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전설 중에는 키가 아주 작지만 사람 형체를 한 요정 종족이 깊은 숲속에 산다는 이야기가 많다. 땅속 세상에 드워프가 산다든가, 황금을 좋아하는 레프리콘이 있다든가 하는 이야기는 영화를 통해서도 많이 알려져 있다.

『북관기사』 본문에는 이 괴물을 가리켜 "목객木客"이라 부르고 있다.

목객은 중국 고전에서 산속 깊은 곳에 사는 사람과 짐승의 중간쯤 되는 이상한 괴물을 말하는 이름이다.

중국 고전에서는 목객을 묘사할 때 원숭이처럼 표현하기도 한다.

중국 남부 지역에는 실제 원숭이가 살고 있으므로, 원숭이를 잘못 보고 무슨 이상한 괴물이라고 생각해서 목객이라는 이름을 붙였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렇게 해서 발굴된 것이 옛날 이 지역에 살던 어린이의 뼈로 밝혀진 유골이다. 유골에는 흥수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신고한 김흥수 선생의 이름을 기념해 붙인 것으로, 우리나라 유적·유물 중에 발견자의 이름이 붙은 매우 희귀한 사례다.

그래서 최근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표현에서 플라이스토라는 이름이 나왔다고 한다. 옛날에는 이 시기를 대홍수의 시대라고 해서 홍적세洪積世라고 부르기도 했다.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 이야기가 등장하는 대홍수가 이 무렵 일어난 것 같은 느낌을 준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먼 옛날 플라이스토세 시대에는 청주에 펼쳐진 동물의 왕국이 생생한 현실이었다. 한반도의 다른 옛 유적에서는 동굴사자라고 하는 사자, 호랑이와 비슷한 동물의 뼈가 발견된 사례도 있다.

동굴 속에 이런 다양한 동물의 뼈가 모여 있던 까닭으로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설명은 바로 이 동굴에 사람이 살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나는 이런 상상에서 어렴풋하지만 신비로운 이야기를 찾게 된다. 영화나 소설 중에는 사람과 비슷하지만 사람과는 살짝 다른 힘센 종족이나 마법을 사용할 수 있는 종족, 귀가 긴 종족이나 거인 종족 같은 무리 등등이 나오는 이야기들이 있다.

두꺼비는 산비탈의 높은 지역에서 살다가 알을 낳을 때가 되면 물이 더 많은 낮은 지역으로 꽤 먼 길을 내려가서 그곳에 알을 낳는 습성이 있다.

그런데 그 습성 때문에 두꺼비가 알 낳으러 가는 길에 도로가 생기거나 건물이 들어서면 목숨을 잃을 위험이 커진다.

개구리나 두꺼비가 잘 사는지 잘못 사는지 살펴보면 기후변화가 얼마나 심하고 생태계가 얼마나 큰 피해를 받고 있는지 가늠해 보기에 좋다는 뜻이다.

거대한 지네에게 제물을 바치는 풍습이 있는 마을이 있었는데, 두꺼비가 지네와 싸워 제물이 된 여성을 구해 주었다는 이야기다.

현대에는 흔히 지네장터 이야기, 오공원 이야기라고도 부르는 전설이다. 조선 시대 기록인 『송천필담』에 의하면 이 이야기의 무대가 바로 청주 오창 지역이라고 한다.

좋은 리튬이온 배터리 없이는 화려하고 멋진 IT 제품 중 아무것도 현실이 될 수 없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은 볼리비아·아르헨티나·칠레 같은 나라에서 많이 생산되고,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한 재료로 자주 사용하는 광물인 코발트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에서 많이 생산된다.

그렇다면 청주에서 만드는 물건 중에 세계 최고라고 할 만한 것이 있을까?

전국적으로 비슷한 이름을 달고 있는 음식 중에 청주에서 시작된 해장국이 무척 유명한 편이다. 나도 그 청주 해장국을 참 좋아한다.

카르나우바는 카르나우바 야자, 또는 카르나우바 종려라고 하는 브라질에서 자라나는 좀 특이한 야자나무 계통의 식물을 말한다. 보통 야자나무와는 잎사귀만 좀 비슷해 보일 뿐 상당히 다르게 생겼다.

카르나우바는 원래 남아메리카에 유럽인이 들어오기 전부터 터를 잡고 살고 있던 투피족의 말인데, 그 사람들이 발견한 나무가 현대에는 한국에서도 화장품 재료로 애용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