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쇼신쿤東照神君.
도쿠카와 이에야스를 신격화한 이름

주겐
무가에 고용되어 잡무에 종사하는 사람. 무사는 봉록을 받을 때 업무 수당에 상당하는 쌀을 따로 받는데, 이 수당을 받는 무사는 주겐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했다

기도
마치, 다리맡 등 사람들이 많이 출입하는 구역의 출입구에서 검문소 역할을 하는 곳. 기도를 담당하는 문지기는 통금 시간에 맞춰 출입문을 닫고 종을 치는 등 맡고 있는 구역을 책임졌다

초메
마치가 골목으로 구획되어 있을 경우 각 블록을 초메라 일컫는다

"이녁은 틀림없는 사람이니까."

정말로 괴한이 찾아왔었구나, 하고 생각했다.

다만 그자는 다스케한테 찾아온 게 아니었다. 오쓰유한테 찾아왔던 것이다. 오쓰유의 얼굴, 오쓰유의 목소리, 오쓰유의 손을 빌려 칼을 움켜쥐고.

이즈쓰 헤이시로는 미신에 혹하는 사람이 아니다.

어릴 적부터 그랬다. 아무 생각 없이 문지방에 올라섰다가 어머니에게 야단을 맞은 적이 많았다. 문지방을 밟으면 그 집안 가장한테 재앙이 내린다는 미신이 있기 때문이다.

셋타
대나무 껍질로 엮어 가죽 밑창을 댄 신발

도신촌
마치부교쇼에서 일하는 중하급 무사들이 모여 살던 마을

무사들은 동백꽃을 죽음을 암시하는 불길한 꽃으로 여긴다는 설이 있다. 꽃이 질 때 ‘툭’ 소리를 내며 떨어지는데, 그것이 무사의 목이 떨어지는 것을 연상케 하기 때문이다.

"저놈의 까마귀, 어제도 그제도 저 자리에 있었는데."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이 꾀 많은 새는 이유야 어찌되었든 인간들이 자기들을 싫어한다는 것을 이해했는지, 이른 아침이나 해질 무렵이 아니면 사람 눈에 잘 띄는 낮은 곳에서 날개를 쉬거나 먹이를 쪼거나 하지는 않게 되었다.

미나토야
야屋는 가게, 또는 그 가게의 주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미나토야란 미나토 상회, 또는 상회의 주인을 가리키는 호칭. 상인들은 이 호칭을 성처럼 사용했기 때문에 상인의 집안 자체를 가리키는 호칭이 되기도 했다

월번
관리인은 마치 자치 조직에 소속되어, 월 단위로 돌아가면서 지신반에서 자치 업무를 담당해야 했다

이즈쓰 헤이시로는 아내는 있지만 자식이 없다. 결혼하고 이십 년이 지났지만 여직 아이가 생기지 않았다. 마흔 줄도 중반을 넘어서면서는 거의 체념하다시피 했다.

세상에는 아이를 좋아하지 않는데도 아이들이 따르는 남자가 가끔 있는데, 이런 사람은 늘 하는 짓이 어린애라는 것이다.

아이들은 또래를 발견하면 스스럼없이 다가서게 마련이라고 한다.

"꽃구경할 때 나를 그렇게 데리고 가 줬으면 얼마나 좋아."

다스키
일할 때 옷소매를 걷어 올려 고정시키기 위해 어깨에 묶는 끈

미아석
대형 화재나 축제 때문에 미아가 많이 발생했던 에도에서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신사나 절, 다리 초입 따위에 있는 돌에 미아를 찾는다는 내용의 종이를 붙였다

조메이지 벚꽃떡
얇게편 밀가루 반죽에 팥소를 넣고 말아서 찐 후, 소금에 절인 벚나무 이파리로 감싼 떡. 조메이지 앞에서 팔았으며, 스미다 강둑의 벚꽃 구경을 하면서 먹는 명물이다

마키바오리
하급 무사인 도신은 근무중 하오리를 입을 수 없었으며, 하오리를 입을 때는 밑단을 밑에서 위쪽으로 허리띠에 구겨 넣어서 짧게 입어야 했다. 이렇게 허리띠 속에 하오리 밑단을 구겨 넣은 것을 마키바오리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