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왜 꿈을 꿀까? 왜 인생의 3분의 1씩이나 잠을 자며 보내도록 만들어졌을까?

도무지 내 머릿속에서 나온 것 같지 않은 신비롭고 이상한 장면들, 자꾸만 꿈에 나오는 그 사람, 분명히 가본 적 없는 장소들. 어젯밤 꿈속에서 그토록 생생했던 일들이 정말 내 무의식이 만들어낸 환상에 불과할까?

나는 누구나 한 번쯤 스치듯 가져봤을 질문 더미를 애착 인형처럼 끌어안고 지냈다.

인류는 궁금한 것을 참지 못한 덕분에 놀랍도록 많은 것을 알아냈으나, 그것이 우리의 가려운 부분을 속 시원히 긁어낼 만큼 충분한 양일 리 없다.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호기심은 집요해지고 물음은 복잡해지며 대답은 간결하게 삶을 관통하길 바라게 될 뿐이다.

이곳 사람들은 모두 달러구트의 혈통과 그의 먼 조상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 가문의 존재야말로 이 도시의 기원이기도 했다.

"방금 팬티만 입고 자는 사람이 돌아다니는 걸 본 것 같아." 아쌈이 밤색 코를 씰룩거렸다.

"셋째 제자여, 늘 신중하고 생각이 깊은 너에게 묻겠다. 시간을 셋으로 나누어 다스린다면 너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중 어느 조각을 가져가겠느냐?"

셋째는 잠시 고민하더니 첫째와 둘째가 선택하고 남은 것을 가져가겠노라 말했습니다.

"제가 사랑한 시간은 모두가 잠든 시간입니다. 잠들어 있는 동안에는 과거에 대한 미련도 없고, 미래에 대한 불안도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행복했던 과거를 추억하는 사람이 굳이 잠들었던 시간까지 포함하여 떠올리지 않고, 거창한 미래를 기약하는 사람이 잠들 시간을 고대하지 않으며, 하물며 잠들어 있는 사람이 자신의 현재가 깊이 잠들어있음을 채 깨닫지 못하는데, 부족한 제가 어찌 이 딱한 시간을 다스려보겠다고 나설 수 있겠습니까?"

"그들을 이해할 필요는 없다. 잘 모르는 편이 오히려 낫다. 그들 스스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이름이라도 붙여주십시오. 기적이라고 불러야 합니까? 아니면 허상입니까?" 셋째는 간절하게 가르침을 구했습니다.

"‘꿈’이라고 부르거라. 그들은 이제 너로 하여금 매일 밤 꿈을 꾸게 될 것이다."

실제로 매일 밤 꿈을 꾸는 우리들 모두, 먼 옛날 세 번째 제자가 세운 ‘꿈 백화점’, 그리고 대대로 그의 가게를 물려받은 후손들과 지금의 달러구트까지. 이 모든 것들이 살아있는 증거였던 것이다.

"오, 어서 들어오게."

"실례합니다."

"지원서류가 아주 인상 깊었거든. 특히 ‘아무리 좋아봐야 꿈은 꿈일 뿐이다.’라고 쓴 구절이 압권이더군."

"페니 양이 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 생각을 자유롭게 듣고 싶군."

"하지만, 현실에서 겪지 못할 일들을 체험한다고 하더라도 꿈은 절대 현실이 될 수 없어요!"

"저는 아무리 좋은 꿈을 꾼들, 깨어나면 그뿐이라고 생각해요."
"어떤 이유에서인가?"

"특별한 뜻은 없어요. 손님들은 꿈을 꾸고 나면 대부분을 잊어버린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말 그대로 꿈은 꿈일 뿐이고 깨어나면 그뿐이라고 말씀드린 거죠.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현실에 방해가 되지 않는 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그런 과하지 않은 점이 좋아요."

저마다 잠든 시간을 이용해서 어제를 정리하고 내일은 준비할 수 있게 만들어지는 거예요. 그렇게 생각하면 잠든 시간도 더는 쓸모없는 시간이 아니게 되죠.

"제가 생각하기에… 잠, 그리고 꿈은… 숨 가쁘게 이어지는 직선 같은 삶에, 신께서 공들여 그려 넣은 쉼표인 것 같아요!"

신발을 신지 않고 다니는 것은 별로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잠든 손님들이 대부분 신발을 벗고 오기 때문에 길거리의 바닥도 실내처럼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이 당연했고, 언제부턴가 주민들도 잠깐 외출할 때는 양말만 신고 다니기 시작했다.

"‘몰디브에서 3박 4일 휴가 보내는 꿈’은 들어오자마자 다 팔렸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