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곰스크로 가는 기차 (양장)
프리츠 오르트만 지음, 안병률 옮김, 최규석 그림 / 북인더갭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다들 숨겨진 수작이라도 발견한 듯 난리를 쳐대길래 본 책. 실은 3년 전엔가 이웃 블러그 포스트에서 본 단편인데, 그때는 감동을 받은 기억도 있고 해서 다시 보게 되었다. 두번째 본 느낌을 말하자면, 아무래도 이 작품은 과대평가되고 극찬된게 아닐까 싶다는 것. 완벽한 단편소설이라고 하기엔 뭔가 부족하고, 오로지 뇌리에 남는 것이라면 못다이룬 꿈에 대한 나른한 향수 뿐인데...뭐, 살다보면. " 아 ,내 꿈은 어디고 갔는고, 난 원래 이렇게 살게 될 줄 전혀 몰랐는데..." 라면서 한탄도 하게 되지만서도, 어떻게 그런 인생살이에 빠져들게 되었고, 꿈을 잃어버린 자의 절절한 심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알겠는데...
꿈만 있고, 삶은 없는 그런 글에는 생명력이 없다는 것이지. 생명력이 없는 글은, 그리고 땀 냄새가 배여 있지 않고, 치열하게 산 흔적이 없는 문장들은 결국은 한가해 보이기 마련이다. 삶이 그렇게 한가하기만 하다면 참 좋겠지만서도, 인생이란게 언제나 놀이하러 나온 놀이터는 아니질 않는가. 물론 놓쳐버린 꿈에 미련을 가지면서 추억하고 사는게 인생의 비극적인 비장미를 보여줄 수는 있으나, 도무지 언제까지 그렇게 길 잃은 아이처럼 놓쳐버린 꿈만 되뇌이고 산단 말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을 피해자로 만들면서 마냥 안스러워 하는게 삶에 어떤 도움이 되는가는 모르겠으나, 보는 나는 질리더라. 철 좀 들라고 말하고 싶다. 꿈은 꿈이고, 현실은 현실이고...그치? 꿈을 잃어버렸다면, 현실에 부딪쳐 보는 것도 멋진 인생살이 방법이 아니겠는가. 꼭 내가 꿈꾼 목적지가 아니라고 해도 흥겹게 살아갈만한 의지나 유연함이 없다면 이 지루한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겠는가. 꿈의 상실에 비참해 하는 것은 안 배워도 아는 것이니까, 알려 주면 고맙겠다는 것이지. 삶을 즐겁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 말이야. 그런데 이 단편엔 그런 점이 전혀 들어있지 않았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난 이 책이 별로였다. 지리 감각이 없어서 종종 길을 잃는 듯한 작가의 말투도 반복되니 질리고 말이다. 무슨 배를 타고 가면서 종착지를 헷갈려 하는 단편에서는 소리를 지르고 싶었다. 아 참...그것 외엔 그렇게 쓸게 없다요? 지도를 갖고 다니시던가, 아니면 그냥 집에 있으쇼. 적어도 길을 잃지도 않고, 목적지가 아닌 곳에 떨어졌다고 난리를 필 염려도 없고 말이죠, 종착지가 거기가 아니라고 하면서 승객들과 다툴 일도 없으니 말이요...라고 작가에게 말하고 싶었다. 하여간 지리 문제로 헷갈리게 구는건 멀미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