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 인조실록 - 명분에 사로잡혀 병란을 부르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로 보는 조선왕조실록의 12번째 이야기.

그 이름도 유명한 조선의 왕, 인조에 대한 이야기였다.

인조는 왕위에 오르는 과정이 선대 왕들처럼 평범하지 않았다.
직전의 왕이었던 광해군을 신하들과 함을 모아 왕위에서 끌어내린 후 왕위에 오른 것이다.
광해군의 정신줄 놓은 정치 행위를 바로 잡고, 신하와 백성들을 위하는 정치를 한다는 이유로. 그러나 왕이 된 후에 인조는 늘 불안했다. 자신이 그러했듯이 혹 다른 무리들이 자신을 왕위에서 끌어내릴까 두려웠던 것이다. 더욱이 광해군이 살아 있는 상태였기에 언제든지 신하들이 광해군을 다시 왕위에 앉히겠다는 목적으로 반역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었다. 광해군 뿐이었겠는가. 궁궐 내에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자는 얼마든지 있었다. 그러니 불안감은 왕위에 오른 후에도 좀처럼 가시지 않았다. 또한 자신을 왕위에 앉혀준 신하들의 위력도  만만치 않았다. 이래저래 몸을 낮춰야하는 상황이었기에 그는 늘 조심했다.
그러나 인조가 왕위에 오른 후 각종 사건이 끊이지 않았다. 

 우선은 이괄의 난. 인조반정에 커다란 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괄은 1등 공신에 책봉되지 못했다. 더욱이 아들이 역모 죄로 잡혀가게 되자 그는 난을 일으켰다. 쉽사리 제압할 수 있을거라 여겼던 이괄의 난은 생각보다 커다란 위협이 되었고 왕은 궁을 버리고 호남으로 피신을 해야 했다. 가까스로 이괄의 난을 제압하고 난 후 정묘호란이 터진다. 역시나 터부시 여겼던 후금이기에 제압이 가능할 줄 알았지만 이번에도 왕은 궁을 떠나 강화도로 파천을 해야 했다. 겨우 화친을 하고 전쟁은 종료되었지만 또 다시 후금과 전쟁이 터진다. 아무런 대책 없이 세월만 보내던 왕은 결국 또 다시 궁을 떠나 파천을 해야 했다. 처음이 아닌 전쟁이었기에 후금의 요구는 강력했다. 전과 다르게 화친이 쉽지 않았던 것.
결국 왕은 그 유명한 삼전도의 굴욕을 당하게 된다. 삼전도의 굴욕은 삼배구고두라 하여 세 번 절을 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예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인조를 생각하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인물이 있다. 그의 아들 소현세자.
험한 시절을 만나 세자의 신분으로 후금으로 건너가 긴 세월을 살아야했던 불우한 사람. 
그러나 그 상황에서도 그는 현명하게 행동하며 새로운 발전을 꿈꾸고 있었다. 그가 그렇게 어이없게 죽지 않았다면 조선의 역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에서 많이 바뀌었을지도 모를 정도로. 

 선조편을 볼 때도 못난 왕의 말과 행동으로 인해 화가 났었는데 인조편은 그 결정판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말 그대로 막장 드라마의 표본 같았다.
더 좋은 세상을 꿈꾸며 선대왕을 끌어내리고 왕위에 오른 왕이었으면서도 그 보다 못한 왕이었음은 말 할 필요도 없다.
우선은 그가 백성을 내세우며 사실은 누구보다 자신의 목숨을 아까워 여겼다는 것.
왕위에 올라 백성을 두루 살펴야 하는 중요한 사람이니 몸을 귀하게 여겨야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것도 정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적이 침입할 때마다 번번히 궁을 버리고 파천을 하는 장면에선 절로 표정이 찡그려졌다. 그러면서 왜그리 백성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왕위를 지키기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았다는 것.
심지어 자신의 아들과 며느리, 손주까지 해할 정도였으니 요즘 흔한 막장 드라마는 오히려 나은 편이라 해야 할 정도였다. 그야말로 막장 오브 더 막장의 시기였던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년이 넘는 기간을 왕위에 있었다고 생각하니 대단하다는 말이 절로 나왔다.

만족스러움은 전혀 느낄 수 없었고, 어이없음에 한 숨만 풀풀 쉬던 인조의 시대.
다음은 그의 아들인 효종이었다. 역시나 편치 않던 세자 생활을 보냈던 효종.
과연 그가 어떠한 정치를 했는지 조금은 기대를 해본다. 그래도 인조보다는 낫겠지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