있어도 사람이 모이는데. 그런 사람 부럽구나. 난 그런 건 바라지 않고 한사람만 있어도 된다. 하지만 이건 나만 그럴 거다. 다른 사람은 여러 사람과 사귀고 싶겠지. 두번째 이야기 <사이코패스 애리>(조영주)는 친구 이야기다. 고등학생 때 제대로 사귀지 못한 친구 애리를 해환이 떠올린다. 해환이 애리를 좋아했지만, 애리가 자기 이야기를 잘 안 해서 이상하게 여겼다. 친구한테 자기 이야기 다 해야 할까. 고등학생 때는 그런 건가. 난 지금도 그렇고 고등학생 때도 내 이야기 별로 안 했다. 친구 집에도 거의 안 가고 친구도 우리 집에 오지 않았다. 고등학생 때는 학교에 있는 시간이 아주 길었구나. 그것도 있지만 그만큼 친한 친구가 없었던 거겠지. 사람은 지나고 나서야 아쉬워한다. 해환은 애리가 사라지고 다섯해 뒤에 애리와 한 약속을 지킨다. 애리는 해환한테 언젠가 함께 고흐를 만나러 가자고 했다. 애리는 먼저 그곳을 다녀갔을까.

 

 다음 이야기는 정명섭 소설 <또 하나의 가족>이다. 이걸 보면서는 청소년이 집을 나오면 그리 좋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가출팸은 실제 있을지도. 비슷한 처지면 서로 도우면 좋을 텐데 그런 사람은 얼마 없을 듯하다. 이렇게 생각하면 안 되려나. 소설이니 더 어둡게 쓴 것도 있을지도. 여기에서는 선생님이 자신한테 도움을 바란 학생을 돕지 못한 걸 아쉽게 여긴다. 이 이야기에서 주희는 끝내 깨어나지 못했는데 나중에 깨어나고 그때까지와는 다르게 살기를 바란다. 이렇게만 말하다니. 집에 있는 게 괴로운 아이도 있겠지. 부모가 늘 싸우고 자기한테 마음 써주지 않으면. 꼭 그런 아이만 집을 나오지는 않을 것 같다. 사춘기여서 반항하고 싶어서 집을 나오는 아이도 있지 않을까. 그럴 때 학교라도 괜찮으면 좋을 텐데, 학교는 아이보다 성적이나 마음 쓰겠지. 이런 거 어떻게 하면 좋아질지 나도 잘 모르겠다. 청소년 가까운 곳에 좋은 어른이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청소년이 이런저런 생각을 잘 하기를 바란다.

 

 귀문 고등학교라는 이름에 맞는 귀신이 나오는 이야기도 있다. 그걸 보는 사람은 귀문 고등학교에 온 선생인 최종혁이지만. 좋혁은 사람 손을 만지면 그 사람이 느끼는 죄책감을 알았다. 그런 힘이 있단다. <짝 없는 아이>(정해연)가 바로 귀신이다. 처음 봤을 때 난 그런 거 아닐까 했는데. 종혁은 죽은 아이가 외로울 거다 여겼다. 종혁은 그 아이 엄마한테 그만 아이를 저세상에 보내주라 한다. 마지막 이야기 <기호 3번 실종사건>(전건우)은 귀문 고등학교 미스터리부 아이가 사라진 회장 후보 3번인 김미래를 찾아내는 이야기다. 사라진 아이를 찾는 건 그렇다쳐도 김미래가 알고 있던 일은 실제 일어나기 어렵지 않을까. 여기가 미국도 아니고(약과 관계있는 일). 그것만 빼면 괜찮았다. 세상은 내가 생각하는 것과 많이 다를지도 모르겠다.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4-07 15: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표지만 봐도 섬뜻했는데
학교 미스터리물이네요
귀문의 鬼??

친구가 몰려드는 것도 꼭 좋지만은 않은,,,
일생의 좋은 친구 곁에 남아줄 친구 한두명 만 있어도
더할나위 없이 좋죠 ^0^

희선 2021-04-08 23:32   좋아요 1 | URL
귀문 귀는 scott 님이 쓰신 게 맞겠지요 귀신이 나오는 건 하나지만, 실제 고등학교에서 일어날 법한 일도 있더군요 학교 폭력은... 지난해에는 학교에 별로 안 가서 괜찮았을지, 아니 요새는 인터넷에서 따돌린다고 하더군요 스마트폰으로 하겠네요

여러 친구와 잘 지내면 좋겠지만 그것도 참 쉽지 않은 일이겠습니다 저는 그러지 못하는군요 한두 사람하고라도 오래 가면 좋을 텐데 학교 때 친구는 하나도 없어요


희선

리나 2021-06-09 19: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혹시 기호 3번 실종사건 줄거리 알려주실수 있나요?

희선 2021-06-09 23:50   좋아요 0 | URL
아니 그걸 저한테 물으시다니요 책을 보고 알아야 할 텐데... 사실은 책 본 지 오래돼서 줄거리 말하기 어렵네요 앞부분 조금 빼고 다시 봤습니다 회장 선거가 있는 날 김미래가 사라지고 김미래와 가까운 최미정이 김미래를 찾아달라고 미스터리부한테 부탁해요 여기에서는 미스터리부 마정민이 탐정이더군요 회장 후보 다른 두 사람에서 먼저 오민우를 만나고 김미래가 박현수 비밀을 알려줄 테니 하나로 통합하자고 했다는 말을 들어요 회장은 오민우한테 맡길 생각이었을지도... 오민우가 회장이 되면 학교를 위한 일을 하라고 하는 걸 보니... 박현수를 만났을 때는 별 말 못 들어요 박현수는 이사장 아들이고 이 학교에서 가장 위 계급이에요 거기에 견주어 김미래는 가장 밑이라고 합니다 그런 김미래가 박현수 비밀을 알다니, 그러면 누가 그걸 안 좋게 여길까요 이건 답까지 알려주는 건지... 대충 그렇습니다 고등학교에서 일어나는 일인데 어른 세계 같기도 하네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