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의 모든 사생활의 역사
빌 브라이슨 지음, 박중서 옮김 / 까치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영국 노퍽에 위치한 목사관에 둥지를 틀은 빌 브라이슨은 어느날 집에 비가 새는 것을 발견한다. 고칠 요량으로 다락에 올라간 그는 자신도 알지 못하는 비밀 공간이 있다는 사실에 흥미를 느낀다. 그런 비밀공간은 왜 만들어졌으며, 목사관으로 만들어 졌을 당시 그 시대상은 어떠했을까? 아니, 지금과 비교해 그 당시는 무엇이 달랐던 것일까? 에 호기심을 느낀 그는 곧바로 자신의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이름하여 사생활에 관한 역사를 모두 캐본 다는 것...우린 전쟁이나 혁명, 왕들의 뒷 이야기, 귀족들의 횡포에 대해선 잘 알지만서도, 정작 우리와 밀접하게 관련된 주변사에 대해선 아는바가 없으니 말이다. 그렇게 우리 자신들의 과거와 관련된 것에 관심을 가져보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그의 프로젝트는 홀에서 부터, 부엌, 화장실, 침실, 전기, 전화, 거실, 정원, 집무실, 지하실, 육아실, 다락방등등의 순으로 이어져나간다. 이를 통해 빌 브라이슨은 지금과 달라도 너무 다른 과거의 모습을 우리앞에 재현해 놓고 있는데...
우리 선조들은 과거에 어떻게 살았으며 지금과 얼마나 다른가를 보여주고 있던 책이다. 물론 이때의 우리 선조들이라는 것은 거시적인 의미에서, 즉 인간이라는 통칭으로 사용한 것이다. 엄밀히 말해 영국과 미국인들이 우리의 선조라고 할 수는 없으니 말이다. 하여간 빌 브라이슨의 호기심은 끝도 한도 없으며 일단 파기 시작하면 끝장을 본다는 것을 알게 해준 책이다. 옛날 사람들이 이렇게 살았구나, 전반적으로 무식하고, 가끔다가 생각난 듯 번득이는 천재성을 발휘하다가, 다시 무식한 횡보를 줄곧 이어갔음에도 현재에 이르렀다는 점은 대단히 놀라웠다. 우리가 지금처럼 살게 된 것은 거의 기적에 가까운 일이며, 인간 정신의 놀라운 승리라는 점을 깨닫게 해 준다고나 할까. 시시콜콜 별로 알고 싶지 않은 정보들을 열거하고 있다는 점이나, 대체로 영국인들의 사생활을 캐고 있기 때문에 우리와 이질감이 느껴진다는 점이 단점, 아마도 다른 작가가 이런 책을 썼다면 다 읽지도 못했을 것이다. 그만큼 빌 브라이슨의 필력이 대단하단 뜻...다음번엔 그가 어떤 것을 호기심을 느끼게 될지 궁금해진다. 지구 여행에, 영어에, 섹스피어에다 과학, 트래킹에, 이번엔 사생활까지 들이댄 그에게 과연 남아있는 주제가 있을런지...남아있길 빌어본다. 그의 현란한 글솜씨는 언제나 환영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