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내가 내일 외국에 나갑니다. 무슨 말씀인지 지금 하시죠. 아, 예예, 그거 좋은 생각이군요. 당연히 해야지요. 남들이 다 하면 하고말고요."

아무리 무거운 인생의 무게도 못 견딜 무게는 없다. 그것이 스스로 선택해서 오는 무게라면 더욱 그렇다. 다만 그 무게에 익숙해지고, 이겨 내는 과정에서 닥치는 고통과 괴로움이 외로울 뿐이다.

고달프지 않은 인생이 없듯이, 외롭지 않은 인생도 없다. 고통은 나누면 절반으로 줄고, 기쁨은 나누면 두 배로 커진다고 했다. 나는 당신의 옆에서 그런 역할을 하는 벗이고 싶다.

선거는 지배계급에게 주기적으로 지배와 억압에 대한 정당성을 선사해 주는 제도일 뿐이다. 프루동의 말이다.

그러니까 지배계급일 수 없는 일반 국민들은 단지 투표장에서만 나라의 주인일 뿐이다. 그들은 투표장을 나서는 순간 지배계급에게 업신여김 당하고 짓밟히는 노예로 전락한다.

왜 그럴까? 이 말을 들어보라. 정치란 비도덕적인 것이 아니라 무도덕적인 것이다. 마키아벨리의 말이다.

그런 존재들에게 국민의 생존권과 재산권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국가권력을 송두리째 넘겨주고 말았으니 그 결과야 뻔한 것 아니겠는가.

"예, 중국과 비교를 해보면 확실히 DNA란 육체적인 것만이 아니라 정신적인 면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중국의 중화주의와 우리의 변방의식과 약자의식, 그건 참 엄청난 차이지요."

사람에게 먹고사는 문제는 예나 지금이나 가장 중대한 문제이고, 그 문제가 건강한 몸에 피가 순조롭게 돌듯이 그렇게 되지 못하고 어디선가 엉키고 막히게 되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크고 작은 모든 권세는 파탄을 맞을 수밖에 없었다. 그것이 기나긴 인류사가 보여주는 진실이었다.

첫째, 선진국의 기업들은 완전히 투명경영을 한다. 그러므로 전혀 탈세를 하지 않는다.

둘째, 뒤로 비자금을 조성하는 범법을 저지르지 않는다.

셋째, 기업인들은 그렇게 합법적이고 양심적으로 번 자기 개인들의 돈(절대 회사 돈이 아님)에서 천문학적인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이 세상에서 생산되는 먹거리는 세상 사람들 모두가 고루 나누어 먹고도 남는다. 그러나 부자들의 욕심을 채우기에는 모자란다.’
마하트마 간디의 말이다.

남산에 올라가 서울 시내를 구경하던 북쪽 대표가 하는 말, "전국에서 차들 모아들이느라고 수고 많이 했수다래." 이에 남쪽 대표가 응수한 말, "그보다는 저 빌딩들을 옮겨오느라고 더 힘이 들었지요."

인간의 마음에서 재물욕이 생생히 살아 있는 한 세상 사람들은 우리 세력에게 충성스럽게 자발적 복종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대중들은 바보스러울 만큼 착하게 자발적 복종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