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쓰다 - 차별화된 기획을 위한 편집자들의 책 관찰법
박보영.김효선 지음 / 예미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블로거라 남들과 다르게 책을 접한다고 생각했다. 오프라인 서점에서 마음에 드는 책을 발견하면 그 책의 성공 유무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예상은 적중했다. 책덕후에 문예 창작 전공, 버킷리스트에 내 책을 내는 것은 쉽게 지워지지 않았다. 그래도 막연하게 어떤 책을 쓸지 홀로 고민하기 보다 전문가들의 조언을 듣고자 이 책을 읽게 됐다.


  편집자들이 낸 책이라 그런지 판형부터가 마음에 드는 사이즈다.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판형으로 휴대하며 읽기 딱 좋은 사이즈다. 표지의 디자인은 책을 떠올리게 하는 선으로 되어 있다. 프로들의 책이라 저자들이 하고자 하는 책의 이야기를 표지에서부터 제대로 보여준다.


  책은 총 3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책은 프롤로그가 인상적이다. 왜 편집자가 필요하고, 이 책에서 앞으로 어떤 내용을 볼 수 있게 될지를 세 개의 글을 통해 맛보기로 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인 중에 출판사 편집자가 있지만 물어보기 애매한 내용들을 책에서 접할 수 있다.


  챕터 1 '책을 보다' 편집자들은 어떻게 책을 관찰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일정 부분 내가 보는 것과 비슷하면서도 다름을 알게 된다. 독자의 입장이라 생각했지만 편집자의 시선과 다른 마케터의 시선이 많이 반영되었던 것 같다. 이 책의 세부 내용을 각 글들을 읽으며 읽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저자들의 글에 실습 대상이 되는 책이라고 할까? 가까이 있는 책을 꺼낼 필요 없이 이 책을 훑어보는 것으로도 챕터 1 내용들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챕터 2 '책을 쓰다'에서는 저자가 되기 위해 쓰지만 뭘 써야 할지 모르는 이들에게 편집자의 입장에서 '책쓰기 기술'을 제시한다.

  내가 생각해도 책을 읽지 않는 시대인데 여전히 수많은 책이 출간된다. 그나마 많이 읽는 편이라고 해도 한정되게 읽고 싶은 책만 읽는 것도 버거울 정도다. 그래도 책을 읽어야 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자신의 글을 읽어주길 바라면서 다른 이들의 글은 얼마나 보는지 생각을 해봐야 할 것이다. 자신의 글을 아무도 알아봐 주지 못한다고 하지 말고 정말 이 책이라도 읽으며 준비를 하면 그나마 조금은 나아질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챕터 3 '알아두면 유용한 책읽기 기술'. 좋은 독자를 양성하기 위한 내용이라 하겠다. 좋은 독자가 좋은 저자로 이어지기에 분명 꼭 필요한 내용이다. 또, 책을 읽을 독자가 있어야 저자나 편집자가 있을 수 있음을 알기에 준비한 구성이라 여겨진다. 책을 읽는 것에서부터 쓰기 위한 준비를 많지 않은 분량이지만 알차게 담고 있다.


  두껍지 않은 분량에 휴대하기 좋은 사이즈의 책. 베테랑 편집자들이 작정하고 준비한 책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동안 가볍게 지나쳤을 책을 보다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책 쓰기를 어떻게 준비하는지에 대해서도 편집자들의 노하우를 통해 알 수 있었기에 맨땅의 헤딩 횟수를 줄여줄 것 같다.


  책쓰기를 준비하는 초보 저자들과 이제 시작하는 초보 편집자들이 많은 도움을 받을 내용의 책이라 전하며 리뷰를 줄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