릿터 Littor 2020.4.5 - 23호 릿터 Littor
릿터 편집부 지음 / 민음사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거의 잡지는 1/2, 3/4 이런 식으로 나오지 않던가. 내가 그런 걸 자주 본 건 아니지만. 요즘은 잡지 많이 사라졌구나. 거기에서 문학잡지는 더 어려울 것 같다. 이런 거 알면서 나도 잘 보지 않는구나. 전에는 <악스트> 봤지만. 릿터는 다른 데서 나온 문학잡지다. 책 크기가 같아선지 이걸 보니 악스트 볼 때가 떠오르기도 했다. 예전에 문학잡지는 철마다(넉달에 한번) 나왔는데 그런 건 이제 나오지 않던가(문학동네 아직 나오는구나). 문학잡지는 릿터 말고 악스트밖에 모르는데 다른 것도 있는지. 미스테리아. 이건 문학잡지 아니다 말하려나. 난 나누는 거 좋아하지 않는다. 나한테 이야기는 다 소설이다. 소설이 다 이야기인 건 아니기도 하구나. 지금은 예전과 다르게 문학잡지 만들지도 모르겠다. 나와는 다르게 그런 거 잘 챙겨보는 사람도 있겠다.

 

 잡지에는 말 그대로 이런저런 게 실린다. 그건 문학잡지도 다르지 않다. 어떤 게 실리냐고 물으면 바로 대답하기 어렵지만. 문학잡지마다 어떤 특색이 있을까. 그때그때 주제를 정하거나 그때 말하면 좋을 것을 여러 작가한테 쓰게 할 것 같다. 릿터는 그런 게 ‘이슈’다. 이번 스물세번째 릿터 이슈는 ‘탈/진실 문학사’다. 어쩐지 어려울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나혜석 이야기가 기억에 남았다. 염상섭 하면 《삼대》와 <표본실의 청개구리>가 떠오르는데, 염상섭은 나혜석과 나혜석 남편과 둘레 사람을 모델로 소설을 쓰기도 했다. 그게 좋은 이야기냐 하면 그렇지 않다. 염상섭은 신여성을 그리 좋게 생각하지 않았다. 나혜석 이야기도 실제와는 다르게 쓴 것 같다. 소설이 허구라 해도 거기에 참된 것을 써야 할 텐데. 소설가라고 해서 자기 주관이 없지는 않겠지. 그래도 다른 사람보다는 대상과 거리를 두어야 할 것 같다. 시대가 그래서 거기에 갇힌 생각밖에 못했을지도 모르겠다.

 

 이슈가 나오기 전에 짧은 소설 세편이 나온다. 소설 세편에서는 참된 것에서벗어난 일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소설 속에서 그런 일이 일어난다. 짧은 소설은 이슈를 생각하고 쓴 걸까. <구글 신은 알고 있다>(윤고은)에서 소설가 윤은 구글에서 외설작가로 분류됐다. 그런 글을 쓰지 않았는데도 말이다. 구글에서 실제 그런 일 일어날까. <어떤 소설은 이렇게 시작되기도 한다>(김병운>에서 ‘나’는 예전에는 말하지 않은 것을 말하려 한다. 그건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거다. ‘나’는 소설가인데 자신과 다른 소설을 썼다. 소설이라고 다 자기 이야기를 써야 하는 건 아닐 텐데. 그걸 안 쓴다고 자신이 거짓말 하는 것처럼 느끼다니. <지금 날씨>(김지연)에서 한솔은 친구 미진한테 자신이 하지 않는 트위터 계정에서 자신을 봤다는 말을 듣는다. 미진뿐 아니라 다른 사람도 그 계정을 한솔로 여겼다. 한솔은 자신이 아니다 말했는데, 그 계정을 찾아보고 그 사람이 자신과 비슷하다는 걸 알게 된다. 그걸 보니 그 사람은 한솔이 되고 싶은 모습이었다. 그래서 따라한다. 그런 게 오래 갈 리 없겠지. 시간이 흐르고 그 계정이 한솔이 아닌 게 드러난다. 한솔은 딱히 거짓말 하지 않았는데, 다른 사람은 한솔이 거짓말 했다고 여긴 것 같다. 자기 뜻과 다르게 거짓말 한 것 같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지.

 

 

 

 

 

 

 

 

 책을 읽고 쓴 글을 보면 나도 잘 쓰고 싶다고 생각한다. 몇해째 써도 그리 달라지지 않는구나. 이런 말보다 글을 보니 어떤 책 보고 싶다고 말하는 게 나을지도. 인터넷 책방에서 제목 본 《잘해봐야 시체가 되겠지만》(케이틀린 도티)은 장의사 일을 하는 사람이 쓴 거였다. 처음 책 제목 봤을 때 내가 어떤 생각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먼저 죽음을 생각했겠다. 글은 의사나 그런 것과 비슷한 일을 하는 사람이 썼다고 생각한 것 같다. 의사도 자주 죽음을 만나겠지만, 장의사는 더하겠다. 그런 일을 처음 했을 때는 힘들었을지도. 사람은 누구나 나면 죽음으로 나아간다. 그걸 기억하고 사는 사람은 많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삶과 죽음은 다르지 않지만 그걸 바로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 같다. 나도 잘 살다 죽어야지 생각하지만, 그런 생각은 가끔만 한다. 죽음을 말하는 책이라 해도 거기에는 삶이 있을 거다.

 

 단편 소설 두편은 페미니즘 이야기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김혜지 소설 <나쁜 피>에서 나쁜 피를 가진 건 누굴까. 보윤 남편일지 남편 아이를 낳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 보윤일지. 이렇게 말하고 보니 남편일 것 같다. 남편 피를 이은 아이여서 보윤은 낳고 싶지 않았던 거겠지. 그건 나쁜 피가 아니고 싫은 피라 해야 할 것 같다. 보윤이 마지막에 밝힌 말을 보면 보윤이 나쁜 피를 가진 것처럼 보인다. 여기에는 단편소설과 시 산문도 실렸다. 김신회가 쓴 <뭐라도 쓴다>를 보니 나도 뭐든 써야지 했다. 그렇게 생각하고 여기까지 썼다. 김신회는 초등학교 6학년 때 글쓰기 숙제를 하고 선생님한테 ‘넌 작가가 될 거다’는 말을 들었다 한다. 그런 일 부럽구나. 김신회는 선생님 말처럼 작가가 됐으니 말이다. 선생님 말이 김신회가 힘들 때 힘이 되었다. 그런 게 없다 해도 자신이 자신을 인정해줘도 괜찮다. 나도 잘 못하는 건데. 가끔은 내가 나를 좋게 생각해야겠다.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0-05-26 15:4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재작년인가? 운이 좋아서 한 1년쯤 무료 구독을 했었죠.
좋더라구요. 근데 무료 구독 만료가 되니 영 안 보게 되더군요.
제가 원래 잡지를 잘 안 보는 스타일이라.
잡지도 오래 묵혔다 다시 보면 좋을 것 같더라구요.
잡지만큼 트렌드를 잘 반영하는 것도 없을테니.
잡지 읽으면서 책도 열심히 읽기는 어려운 것 같더라구요.ㅋ

희선 2020-05-27 02:02   좋아요 2 | URL
그 말 예전에 본 것 같기도 하네요 책이 보이면 보기도 하겠지만 일부러 보기 어려운 게 잡지가 아닌가 싶습니다 예전에 저는 PAPER 사면 조금밖에 못 봤어요 어쩌다 한번 다 보고... 그래도 악스트는 볼 때 거의 다 봤네요 뒤에 장편 소설은 끊어지는 느낌이 있어서 보다 말다 했지만... 이제는 안 보는군요 어쩐지 미안하네요 값 올랐다고 안 보다니... 아직도 나오는 거 보니 다행이기도 합니다 잡지는 그때 일이나 책을 말하기도 하지만, 시간이 흐른 다음에 보면 예전에 이런 걸 말했구나 하겠습니다


희선

페크pek0501 2020-05-28 00: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꾸준히 볼 수 있는 문학 잡지가 있었으면 해서 한때 찾아서 봤는데 실패했어요.
딱 맘에 드는 게 없더라고요. 너무 두꺼운 것도 싫고요. 그중 녹색 평론이 괜찮았어요.
부지런히 읽지 못해 쭉 이어서 보긴 어렵고 해서 여러 권에서 핵심적인 내용만 모아서
한 권으로 만든 녹색 평론이 있길래 그걸 사 보고 그랬어요.

희선 2020-05-28 01:23   좋아요 0 | URL
문학 잡지에는 주제(이건 이슈더군요)가 있을 테니 그걸 보고 관심 가는 걸 말하면 보는 것도 괜찮겠습니다 이런 생각이 지금 들었지만 제가 그걸 찾아보지는 않는군요 우연히 주제나 이슈를 보게 되면 한번 볼까 하는 마음이 들지도... 문학 잡지 오래 보기 어렵군요 녹색 평론은 나중에 핵심을 모아서 책을 내기도 하는군요 그런 것도 괜찮겠습니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