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쓰타 아주머니의 버릇이다. 언제나 자신이 묻고 자신이 대답해 버린다.

―다에의 부탁을 내가 왜 들어주지 않는지, 너는 알지?

―네, 압니다.

그래도 오쓰타가 붙어 있으면 다에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어엿한 안주인은 될 수 없을 게야.

오쓰타 아주머니는 언제나 기운이 넘치고 아침에도 잘 일어나며 밥을 많이 먹고 힘이 몹시 세다.

다카다야에 있었을 때 시치베에 할아버지는 술에 취하면 웃으면서, 우연히 오쓰타와 씨름꾼이 팔씨름을 했는데 세 번 중에 두 번을 이겼다는 얘기를 하곤 했다.

엄마, 아줌마, 아까 이상한 꿈을 꿨어요. 모르는 여자아이가 나한테 메롱을 했어요.

삼도천 강가에서 모닥불을 피운다는 이야기는 시치베에 할아버지도 한 적이 없었는데.

"너 같은 경우가 가끔 있단다. 죽을 뻔해서―혼이 몸에서 빠져나와 이 근처까지 둥실둥실 오고 마는 거야. 신기한 일이지."

"오린 너도 이렇게 몸을 잘 덥혀 두렴. 몸 구석구석까지 따뜻해지면 원래 있던 곳으로 돌아가 있을 테니까."

왠지 갑자기 허둥거리던 할아버지가 크게 손을 흔들었다. 엉덩이를 뭉개다시피 하며 모닥불에서 조금 떨어진다.

불꽃이 흔들거리고 점점 색깔이 선명해지면서, 한편으로는 가장자리가 흐릿해져 가고 몸은 따끈따끈―머리는 흔들흔들―시야가 흐려지고―.

어떻게 알았느냐고 물었더니 다쿠안 씨는 웃으면서 향기가 나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오린은 몹시 감탄해서 다쿠안 씨를 존경하게 되었다.

시치베에는 이렇게 불평을 늘어놓았다. 가쿠스케와 다이치로 사이를 알고 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심술궂은 농담이다. 다이치로는 웃으며 흘려 넘기고, 쓰쓰야 일가를 위해 최상의 요리를 내놓는 것이 후네야의 출발에 가장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요릿집은 숙수의 실력으로 경영한다. 숙수가 바로 요릿집의 꽃이며 중심이다. 하지만 꽃도 중심도 손님에게 알려지지 않고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 시치베에의 마음도 알지만 다이치로는 후네야가 에도 전체에 널리 알려지는 날이 올 때까지는, 아니, 그런 때가 빨리 오도록 하기 위해 더더욱, 지금은 여태까지 쌓아 온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때 부엌 입구 근처에서 인기척을 느꼈다. 누군가가 서 있다. 그림자만 보이고 얼굴은 보이지 않지만 머리를 올린 모양으로는 여자 같다. 순간적으로 어머니인가 생각했다.

그때 눈앞에서 누군가 박수를 딱 친 것처럼 퍼뜩 놀라며 떠올렸다. 그렇다, 메롱을 하던 아이. 어디에 사는지 알 수 없는 여자아이. 그 아이가 아닐까?

"흥―이다" 하고 큰 목소리가 났다.

오린은 놀라서 목소리가 들려온 쪽으로 고개를 돌렸다.

"메롱이다!"

도코노마
다다미방에서 정면 상좌에 바닥을 한 층 높게 만들어 족자나 꽃병 등을 장식하는 곳

그때 오린의 머릿속에도 촛불이 켜졌다. 귀신?

"아줌마, 여기 귀신이 나와요?" 오린은 오쓰타의 가슴에 달려들듯이 물었다. "여기, 귀신이 있는 집이에요? 아줌마도 귀신을 봤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