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는 1957년에 쓴 자신의 저서 『핵무기와 국제정치Nuclear weapon and foreign policy』에서 제한적인 핵전쟁은 당연히 치러질 수 있으니 미국은 여기에 대비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이런 주장의 절정이 1962년 발간된 『열핵전쟁On thermonuclear war』이라는 핵 전략가 허만 칸Herman Kahn의 책이다.
핵 전략을 잘 짜서 전쟁할 경우에 소련은 거의 궤멸할 정도의 피해를 보지만, 미국은 불과(!) 6000만 명만이 사망할 뿐이기 때문이다.
허만 칸의 주장의 요지는 핵전쟁을 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핵전쟁도 할 만한 전쟁이라고 주장한 허만 칸의 책은 미국 최고의 학술 출판사인 프린스턴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당시 핵전략 중 하나로 상호확증파괴전략 MAD,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이라는 것이 있었다. 이 전략은 쉽게 말해 끝장을 보자는 것이으니, 전략의 이름도 그에 걸맞은 ‘매드’였다.
당시에는 이러한 상황을 미국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치킨게임에 비유했다. 치킨게임이란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자동차가 좁은 길에서 서로 달려오다 먼저 핸들을 돌려 돌진하는 차를 피하는 사람이 지는 게임이다.
무서워 핸들을 돌리면 겁쟁이라고 해서 치킨게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런데 당시 미국과 소련의 핵경쟁이 이 비슷한 상황이었던 것이다.
한 상황이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에서 묘사된다. 영화 중반 이후에나 등장하는 스트레인지러브 박사가 공포감을 심어주는 것이야말로 핵전쟁을 억제하는 전략이라는 이야기를 하는 장면이 있다.
소련의 최후 병기 둠스데이 머신은 원자폭탄이 터지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만들어놓은 것이다. 그래서 왜 그런 자동화 기능을 만들었는지를 묻는 대통령에게 스트레인지러브 박사는 대답한다. 취소할 수 없는 게 둠스데이 머신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고 역할인 바, 적이 핵미사일 한 개를 발사했는데 우리는 핵미사일 1만 개를 발사한다는 결정은 인간이 내리기에는 너무나 끔찍한 결정이어서 이를 자동화했다는 것이다. 아무튼 이 기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인간이 기계의 결정을 되돌릴 수 없다는 데 있다. 영화에서는 이렇게 상대를 위협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장치들이 서로 간에 상승작용을 이루면서 인류를 파멸로 몰고 간다.
결국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는 당시 냉전의 두 주체인 미국과 소련에 대한 풍자나 비판을 넘어서 핵무기로 대표되는 현대 과학기술문명과 이를 적절하게 통제할 수 없는 인류에 대한 비판이 아닐 수 없다. 당시까지 진보의 상징이었던 과학과 그것을 이룩한 과학자에 대한 맹신을 통렬하게 비판한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유명한 여성 과학자는 마리 퀴리Marie Curie이다. 1867년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소녀 마리아 스클로도프스카Maria Skłodowska는 역사상 가장 유명한 여성 과학자가 되었다. 그녀는 1903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함으로써 노벨상을 수상한 첫 번째 여성이 됐고, 1911년에 단독 노벨 화학상을 수상함으로써 노벨상을 두 번 수상한 최초의 과학자라는 기록을 갖고 있다. 게다가 남녀를 통틀어 서로 다른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두 번 수상한 사람은 지금까지도 마리 퀴리가 유일하다.
그녀는 또한 파리 소르본대학교 최초의 여성 교수가 되었고, 1995년에는 프랑스의 국가적 영웅이 안장되는 파리의 팡테옹에 묻히는 첫 번째 여성이 되었다. 그녀의 연구는 방사능 물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열었으며, 이런 업적 때문에 방사능 단위에 퀴리라는 이름이, 화학 원소 퀴륨에 역시 퀴리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과학자는 남성이건 여성이건, 머리(영혼, 이성)만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몸을 가진 존재라는 것을!
과학자는 이성과 감정, 그리고 욕망을 가진 인간이다. 너무나 당연하게. 그래서 과학은 인간의, 인간에 의한, 인간을 위한 결과물이다.
사이비과학의오래된 역사 세상을 보는 극단의 시선, 이분법
우리는 근대 이후 민주주의의 발전을 목도하면서 차이와 다양성의 가치가 세상의 발전과 민주주의를 낳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았다. 최근에는 창의성의 원천으로 누구나가 차이와 다양성을 꼽고 있다. 이렇게 차이는 소중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