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의 기억법 - 영원한 것은 없지만, 오래 간직하는 방법은 있다.
김규형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일 사진을 찍는다, 휴대전화 카메라로 매일... 기록으로서의 사진이 어느새 일상이 되었다. 이제는 찍지 않는 것이 이상할 정도다. 취미 카테고리에 사진을 처음 넣었던 2006년이 그 시작이었다면 2012년 갤럭시 노트 2는 사진이 생활로 들어오는 시작점이었다.


  아이폰 3GS를 쓸 때까지만 해도 그렇게 휴대전화로 사진을 찍지 않았다. 노트 2부터는 휴대전화 카메라도 나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며 찍기 시작했다. 그 후 작년까지 세 번의 기변을 거쳐 현재의 노트 20을 사용하며 매일매일 사진을 찍는 중이다.


  이 책은 제목에 끌렸다. 사진에는 최근 특별히 관심을 갖지 않은 시기라 낯선 저자였다. 띠지에 쓰인 포토그래퍼 활동 매체와 '일상 기록법'이라는 수식에 끌렸다. 기록으로 사진을 찍고 있는 나와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책장을 펼쳤다.


  첫 글부터 나와는 참 다른 사람임을 알게 된다(저자와 비슷한 대학 동기도 떠오르기도 한다). 스마트폰이 없던 시기(2000년 대 중반) 네이버 지도만 가지고 처음 가보는 동네의 목적지를 찾아다니던 때가 생각났다. 저자가 말한 지역에서 일을 하던 시절도 있었다. 방향치에 공감은 많이 할 수 없었으나 다름을 인정하고 있었다.


  잘못 든 길에서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은 낯설 지역을 처음 찾아갈 때 시간 여유가 있을 때 종종 이리저리 가보며 새로운 동네를 구경하던 나를 떠올리기도 했다.


  글도 전반적으로 길지 않은 편이라 출퇴근 시간 지하철에서 조금씩 읽는 재미도 있었다. 저자에게 먼저 찾아온 이별도 만난다. 나이가 들어가며 언제고 찾아올 부모님과의 이별. 생각은 하고 싶지 않으나 주위에서도 겪게 되는 이별을 보며 인식하게 되는 나이, 공감하지 않고 싶은 글에 짠해진다.


  저자가 말하는 이미 알고 있는 방법이 저자의 기억법이자 표현 방식일까? 글 속에서 저자와 나의 비슷한 생활 습관을 발견하며 반가움이 생기는 것은 '사진'과 '글'이라는 공감대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책을 읽으며 다시금 내 기록을 떠올린다. 에필로그의 제목 '그래서 순간을 기록합니다'가 여운을 준다. 내 기록도 저자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며 앞으로도 꾸준히 사진으로 담고 글로 남겨갈 것을 기약하며 책을 덮는다. 



*이 리뷰는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