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독교인들에게 다소 불경스런 제목일 수 있으나 실상은 우리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하나의 키워드로서 `처녀귀신`은 의미가 있다. 그저 공포의 대상으로만 봐오던 처녀귀신이 실상은 보호과 관심을 받지 못한 불쌍한 존재임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된다.

왜 처녀가 귀신이 될 수밖에 없었을까? 이는 귀신이 나오게 되는 핵심 요인이다. 그런데 조선시대에서 가장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미약한 존재가 누구인지 안다면 쉽게 그 답은 나온다. 즉 결혼하지 못한 신분이 낮은 처녀들. 어디에도 하소연 할 수 없는 그들은 위협과 협박의 순간에 자살하게 된다. 현실에서는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으며, 그들은 귀신이 되어서야 비로소 목소리를 내게 된다. `전설의 고향`을 보았을 때 들은 바로 그 귀신 목소리, 이른바 귀곡성이다. 귀신들의 흐느끼는 소리는 보는 이에게는 공포감을 주지만 실상 그녀들은 자신의 원한을 이렇게라도 표현한다.

그런데 재밌는 것은 이들을 귀신이 되게 만든 이들이 대부분 남자들이고, 그들의 원한을 풀어준 이들은 다 남자들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대체로 유명한 관료들이 귀신의 이야기를 듣고 해결사 노릇을 하게 된다. 왜일까? 그것은 아마도 양반 사대부들이 야담류의 독자였으므로 그들의 구미에 맞게 저자가 그렇게 썼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이 책이 현실의 우리에게 갖는 함의는 무엇일가? 그것은 바로 사회의 약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이다. 처녀귀신 이야기는 공포소설인 듯하지만 결국에는 명관료에 의해 불의가 응징당하고 인과응보적 결과를 낳는다. 이를 통해 비록 상상과 문학 속이지만 사회 정의를 실현한다. 후대의 우리는 재미로 읽을 수도 있는 이런 이야기를 남의 것처럼 볼 수 없다. 우리 주위에는 처녀귀신과 같은 존재들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가령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이 그런 존재 아니던가. 외국인노동자 문제도 그렇고. 이제서야 서서히 문학의 가치를 느낀다.

이 책의 단점은 저자의 글쓰기 태도인 듯하다. 논문에서나 볼 수 있는 표현들이 제법 많다. 독해 능력이 부족한 나로서는 몇 번이나 되풀이해 읽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했다. 좋은 책인데 아쉽다.

사족 - 처녀귀신이란 주제로 글쓰기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재밌다. 세상에는 글쓰기할 수 있는 주제가 얼마나 많단 얘기인가. 무궁무진한 글쓰기 보따리가 있음에 난 책을 놓을 수 없구나.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