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로 계속 걸어간다면 저들이 당신을 따를 것입니다."
리마 빈트 반다르 알 사우드(공주, 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주미 여성 대사) - P113

혹시 문제를 해결하거나 관리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먼저 그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이 문제를 두 개의 단어로 정의하고 있다. 사우디 Saudi와 아라비아Arabia라는. - P113

이처럼 국가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행위는 곤란한 상황을 낳는다. - P114

8개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모래의 나라
사우디아라비아는 운송과 통신 기술을 통해 20세기에 만들어진 국가다. - P116

사우디아라비아는 8개의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북쪽에는 요르단과 이라크, 쿠웨이트가있다. 동쪽으로는 페르시아만과 마주하고 있는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가 있다.  - P116

그리고 남쪽에는 오만과 예멘이 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국경과 가장 길게 맞대고 있는 예멘은 전 세계에서 정세가 가장 불안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 P116

공식적으로 이 연륙교는 통근 및여행 그리고 교역의 용도로 추진됐다. 하지만 비공식적으로는 바레인의 수니파 지도부에 대한 시위가 통제 불능 상태가 되면 사우디아라비아 탱크가 신속하게 바레인으로 진입하기 위한 통로이기도 하다. - P118

두 세력의 연합한쪽은 정치를, 다른 한쪽은 종교를 - P121

사우드-와하브 동맹을 보다 굳건히 다지기 위해  사우드의 장남은 와하브의 딸과 결혼했다.  사우드는 공개적으로 와하비즘을 받아들였고 와하브는 사우드 가문을 받아들였다. - P121

망명지에 머무르는 동안 사우드 가문은 궁핍과CHILE분노로 점철된 나날을 보냈다. 그리고 대단히 긴이름을 가진 한 남자가 없었다면 그들은 역사의뒤안길로 사라졌을 것이다. 압둘 아지즈 빈 압둘라흐만 빈 파이살 빈 투르키 빈 압둘라 빈 모하메드 알 사우드. 그의 성은 곧 국가의 이름이 된다. - P123

무력으로 탄생한 나라 - P123

그가 보기에 사우디아라비아의 탄생은 "하나의 실체임을 정당화할수 있는 단일한 역사적 기억이나 민족적 유산이없는 사람들에게 강요한 국가의 출현"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 P125

이 논의가 중요한 것은 사우드 왕가의 지배력은 그 정통성에 대한 인정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몇십 년 이래 풍부한 에너지 자원으로 얻은 막대한 부 덕분에 국민들 삶이 개선되면서 이 정통성은 더욱 힘을 받고 있다.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