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소만이 아니라 역사에도 ‘급소’가 있다. 급소를 제대로 가격하면 아무리 거대한 물소라도 한 방에 쓰러뜨릴 수 있듯 ‘역사의 급소’를 통찰하면 방대하고 복잡한 세계사를 한번에 정리할 수 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어떻게 거대한 제국 페르시아를 그토록 빨리 정복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그의 군대는 왜 인더스강 유역에서 인도 중심부를 향해 동쪽으로 더 진군하지 않고 기수를 돌렸을까?’ 흥미롭게도 답은 ‘교통망’에 있었다.

아케메네스왕조 페르시아가 공들여 정비한 교역로 덕분에 거대한 제국을 손쉽게 정복했으며, 인더스강 너머의 지역은 그때까지 제대로 개척되지 않았기에 더 나아가지 못했다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라는 말보다 몇백 년 전 앞서 "모든 길은 페르세폴리스로 통한다"라는 말이 널리 회자될 정도로 찬란한 문명을 꽃피우고 위대한 교통망을 구축해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던 고대 페르시아제국에게는 그 대단한 교통망이 역설적으로 자신의 숨통을 끊는 무시무시한 부메랑이었던 셈이다.

광대한 영토를 다스리는 데 필요한 체제와 지식, 경험 등이 마케도니아로 대표되는 당대 그리스 세계에 결정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다.

아시아에 내다 파는 강력하고도 효율적인 시스템과 메커니즘을 구축해 최강대국이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전 세계에 뿌리내리기 시작한 갈등과 불평등 구조를 심화시켰다.

‘전국시대에 일본이 유럽의 군사혁명을 단숨에 따라잡을 수 있었던 비결은 ‘예수회’의 무기 판매 덕이었다는데, 과연 사실일까?’ 충격적이게도 사실이다.

예수회는 종교단체의 얼굴과 함께 또 하나의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무역상인의 얼굴로, 그들이 일본에 판매한 주요 상품은 바로 ‘무기’였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오래 살았다면 자신이 지배한 광대한 영토를 질서정연하게 다스렸을까?

고대 그리스인이 자신들은 시조인 헬렌(Hellen)의 후손이라는 의미로 ‘헬레네(Hellenes)’라 부르고 그 외에 그리스어를 쓰지 않는 이민족은 ‘바르바로이(Barbaroi, ‘야만인’이라는 의미는 나중에 덧붙여졌다)’라 부르며 업신여긴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