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 20세기 초부터 영미권의 주류로 자리 잡은 철학 연구 스타일이다. 형식 논리학과 언어 분석을 중심으로 태동했으며 개념에 대한 명료한 분석과 합리적 논증에 의한 증명 등을 지향한다.
메타(meta)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것의 범위나 경계를 초월하거나 아우르는 것을 뜻한다. 철학에서 사용하는 성찰적이고 반성적인 사유의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이것은 아름다운가’가 아닌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를 질문하는 것이다.
미적인 것(the aesthetics) 미학이 다루는 핵심적인 주제 중 하나로 무관심성의 개념과 함께 등장했다. 대상의 감각적 차원에 대한 인간의 독특한 반응과 관련된 영역으로, 전형적인 예는 ‘아름다움’이다. 참과 거짓, 옳고 그름의 판단과 구별되는 것으로서의 ‘미적’ 판단, 실용적 태도와 구분되는 ‘미적’ 태도, 대상을 있는 그대로 경험할 때의 ‘미적’ 경험 등의 개념으로 활용된다. 흔히 예술작품이 갖는 비실용적인 고유한 가치를 ‘미적’ 가치로 칭한다.
예술적 가치 일상적 용법이 아닌 전문 용어로서 예술적 가치란 작품을 작품으로 대할 때 발견할 수 있는 가치를 의미한다. 특히 예술품의 순수한 형식적 가치라고 할 미적 가치와 구별되는 예술 고유의 가치를 지칭하기 위해 동원된다. 당연히 예술이 가질 수 있는 여러 도구적인 가치와는 구별된다. 이를 인정하지 않는 학자도 있다.
재현(representation) 실제 대상이 아닌, 그것을 대신하는 것이 나타남을 의미한다. 텍스트나 기호로도 가능하므로 대상과 닮은 모사된 그림을 가리킬 때는 ‘회화적 재현’이라는 말을 써 구분하기도 한다. 회화적 재현은 모방과 유사하고 추상과 반대된다. 사유를 위해 머릿속에 떠오른 이미지나 기호도 같은 성격을 지니며 이때는 우리말로 ‘표상’이라 한다.
타입(type)과 토큰(token) 타입은 ‘유형’이며 토큰은 그 유형이 구체적인 개별자로 예시된 ‘사례’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태극기’는 ‘성조기’와 구별되는 하나의 유형을 가리키는데, 거기에는 크기와 재질이 다른 수많은 실제 태극기의 토큰들이 포함되어 있다.
명제적/비명제적 지식 ‘한국의 수도는 서울이다’와 같은 참인 명제를 정당한 이유에 근거해서 믿고 있을 때, 우리는 그 명제의 내용을 안다고 한다. 이것이 명제적 지식이다. 반면 ‘자전거를 탈 줄 안다’거나 ‘실연의 아픔을 안다’와 같이 언어로 표현될 수는 없지만 ‘안다’고 할 수 있는 것들을 비명제적 지식이라 부를 수 있다.
패러독스(paradox) 역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상반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 진술을 말한다. 수사적 표현으로서의 역설이 아니라면 합리적인 해결책이 요청되며, 그 과정에서 문제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다.
음식을 재료와 조리법으로 설명하듯이, 학문은 그것이 관장하는 문제의 영역과 그 문제를 다루는 방법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틀로 본다면 미학은 ‘미와 예술이라는 문제를 철학이라는 방법으로 다루는 학문’이라고 하겠다.
여기서 다루려는 것은 위작, 포르노그래피, 농담(그중에서도 도덕적 문제가 있는 질 나쁜 농담), 그리고 괴물이 등장하는 영화로 대표되는 B급 장르의 대중예술인 공포물이다. 이런 것들에 대해 내가 공부해온 철학의 방식으로 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해보고자 한다.
철학이 무엇인지에 관해 구전되어오는 농담 중에 "철학이란 달 없는 그믐밤에 연탄 광에 들어가 검은 고양이를 바라보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이 농담인 이유는 이어지는 비교들 때문일 텐데, 그 내용에 따르면 "형이상학이란 달 없는 그믐밤에 연탄 광에 들어가 거기 없는 검은 고양이를 바라보는 것"이고, "신학이란 달 없는 그믐밤에 연탄 광에 들어가 거기 없는 검은 고양이를 바라보다가 ‘찾았다!’를 외치는 것"이라고 한다.
불온한 것들의 미학 : 포르노그래피에서 공포 영화까지, 예술 바깥에서의 도발적 사유 | 이해완 저
1) 우리는 위작 문제의 출발점으로, 지각만으로는 진품과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는 똑같아 보이는 위작이 있다고 가정해볼 수 있다. 이는 논의의 출발을 위한 가정이다.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2) 그런데 우리가 이 두 작품을 통해 같은 지각을 경험한다면 두 작품의 예술적 가치에는 우열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작품의 가치란 보는 이에게 어떤 경험을 하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3) 하지만 우리가 가진 또 다른 상식에 따르면 위작은 진품보다 예술적으로 열등한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마땅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