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해야 할 ‘나쁜 소문’

A씨에게

기면관의 살인 | 아야츠지 유키토 저,박수지 역

세상에는 자신을 꼭 닮은 사람이 반드시 세 명은 있다는 말이 있다. 그 말의 진위는 잠시 제쳐두고 시시야 가도미鹿谷門는 그 남자를 만나기까지 그 정도로 자신과 닮은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미로관의 살인』은 시시야 가도미가 지금의 필명으로 발표한 첫 번째 소설로, 말하자면 추리소설가 데뷔작이다. 1988년 9월에 간행되었으니 벌써 만 4년이 지났다.

휴가 교스케의 첫 작품 『너희는 그 짐승의 이름을 부르지 말지어다』는 그해 초에 출간되었다.

현실에서 ‘미로관 살인사건’이 일어난 건 1987년 4월이니 벌써 5년 반 전의 일이다. 이제 와서 그 사건과, 그것을 ‘재현’한 소설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쓸데없는 이야기를 할 마음은 없었다.

"며칠 전부터 이쪽 귀가 이상해서 병원에 갔더니 돌발성 난청이라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대신 가주셨으면 해서요. 저 대신 그 모임에 참석해주세요."

"제가 대리로 출석해도 되는 겁니까?"

"조건이 맞는 몇 사람을 초대해서 1박 2일을 함께 보내는 겁니다. 기본적으로 그것뿐인데 참가자 한 사람당 무려 200만 엔이나 사례금을 준다고 해서."

"그렇게 외진 곳에 세운 건물치고는 상당히 훌륭한 저택입니다. 집주인이 취미로 수집한 진기한 가면을 전시해놓았는데 건물 자체도 상당히 특이합니다. 가면관假面館인지 기면관奇面館인지, 그런 이름으로 부른다더군요."

그는 때때로 그 꿈을 꾼다.

도대체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확실하지 않은 그 끔찍한 꿈을.

첫 느낌은 캄캄한 암흑이다.

뭐랄까, 몹시 무기적無機的이고 지독하게 냉혹한, 살아 있는 인간과는 동떨어진 느낌의 그 얼굴을 보고…….

악마.

여기가 정말 도쿄일까? 이렇게 깊은 산골 구석도 도쿄 도라고 부르나?

사실 도쿄는 넓다. 23구區 말고도 많은 시市가 있고, 군郡과 촌村도 있고, 외딴섬까지 있다. 그런 사실을 알고는 있었지만 설마 오늘 이런 산속의 외진 곳까지 올 줄이야…….

지방에서 나고 자란 사람은 도쿄라고 하면 여하튼 대도시를 떠올리기 마련이고 도코 역시 그랬다. 대학 진학을 위해 3년 전에 상경하고 나서도 그런 생각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오쿠타마나 히노하라촌 같은 지명을 들어도 그게 자신이 아는 시골이나 산촌이라는 풍경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았다.

벌써 4월인데도 마치 한겨울처럼 추웠다. 오는 도중에 눈이 내리기 시작했는데 도착해보니 건물 지붕이며 숲의 나무들이 하얗게 덮여 있었다.

아아, 긴장된다.

……아아, 진짜. 너무 긴장된다.

"니즈키 씨를 위해 준비한 가면입니다. 회장님이 계실 때는 반드시 착용하십시오. 회장님께 민얼굴을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시겠죠?"

노면能面*이었다. 새하얀 피부에 가는 눈. 구부러진 눈썹을 앞으로 모으고 코 아래에는 옅은 수염이 그려져 있었다. 귀공자 가면 같기도 하고 ‘젊은 남자’ 노면 같기도 했다.

* 일본의 전통 가무극인 노(能)의 가면. 남자, 여자, 노인, 신령 등 다양한 모습이 있다.

"가면 컬렉션룸입니다. 저택의 첫 주인인 가게야마 도이치 님이 동서고금의 다양한 가면을 수집하는 게 취미였다고 들었습니다."

"달리 적당한 말이 없어서 그렇게 말했을 뿐입니다. 수상한 단체의 위험한 집회 같은 거 아니니 걱정하실 거 없습니다."

그 이모가 하쿠산에 있는 가게야마 집안 본가에서 가정부로 일하고 있다. 오늘 이 일도 원래는 이모의 일인데, 일주일 전인 지난달 27일에 갑자기 그녀가 도코에게 연락을 했다.

가게야마가 대답했다. 가면으로 가려져서 표정은 전혀 알 수 없었지만 막연하게 예상했던 위압적인 느낌은 없었다. 오히려 온화하고 다정한 인상까지 받았다.

"본인의 마음의 평안을 위해서라고 할까."

설명을 들으면 들을수록 오늘 밤부터 내일까지 열릴 그 모임의 성격이 예사롭지 않다는 건 분명해졌다. 일본 땅이 아무리 넓다지만 과연 이런 기묘한 모임이 또 있을까? 도코는 그런 생각마저 들었다.

"오늘 모임에 있어서 여러분이 지켜주셔야 할 규칙이 있는데 그 첫 번째가 바로 가면입니다."

다행히 의심하는 눈치는 안 보였지만, 지금부터 내일 오후에 해산할 때까지 계속 자신의 신분을 감추고 아사카에 사는 신인 작가 휴가 교스케로 행동해야 한다. 처음 해보는 일이라 적잖이 불안했다. 그나마 ‘반드시 가면을 써야 한다’는 규칙이 있어서 다행이었다.

창문 자체에 딱히 이상한 점은 없었지만 문제는 그 바깥쪽이었다. 굵은 쇠창살이 세로로 가지런히 박혀 있었다. ……마치 감옥처럼.

이곳은…… 이 저택은, 그렇다. ‘나카무라 세이지의 관’인 것이다. 과거에도 시시야가 관련되었던 몇 개의 관…… 십각관, 수차관, 미로관, 시계관, 흑묘관과 마찬가지로 그 나카무라 세이지의 손으로 지은 것이다. 그러니까…….

7년 전의 쓰노지마 섬의 ‘십각관’ 사건 이후로 친구가 된 가와미나미 다카아키가 재작년에 단독으로 쳐들어간 구마모토의 ‘암흑관’. 그 괴상하기 이를 데 없는 저택에서 한 기이한 ‘체험’ 속에서 그가 목격했다던 기괴한 가면 이야기였다.

문에 자물쇠가 없었다.

손잡이와 일체형의 실린더 열쇠는 물론이고 문고리 하나 달리지 않았다.

호텔 객실이 아니니 이상할 것도 없다. 하지만 창문의 쇠창살이나 마치 감옥 같다는 휴가의 말을 생각하면 문에 자물쇠가 없다는 건 역시 이상했다.

"저 안 깊은 곳에 주인의 침실이 있습니다. 안채에는 방이 두 개 있는데 앞쪽을 ‘대면對面의 방’, 뒤의 방을 ‘기면奇面의 방’이라고 부른다지요. ‘귀신의 가면’의 귀면鬼面이 아니라 ‘기이한 가면’의 기면奇面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